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보고서

사비도성(능산리 및 군수리지점 발굴조사 보고서)

2003-10-13 00:00:00
조회 2944
<목 차> 1.序.....박순발 2.유적의 위치와 고고학적 환경.....이성준 3.조사내용 1)능산리지점.....박순발/동보경/이판섭/야마모토타카후미 2)군수리지점.....강병권/동보경/이형원/야마모토타카후미 4.고찰 1)사비나성의 평면형과 축조기법.....박순발 2)사비도성내 공간구획.....박순발 3)사비도성의 축조시점.....박순발 4)군수리지점 출토 백제토기의 편년적 위치.....박순발 5)군수리지점 출토 백제토기의 분석.....야마모토타카후미 6)군수리지점의 공간구획 및 성격.....이형원 7)사비시대 대부완의 제작기법.....酒井淸治 5.結.....박순발 국문초록.....박순발 영문초록.....성춘택 일문초록.....츠치다준코 중문초록.....장인성 군수리지점 출토 철제유물의 금속학적 조직분석.....박장식 군수리지점 식물 opal 조사결과.....김형배 군수리지점 시료의 광여기 루미네센스 연대측정.....홍덕균 능산리 및 군수리지점 출토 목제유물의 보존처리.....정광용/김익주 군수리지점 출토 철제유물의 보존처리.....정광용/황희선 <국문초록> 현재의 扶餘 시가지를 통과하는 국도 4호선 확포장 및 선형변경 공사 와 관련한 금번 발굴조사는 다방면에 걸친 새로운 고고학자료를 인지 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고고학자료들은 백제 최후의 都城인 泗沘都城에 대한 많은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그 중요성에 따라 일부의 사실들은 이미 그 내용이 학계에 소개된 것도 있다. 본 조 사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사비도성에 대한 新知見들을 종합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비도성의 가장 중요한 형태적 특징의 하나인 羅城의 평면구조 에 대한 새로운 사실 확인이다. 종래, 사비 나성의 평면구조는 현재의 부여 시가지 전체를 완전히 감싼 형태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西羅城 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인 軍守里地點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나성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를 계기로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는 사비 나성 전구간에 대해 정밀지표조사와 함께 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사비 나성은 본래 扶蘇山城의 동쪽에서 靑山城 사이를 연결한 北 羅城 구간 0.9km와 靑山城에서 陵山里를 거쳐 鹽倉里에 이르는 東羅 城 구간 5.4km 등 총 6.3km밖에 없는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둘째, 나성의 축조기법과 관련하여 枝葉敷設에 의한 壓密沈下排水工 法 등 여러 가지 연약지반 처리 공법이 동나성 능산리지점 조사를 통 해 확인되었다. 이는 금후 고대 토목공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셋째, 군수리지점 발굴조사를 통해 사비 도성 내부의 도시공간 구획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기존에 알려진 사비 도성 내부 공간구획의 흔적은 扶蘇山城 南麓 官北里의 추정왕궁지유적에서 드러 난 道路遺構가 전부이었으나, 금번 군수리지점에서 확인된 동서도로 유구와 2001년도 現 宮南池 북쪽에서 조사된 동서도로 유구 등 최근 자 료들을 종합 분석해본 결과 사비도성 내부는 남북 113.1m, 동서 95.5m 의 장방형 블록에 의해 정연하게 구획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군수리지점에서 확인된 건물지군은 도로와 울타리 등에 의해 남북 28.2m, 동서 25.8m의 사각 평면으로 구획된 最小單位區劃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전술한 장방형 대구획의 16분의 1 면적에 거의 일치 되고 있는 점도 확인하게 되었다. 한편, 도성내부에는 도로와 건물지 이외에도 당시의 경작지인 논도 분포하고 있었음이 드러났다. 比高가 높은 고지대에는 도로 구획과 함께 주거지가 배치되었으며, 저지대에 는 논으로 경작되고 있었다. 부여지역은 대부분이 白馬江의 自然堤防 背後濕地에 해당되는데, 최근 극히 일부지점에서 靑銅器時代 및 原三 國時代의 유적이 확인되기는 하였으나 대부분의 저습지는 泗沘遷都 이 전까지 활용도가 높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 유구 분석을 통해 확인된 사비 도성에 대한 새로운 사실 이외에 토기, 철기 등 다양한 유물에 대한 검토에 의해 다음과 같은 점들이 알 려졌다. 