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학위논문

無文土器時代 住居樣式의 變化 : 忠南地方을 中心으로

1999-11-30 00:00:00
조회 1353
국문초록 지금까지 무문토기시대의 생계경제에 대한 연구는 도작농 경에 집중되어 있었다. 도작농경에 대한 논의는 1970년대 흔암리유적과 송국리유적에서 탄화미가 출토된 이래 본격화 되었으며 주로 도작농경의 전파상, 시작연대, 벼의 품종 확 인 등에 관심의 초점이 모아져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계 경제의 연구는 비단 농경의 시작연대, 전파양상 등 생계경 제 자체 뿐 아니라 변화의 인과요인, 생계경제방식의 변화 가 그 생계경제를 영위하는 집단에 미치는 사회적 영향등 에 관한 연구와도 관련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도작농 경자체에 대해서는 7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연구되었지만 그와 관련된 사회상의 변화는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못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처럼 지금까지 많이 다루어지지 못했던 무 문토기시대 도작농경정착단계에서의 사회상 변화를 주거양 식의 변화로 살펴보았다. 우선 사회상변화의 원인이 되는 도작농경의 정착을 유적 의 입지와 각 유적 출토 석기조합상으로 확인하였다. 논문 의 대상유적들은 10-20m 내외의 낮은 구릉 능선평탄면이나 남사면, 동사면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무문토기시대 전반에 걸쳐 유사한 입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중기 이후의 주거유 적들은 저평한 구릉이라 할지라도 주변에 논농사에 적합한 곡간충적지가 많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에 위치한다. 석기 의 양상은 시기가 흐르면서 농경과 관련된 농경구, 목공구 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같은 유적의 입지 와 석기상의 변화는 중서부지방에서 무문토기 중기 이후, 즉 송국리 문화단계에 도작농경이 정착되었음을 확인시켜준 다. 이러한 생계경제방식의 변화는 사회상에 영향을 주고 그것은 주거지의 제 양상 변화에서 확인된다. 도작농경정착 단계의 전형적인 주거지는 특징적인 송국리형 원형주거지이 다. 방형계 주거지는 이른시기부터 늦은 시기까지 계속 사 용되며 방형계의 주거지는 장폭비에 따라 방형, 장방형, 세 장방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 세장방형주거지는 무문토기시 대 전기에만 확인되며 방형, 장방형의 주거지는 동일한 형 태라 할 지라도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여준다. 방형주거지 는 이른시기의 방형주거지와 송국리형원형주거지와 공반되 는 방형주거지로 구분된다. 그 중 후자의 것이 더 소규모이 며 이것은 기능의 차이로 생각된다. 장방형주거지는 이른시 기에서 송국리문화단계까지 조성된다. 지금까지 송국리문화 단계의 장방형주거지는 송국리유적에서만 확인되었다. 장방 형주거지의 규모는 이른시기에는 20-30㎡내외이며 송국리유 적의 장방형주거지는 20㎡와 30㎡내외의 두 집단으로 구분 된다. 이것이 송국리유적만의 특정한 양상인지는 비교대상 이 없어 확인할 수 없었다. 주거지 규모는 점차 축소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도작농경 과 관련된 송국리형주거지는 면적이 20㎡내외로 이른시기 에 비해 훨씬 소규모이다. 주거지의 공간분포는 송국리문화 단계에 이르면 2-3기의 주거지가 하나의 군을 이루는 양상 을 보여준다. 위에서 살펴본 주거지의 변화는 경제행위의 방식변화에 따 른 경제단위의 변화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이른시기의 대형 주거지에서 공동거주하며 생산과 소비를 공동으로 하는 방 식에서 전형적 송국리문화단계에는 군을 이루는 2-3기의 주 거지들이 하나의 생산단위, 소비단위로 규모가 축소된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본 양상의 변화가 중서부지방에 국한된 것인지 또는 한반도 전역에 걸친 일반적인 현상인지는 아 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0개(3/3페이지)
 
학위논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20 남해안의 신석기시대 석부에 대한 일고찰 운영자 1262 1999.11.30
19 안면도 신석기문화연구-고남리패총유적을 중심으로- 운영자 1252 1999.11.30
>> 無文土器時代 住居樣式의 變化 : 忠南地方을 中心으로 운영자 1354 1999.11.30
17 유물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관계형 모델과 개체 지향형 모델 비교 연구... 운영자 1315 1999.11.30
16 인류 형질 성차의 진화: 성별을 알 수 없는 자료에서 성차 근사치를 구할... 운영자 1633 1999.11.30
15 中部地方 3∼4世紀 古墳群 一硏究 -細部編年과 古墳群 造營 樣相 分析 -... 운영자 1265 1999.11.30
14 韓半島 柱狀片刃石斧의 硏究 배진성 1241 1999.11.30
13 원형점토대토기문화연구-호서 및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안승모 1262 1999.11.30
12 제주도 신석기시대 토기 변천에 대한 연구 운영자 1265 1999.11.30
11 京畿地域의 烽燧硏究 운영자 1192 1999.11.30
10 한강유역 1-3세기 주거지 연구 -"풍납동식 주거지"의 형성과정을 중심... 운영자 1480 1999.11.30
9 호남지방 청동기시대의 주거지연구 안승모 1302 1999.11.30
8 경기북부지역 성곽출토 고구려 평기와 연구 박준범 1740 1999.11.30
7 신라 西原京 治址 연구 운영자 1437 1999.11.30
6 북한강유역 지석묘 연구 심재연 1169 1999.11.30
5 영동지역 청동기시대 주거지연구 안승모 1283 1999.11.30
4 영산강유역의 지석묘연구 안승모 1185 1999.11.30
3 삼국시대 시지취락의 변천연구 안승모 1177 1999.11.30
2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西三陵 移藏 태실을 중심으로- 운영자 1321 1999.11.30
1 가야서남부지역 출토 도질토기에 대한 일고찰 운영자 1292 1999.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