메인로고

보고서

관창리 유적 - C·E구역 발굴조사보고서

2002-07-12 00:00:00
조회 1726
v. 맺음말 1. 청동기시대의 유구와 내용 보령 관창리에는 C지구에서 장방형의 주거지 1동과 E지구에서는 총 10동의 주거지가 확인되었다. 주거지의 평면형태는 원형(E-2호), 장방 형(C-1), (말각)방형(E-1호, E-3호, E-4호, E-5호, E-6호, E-7호, E-8 호, E-9호, E-10호)으로 나누어 진다. 주거지 중앙부에 타원형 수혈이 있고 수혈내에 주공이 있지만, 주변에서는 주혈이 확인되지 않는 휴암 리형(E-1,3,4,5,6,7,8호)과 송국리형 주거지(E-2호)이다. 구조면에서 화덕시설 등은 학인되지 않는 5호 주거지의 경우 溝가 한 쪽 벽에서 발견되는 것을 제외하면 다른 시설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4호·5호·10호 주거지 조사결과 내부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타원형 수 혈의 벽과 인접한 곳에서 부위에서 석촉과 무문토기, 그리고 숫돌 등 이 노출되었으며, 4호 주거지에서는 미완성의 석촉들이 출토되어, 중앙 에 위치하고 있는 타원형 수혈은 석기 제작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였 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거지의 분포상에서 보면 C지구와 E지구의 7·8호 주거지를 제외하면 각 주거지간의 간격은 상당히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입지도는 구릉의 정상부를 따라서 만들어지고 있는 특징을 가지며, 장축방향은 등고선 방향과 평행하게 만들어져 구릉 하단부, 주거지 남벽은 상당히 얕게 굴 착되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남벽의 일부는 유실된 예가 많았다. 이 들 주거지간의 거리는 최소 7m이며, 각 주거지들의 평균면적은 19.40 ㎡(5.87坪)로 주거지외에서 경제생활을 영위하고 내부에서는 경제생활 을 위한 준비작업들을 담당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관창리유적의 주거지의 평면형태와 관련하여 유사한 유구가 확인되 는 휴암리와 송국리 유적과 비교하면 휴암리는 평면형태가 양중앙주공 식의 장방형과 타원형 주거지이며, 송국리는 원형의 주거지가 대부분 으로, 일반적으로 타원형이나 장방형에서 방형과 원형으로 주거지의 평면형태의 변화를 상정한다면 관창리주거지는 두 유적의 중간단계에 위치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기는 E지구에서는 10기의 주거지에서 총 40점이 출토되었지만 완전 한 형태를 가진 것은 없고 동체부 또는 저부의 발형 토기편이다. 그런 데 송국리형 주거지로 인식하고 있는 2호 주거지에서는 동체부에 사선 문이 그어져 있는 발형토기와 무늬가 없는 발형토기가 공존하고 있지 만, 휴암리형 주거지에서는 무늬없는 발형토기만을 부장하고 있다. 석기는 석촉과 석부 그리고 숫돌이 수습되었는데, 이 가운데 시기적 변 화를 잘 반영하는 석촉은 단면 삼각형과 타원형이 수습되었는데, 이들 은 최성락의 분류안에 따르면 CⅠ식에 속한다. BⅡ식이 주류를 이루 는 송국리와 비슷한 시기에 형성된 유적으로 판단된다. 5호 주거지에서 수습한 유물은 반제품으로 숫돌과 더불어 출토되어 주 거지내에서 석기를 작하였으며 이들 서기를 만든 석재들은 석부는 혈 암과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석촉은 편암제, 그리고 사암제의 숫돌 을 제작도구로 사용하였다. 2. 조선시대의 유구와 유물 민묘는 E지구에서 20기를 조사하였다. 구조는 묘광을 파고 목관을 넣 은 후 시신을 매장한 것으로 유물은 대부분 관외에 부장하였다. 유물 은 관정과 동전, 청동제 숟가락과 백자 접시가 출토되었다. 3호·9호 묘 광의 중앙에 구덩이를 파고 평저호를 부장하고 그 위에 목관을 안치하 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정리하면 <표2>와 같다.( 표2 생략) <표2>에서 보면, 요갱이 있는 무덤, 벽 감실이 있는 무덤, 벽감이나 요 갱이 없는 무덤으로 나누어지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출토되는 자료는 관정과 청동제 숟가락을 들 수 있으며, 요갱이 있는 무덤에서는 호가 요갱에 부장되지만 다른 부장품은 없고, 벽감이 있는 무덤에서는 청동 숟가락을 기본으로 하면서 백자대접을 부장하고 있다. 2개의 목관을 하나의 대형 토광에 만든 2호는 유물이 전혀 없으며, 5호 는 구슬·동전·관정을 부장하고 있다. 여기서 보면 관정을 중심으로 청동 숟가락, 구슬·동전 등은 지역 사회의 신분적 차이라기보다는 在地民들 의 경제적인 차이나 장속의 차이 등에 원인을 두고 있는 것 같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77개(2/9페이지)
 
보고서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157 사비도성(능산리 및 군수리지점 발굴조사 보고서) 이성준 2938 2003.10.13
156 충북 음성군의 야철지, 충주시 앙성면의 야철지 박현욱 1713 2003.08.24
155 고대 제철 복원실험 보고서 박현욱 2455 2003.08.24
154 풍납토성Ⅲ 한지선 2579 2003.06.13
153 여주 상리 고분 김종규 1731 2002.08.20
152 양주 대모산성 김종규 2714 2002.08.20
151 춘천 하중도 제방공사구간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김종규 2384 2002.08.20
150 하남 천왕사지 2차 시굴조사 보고서 운영자 1566 2002.08.19
149 대전 송촌동유적 운영자 1915 2002.07.12
148 1997~2001년도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운영자 2034 2002.07.12
>> 관창리 유적 - C·E구역 발굴조사보고서 운영자 1727 2002.07.12
146 천안 두정동 유적 (C· D지구) 운영자 1445 2002.07.11
145 국도32호선 서산-당진간 도로확장 및 포정공사 구간 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운영자 1198 2002.07.11
144 대천역세권지구 도시개발사업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운영자 1453 2002.07.11
143 대전 숭현서원지 운영자 1336 2002.07.11
142 金丹串堡城址 Ⅰ 운영자 929 2002.07.11
141 부여~탄천간(3공구)도로확장 및 포장공사 실시설계 구간 내 문화유적지표조... 운영자 982 2002.07.11
140 경상좌수영성지 운영자 921 2002.07.11
139 박물관연구논집 8 운영자 1141 2002.07.09
138 연천 삼거리유적 운영자 1275 2002.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