첫째, 출토된 토기에 대한 編年的 검토결과 군수리지점은 6세기 전반경 의 熊津期 늦은 시기부터 7세기 중엽의 백제 멸망시점까지 점유 활용되 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사비도성의 건설과정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둘째, 군수리지점의 도로와 울타리에 의해 구획된 건물지군에는 壁柱 建物(大壁建物), 竪穴建物, 棟持柱掘立柱建物, 高床建物 등 다양한 건 물지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건물들은 단위 戶 또는 家口를 구성 하는 건물들로서 현재까지 확인된 도성내부의 백제시대 자료로서는 최 초이므로 그 가치는 매우 크다. 출토유물 가운데 中國製 磁器, 日本의 須惠器, 다양한 형태의 벼루 등이 있는 점으로 보아 거주자들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결코 낮지는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군수리지점에서는 지금까지 그 존재를 알지 못하였던 백제시대 의 철제열쇠, 철제 도르래 등 다수의 새로운 자료들이 확인되어 이 방 면 연구에 중요한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평가된다. 그 밖에, 토기들에 대한 양식적인 분석 결과 대략 7세기 이후 臺附碗과 같은 새로운 기종들이 등장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아울러 이러한 토기의 제작기법 가운데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이른바 風船技法 이 적용되고 있었음이 처음으로 확인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들은 향 후 사비기 백제토기 연구에 새로운 指標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영문초록>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initiated by the renovation of National Road #4 which runs through the modern city of Buyeo, or the last capital of Baekje (Paekche), provided a valuable opportunity to recognize wide array of the archaeological record of the ancient Korean state and its capital. The analysis of excavated features and artifacts also offered new insights into the Sabi Doseong (capital), a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reliability of previous assumption over the plan structure of Naseong Wall now can be questioned with the addition of the new material record. It had generally been assumed that the Naseong Wall stretches around the modern city of Buyeo, but the excavation at the Gunsu-ri location of assumed West Naseong showed no traces of the wall. Thus, by conducting detailed surface survey and trench excavation, the Paekche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ncluded that the wall was constituted of North Naseong, some 900 meters long, and East Naseong which stretches some 5400 meters.     Second, various construction techniques were identified to deal with the tender ground at the Neungsan-ri location, which surely provided valuable database for studying ancient construction methods.     Third, the excavation at the Gunsu-ri location showed evidence of urban planning within the wall. The uncovered road site suggests the existence of square road plan of the capital and the basic unit of the square measures 113.1 meters along the north-south, and 95.5 meters along the west-east sides. The excavated 28.2 m (north-south) × 25.8 m (west-east) square plan at the Gunsu-ri location may be the smallest unit, as the size approximately corresponds to the 1/16 of the basic square unit. Aside from the road and building structure, the paddy field site was also discovered in the lowland from the excavation, while the habitation site was located in the upland areas. Most areas in the Baekma (Geum) River flooding plain were not cultivated before the relocation of the Baekje capital.     