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학위논문

5~6世紀 高句麗 鐵器製作技法에 對한 一考察

2002-02-15 00:00:00
조회 1631
5~6世紀 高句麗 鐵器製作技法에 對한 一考察 - 漢江下流域 資料를 中心으로 張 恩 晶 국내에서 철기 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철기의 형태분석이라는 방법론 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여 왔다. 철기의 형태는 지나치게 다양하거나 혹 은 단순하여 시간성과 지역성이 반영된 정교한 형식분류가 쉽지 않다. 따라서, 철기의 일차적인 분류에서는 기능이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 요 소이며 그에 적합하게 적용된 제작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철기의 성격 을 이해하는 첫 단계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철기 제작 공정 전체를 포괄하는 의미인 철기 제작 방 식의 하위 개념으로서 最終成形 단계에 적용된 제작 방식이라는 의미 의 鐵器 製作技法을 설정하고, 微細組織 分析을 통해 그것의 성격과 적 용 양상을 器種과의 관계 속에서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으로는 사용 집단과 시기가 비교적 분명하되 그 기간이 길지 않고, 출토 철기의 기종이 다양하면서 실제 생활에서 사용된 것임을 신 뢰할 수 있는 구의동 보루와 아차산 4보루의 鍛造鐵器를 선정하고 모 두 15기종 29점의 미세 조직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출토 유물을 기종별로 분류하고 각 기종의 고고학적 성격에 따라 분석의 목적을 설 정한 후, 그에 적합한 개체를 선정하여 시편을 채취하였다. 이 때에 가 급적이면 한 개체에서 부위를 달리한 복수의 시편을 취하고, 동일 기종 에서 복수의 개체를 분석하여 개체 분석이 그 기종의 해석에 적용될 수 있는 수위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다양한 제작 기법이 존재하였으며, 대체로 동일 기종에는 동일한 제작기법이 적용되었는데, 그 중 다음 두 가지를 제시할 수 있 다. 먼저, 철기의 최종 성형이 끝난 이후 목탄과 함께 가열해 표면부에 탄소를 침투시킴으로써 전체 또는 특정 부위가 鋼 재질이 되도록 하는 기법으로 이를 浸炭技法이라 한다. 이 경우의 기본 소재로는 純鐵이 사 용되었으며, 비교적 넓은 부위에 鋼 재질을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有銎鐵斧와 U자형 삽날처럼 작업 부위의 마모가 크게 예상되는 掘地具에 적용되었다. 한편, 주 기능을 담당하는 부위와 나머지 부위 에 성질이 다른 소재를 배치한 후 鍛接하여 한 개체로 만드는 기법으 로 이를 合鍛技法이라 한다. 이 때, 주 기능 부위에는 鋼, 나머지 부위 에는 純鐵을 소재로 사용하였으며, 武器類에 주로 적용되었는데 여기 에는 鉾와 鏃 외에도 鐏․鎌과 같이 새로이 무기로 해석된 기종도 포함 되어 있다. 그 밖에 합단기법 적용 가능성이 있는 기종으로 橫孔斧와 有銎鐵鑿이 있는데, 전자가 무기 또는 木工具로 기능이 추정되고, 후자 는 목공구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합단기법은 순간적으로 강한 타격력 이 중요시되는 기종에 적용되었으며, 주 기능 부위의 경도를 극대화한 담금질 조직이 鉾․鎌․鑿․橫孔斧에서 확인되는 점도 이와 맥이 닿는 다. 주요어 : 微細組織, 九宜洞 堡壘, 峨嵯山 4堡壘, 鋼, 浸炭技法, 合鍛技 法 ----------------------------------- Abstract Iron Manufacturing Technology of Koguryo during the 5th and 6th Centuries -The Analysis of Iron Artifacts from the Lower Han River- Jang, Eun-Jung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ies on iron artifacts in Korea have been focused on the typology. However, the typology based on the shape of iron tools does not reflect their regional and chronological variations. It is because most iron tools were used in large areas and during long time period. For the study of iron artifact, the function, not the shap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fun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since the technology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each tool. The overall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function of iron tools. This study presents that the technique applied to the final stage of manufacturing process could be detected by the analysis of metallurgical microstructures, and this technique c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function of iron tool.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presented above, the metallurgical microstructures of 29 iron tools from the Kui-dong fortress and Achasan 4th fortress sites of Koguryo were analyzed. The samples under analysis include 15 types of iron tools. These artifacts were selected since their dates are clearly known and they had been used for short-term. Also, the assemblage includes various types of iron artifacts and most of them were used for utilitarian purposes. Before the analysis, the artifact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shapes and their functions were presumed. Multiple samples were taken from different parts of each artifact. Also several samples were taken from one type of iron tools. The result of analysis presents that the iron manufacturing technology of Koguryo during the 5th and 6th centuries includes diverse techniques. Among them cementation and welding techniques were prevalent. Cementation technique can produce steel on the surface of pure iron tools in a relatively large scale. Therefore, it was applied to digging tools such as hoes and spades which blades could be easily worn out. Welding technique was used to attach steel to pure iron tools. It was applied to weapons such as socketed spearheads, arrowheads, pommel of spears, and sickles, and also to woodworking tools including axes and socketed chisels. This indicates that welding technique was usually used to the tools required high level of hardness. It seems that the martensite, the hardest microstructure of the iron, found from some socketed spearheads, sickles, socketed chisels, and axes was produced to enhance the hardness even more. This thesis proposes that the function of tool decides how steel and pure iron should be arranged, and it determined the technique to apply to each tool type. Key Word : Metallurgical Microstructures, Kui-dong fortress, Achasan 4th fortress, Steel, Cementation technique, Welding technique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0개(2/3페이지)
 
학위논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40 유적발굴에 있어 지구물리 방법의 응용에 관한 연구(원주 법천리, 고성 송... 오현덕 1707 2002.07.31
39 성분분석을 통하여 본 비파형동검의 특성에 대한 일고찰 문재범 1927 2002.07.20
38 조립식 동검의 칼집에 대하여 심재연 1532 2002.06.28
37 百濟 三足土器의 擴散과 消滅過程 硏究 강원표 1330 2002.06.24
36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사회의 구조 연구 이영철 1606 2002.04.25
35 韓半島 出土 半月形石刀의 諸分析 손준호 1963 2002.02.19
>> 5~6世紀 高句麗 鐵器製作技法에 對한 一考察 운영자 1632 2002.02.15
33 산청군 선사, 고대 유적입지 운영자 1852 2001.09.21
32 6∼7世紀 新羅土器 相對編年 試論-경주방내리고분군 자료를 중심으로 윤상덕 1698 2001.08.30
31 백제 사비기 석실분과 정치 사회상 연구 운영자 1427 2001.08.25
30 중서부해안지역 무문토기시대에 대한 연구 운영자 1469 2001.08.07
29 백제성곽연구-웅진, 사비시대를 중심으로- 운영자 1314 2001.08.07
28 이천 설봉산성 출토 백제토기 연구 운영자 1367 2001.08.07
27 안성 봉업사지 출토 고려전기 명문기와 연구 운영자 1081 2001.08.07
26 광주군 삼리 구석기유적(2지점)의 석기 연구 운영자 1088 2001.08.07
25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송국리형주거지 연구 운영자 1260 2001.08.07
24 군산 노래섬유적의 신석기시대 토기 연구 운영자 1022 2001.08.07
23 밀양고례리유적 몸돌(석핵)연구 장용준 1346 2001.07.10
22 고대의 철제농구에 대한 연구 -김해,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김도헌 1301 2001.07.10
21 韓半島 有溝石斧 硏究 원중호 1400 2001.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