Various artifacts were recovered from the excavation, as summarized in what follows.     First, a chronological reconstruc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pottery remains shows that the Gunsu-ri location was occupied from the early sixth century to the middle seventh century AD.     Second, various kinds of buildings identified at the Gunsu-ri location offered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Baekje architecture, urban planning, and household units. Unearthed artifacts from these buildings include remains of Chinese glazed celadon and Japanese stonware, which in turn indicate the social status of the inhabitants.     Third, Baekje iron keys and pulleys were uncovered for the first time. New vessel types were added to the late Baekje pottery assemblages, while new pottery manufacturing techniques were identified. Translation 성춘택 A professor of Archaeology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일문초록> 現在の扶餘市街地を通る国道4号線の拡ㆍ鋪装および路線形変更工事に 伴う今回の発掘調査は、多方面にわたる新しい考古学資料を認知する 良い機会となった。これらの考古学資料は百済最後の都城である泗沘都 城について多くの新たな認識を可能にし、その重要性から一部の内容 は既に学会に紹介されている。今回の調査を通じて得られた泗沘都城に ついての新知見を総合的に整理すると次の通りである。 まず、泗沘都城の最も重要な形態的特徴の一つとして、羅城の平面構 造についての新事実を確認した。従來、泗沘羅城の平面構造は、現在 の扶餘市街地全体を完全に囲む形態と理解されていた。しかし西羅城 に推定される地点である軍守里地点に対する発掘調査の結果、羅城の 痕跡は確認されなかった。これを契機に、忠南大学校百済硏究所にお いて泗沘羅城全区間に関して精密地表調査と合わせて試掘調査を実施し た結果、泗沘羅城はもともと扶蘇山城の東側から青山城の間をつなぐ 北羅城区間0.9kmと、青山城から陵山里を通り塩倉里に至る東羅城区間 5.4kmの総6.3kmのみであることを最終的に確認した。 第二に、羅城の築造技法に関連して、枝葉敷設による圧密沈下排水工 法など様々な軟弱地盤処理工法が東羅城陵山里地点の調査で確認され た。このことは今後、古代土木工法の体系的研究において基礎資料に なるものと評価される。 第三に、軍守里地点の発掘調査を通して、泗沘都城内部の都市空間の区 画に関する新たな資料を確保することができた。既存の泗沘都城内部の 空間区画の痕跡は、扶蘇山城南麓の官北里推定王宮址遺跡で確認され た道路遺構がすべてであったが、今回軍守里地点で確認された東西道 路遺構と、2001年度に現宮南池北側で調査された東西道路遺構など、 近年の資料を総合分析した結果、泗沘都城の内部は南北113.1m、東西 95.5mの長方形ブロックによって整然と区画されていたものと推測され た。また軍守里地点で確認された建物址群は、道路や柵などによって 南北28.2m、東西25.8mの平面方形に区画された最小単位区画であること がわかり、これは前述の長方形大区画の16分の1の面積にほぼ一致す る点も確認できた。一方、都城内部には道路や建物址以外にも当時の 耕作地である水田が分布していたことも明らかになった。比高が高い 高地帯には道路の区画と共に住居址が配置され、低地帯は水田として活 用されていた。扶餘地域は大部分が白馬江周辺の自然堤防の後背湿地 にあたっており、最近ごく一部の地点において青銅器時代および原三 国時代の遺跡が確認されたが、大部分の低湿地は泗沘遷都以前まで活 用度が高くなかったものと推定される。 以上の遺構の分析を通して確認された泗沘都城に関する新事実以外 に、土器․鉄器など多様な遺物に対する検討によって次の点が明らかに なった。 第一に、出土した土器に対する編年的検討の結果、軍守里地点は6世 紀前半頃にあたる熊津期の末期から7世紀中葉の百済滅亡時まで機 能․活用されていたことがわかった。この事実は泗沘都城の建設過程 に関連して非常に重要な資料と評価される。 第二に、軍守里地点の道路と柵によって区画された建物址群では壁柱 建物(大壁建物)、竪穴建物、棟持柱掘立柱建物、高床建物などの多様 な建物址が確認された。これらの一連の建物は単位戸または家口を構 成する建物で、都城内部の百済時代の資料としては最初に確認された ものであり、その価値は非常に大きい。出土遺物中に中国製の陶磁 器、日本の須恵器、多様な形態の硯などがある点から、居住者の社会․ 経済的地位が決して低くなかったことがわかる。 第三に、軍守里地点では、今までその存在が確認されていなかった百 済時代の鉄製錠․鉄製滑車など多くの新資料が確認され、この方面の研 究に重要な契機を提供するものと評価される。 その他に、土器については様式的な分析の結果、おおよそ7世紀以降 に台付碗のような新器種が出現することが確認され、合わせてこれら の土器の製作技法に今まで知られていなかったいわゆる風船技法が適 用されていたであろうことが初めて確認された。これらの点は今後の 泗沘期百済土器硏究の新たな指標になるものと評価される。 翻訳 土田純子(忠南大学校 考古学科 碩士課程修了) <중문초록> 大田地方国土管理厅拟定扩大扶馀市的4号线国道, 而且变更道路的路线. 忠 南大学校百济研究所参加急救发掘而得到新的考古资料. 透过这次发掘我们 得知百济都城的很多新的面貌, 有的内容则已経介绍给学術界. 在这裏想要 综合整理泗沘都城的新成果. 首先, 我们可以了解罗城的平面结構. 以前大家认为泗沘罗城的平面结構 完全包围现在的扶馀市. 但是发掘军守里地点的结果无法发现西羅成的遗地. 因此本百济研究所探 测整个泗沘罗城, 得知泗沘罗城为从扶苏山城到青山城的0.9公里的北羅城与 从青山城径陵山里到盐仓里5.4公里的东羅城所構成. 第二, 罗城的筑造方法是使用敷设枝叶的压密沈下排水工法等. 这次成果 会成为今後研究古代土木工法时的基础资料. 第三, 透过军守里地域的发掘调查. 我们可以掌握有关泗沘都城内部的都 市空间规划的新资料. 以前的泗沘都城内部空间的遗址只有扶苏山城南边官北里的所谓王宫地的 道路而已. 但是这次发掘的军守里的东西道路遗址告诉我们泗沘都城内部是 南北113.1公尺, 东西 95.5公尺的方格子的规划. 军守里的建筑物遗址是南 北 28.2公尺, 东西 25.8公尺的平面的最小单位区划. 这是长方形的方格子 的 16分之1. 除了道路与建筑物遗址以外, 都城内有田地. 比较高的地带有道路与建筑 物, 比较低的地带有耕田. 扶馀地域大部分属於白马江的自然堤防背後的湿 地. 虽然极小地方发掘青铜器时代以及原三国时代的遗址. 但大部分的湿地 於泗沘迁都以前没有什麽用处. 除了以上的成果之外, 从陶器․铁器等遗物可以了解如下的几点成果. 第一, 探讨发掘的陶器的结果 军守里地点从6世纪前半的熊津时期利用到7 世纪中叶的百济灭亡时期, 这样的发现提供有关泗沘都城的建设的相当重要 的资料. 第二, 军守里的方格子建筑物遗址发掘了壁柱建筑物(大壁建物), 竖穴建 筑物, 栋持柱掘立柱建物, 高床建物等多种的建筑物遗址. 这种建筑物以口 或家口为单位的建筑物, 目前为止是 第一次发掘的, 值得注目的. 出土遗物 中有中国制磁器, 日本的须惠器, 多种多样形式的砚等. 从此可知居住於这 种建筑物的人的社会․经济的地位是相当高的 第三, 军守里的地点发掘出了从来没有见过的百济时代的铁制钥匙, 铁制滑 车 等多种新资料. 研究这方面的学者从比得到了重要的线索. 除此之外, 从 陶器的形态分析结果发现7世纪以後臺附碗等新的陶器出现, 並且发现制造 陶器时使用风船技術, 这样的发掘成果会成为往後泗沘时期陶器研究上的新 的指标.          翻译 张寅成 (忠南大学校 史学科 教授)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77개(2/9페이지)
 
보고서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 사비도성(능산리 및 군수리지점 발굴조사 보고서) 이성준 2945 2003.10.13
156 충북 음성군의 야철지, 충주시 앙성면의 야철지 박현욱 1716 2003.08.24
155 고대 제철 복원실험 보고서 박현욱 2458 2003.08.24
154 풍납토성Ⅲ 한지선 2582 2003.06.13
153 여주 상리 고분 김종규 1733 2002.08.20
152 양주 대모산성 김종규 2716 2002.08.20
151 춘천 하중도 제방공사구간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김종규 2388 2002.08.20
150 하남 천왕사지 2차 시굴조사 보고서 운영자 1568 2002.08.19
149 대전 송촌동유적 운영자 1917 2002.07.12
148 1997~2001년도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운영자 2036 2002.07.12
147 관창리 유적 - C·E구역 발굴조사보고서 운영자 1729 2002.07.12
146 천안 두정동 유적 (C· D지구) 운영자 1447 2002.07.11
145 국도32호선 서산-당진간 도로확장 및 포정공사 구간 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운영자 1201 2002.07.11
144 대천역세권지구 도시개발사업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운영자 1455 2002.07.11
143 대전 숭현서원지 운영자 1338 2002.07.11
142 金丹串堡城址 Ⅰ 운영자 931 2002.07.11
141 부여~탄천간(3공구)도로확장 및 포장공사 실시설계 구간 내 문화유적지표조... 운영자 984 2002.07.11
140 경상좌수영성지 운영자 923 2002.07.11
139 박물관연구논집 8 운영자 1144 2002.07.09
138 연천 삼거리유적 운영자 1277 2002.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