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몽골·부랴트 기원에 관하여

2017-04-18 11:11:56
조회 798

■ 책 개요
    ▪ 제목 : 몽골·부랴트 기원에 관하여
    ▪ 지은이 : B. R. 조리크투예프
    ▪ 번역 : 이우섭
    ▪ 감수 : 복기대
    ▪ 판형 및 페이지 : 150 X 220mm / 436쪽
    ▪ 발행일 및 가격 : 2016년 11월 27일 / 가격 25,000원
    ▪ ISBN : 978-89-6246-309-5 93910 
  
■ 책 소개 
이 책은 몽골과 부랴트 민족의 인종적 계통과 그와 관련한 몇 가지 중요한 문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몽골사 연구의 문제점은 고대의 ‘에르구네 쿤’이 어디인가 하는 충분한 검토가 없어 전체 몽골사가 완전하게 연구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물론 그동안 몽골 고대사가 단 한 번도 연구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과거 200년 넘게 이 문제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진행된 연구들이 종합적이며 총체적인 형태가 아니라 대부분 단편적이었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답을 얻어내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빈틈을 채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에르구네 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필자는 이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세계 학계에 알리고자 학술 조사단을 조직하여 차이나의 북동부 지역을 답사하였으며, 그 결과 몽골 민족의 기원과 초기 역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에르구네 쿤의 영역에 대한 적합한 개념을 정립할 수 있는 방대한 양의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 후 몽골제국 성립과정과 몽골제국 당시의 다양한 인종들 및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 몽골 사회의 정치적 연합 과정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부랴트 민족들과 관련해서는 부랴트 인종의 명칭이 발생한 초기 형태와 그 시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부랴트 민족들의 중심거주 지역인 바이칼호 서쪽과 동쪽 지역의 인종학적 특징들을 밝혀보았다.
더불어 이 책에서는 그동안 우리 학계 일각에서 제기되었던 한민족이 바이칼에서 기원했다는 견해에 맞서, 오히려 남만주지역에서 올라간 사람들이 오늘날 바이칼 문화권의 주류가 되었다는 학문적 연구결과를 확보할 수 있었다


■ 지은이
B. R. 조리크투예프
역사학 박사(Sc.D)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시베리아 분원, 몽골학, 불교학 및 티베트학과 연구원, (2011)
편집 및 출판 설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보스토치나야 리테라투라” 출판사, (2011)


■ 번역
이우섭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적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역사학부 고고학과에서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저서로는 『연해주의 문화유적Ⅲ』(공저), 『연해주 콕샤로프카-1 평지성 I』(공저), 『발해의 불교유물과 유적』(공저)이 있다.


■ 목차 

이 책에 대하여
저자 서문
감수자의 말

제Ⅰ장 에르구네 쿤과 몽골 역사의 기원
1. 에르구네 쿤의 위치에 대한 문제에 관한 두 개의 관점
2. 늑대(보르테-치노)
3. 에르구네 쿤에서 몽골인이 약 400년 동안 거주했다는 가설의 오류
4. 에르구네 쿤에 대한 전설
5. 몽골 명칭의 기원에 대한 가설들
6. 실위 종족들의 거주지에 대하여
7. 에르구네 쿤의 장소와 몽골 부족명의 의미를 확인하기 위한 국제 조사단의 연구결과
8. 고대 몽골어 ‘키얀’과 ‘키야트’의 어원
9. 에르구네 쿤으로부터 프레드 바이칼로의 이동
10. 몽골인들의 오논 도착·

제Ⅱ장 12~14세기 몽골의 사회와 몽골거대민족의 탄생
1. 다를료킨과 니룬 그룹의 몽골인들 구성
2. 하막 몽골 표현에 대하여
3. 언제 최초로 테무진은 칭기즈칸 작위를 받았는가?
4. 몽골 국가의 형성
5. 몽골 거대민족과 그 기본 특징들
6. 원나라의 파멸과 몽골 거대민족 공동체의 붕괴

제Ⅲ장 부랴트 민족체의 형성
1. 부랴트인들의 고대 민족 발생 단계에 대하여
2. 부랴트 민족체 형성 문제에 대한 사료 편찬
3. 바르구진-토쿰의 위치에 대한 문제에 대하여
4. 1207년에 있었던 몽골인들의 예니세이 원정에 대하여
5. 13세기 초 ‘호리-투마트인’들의 봉기에 대하여
6. 야쿠트의 ‘호롤로르인들’ 그들은 누구인가?
7. 『몽골비사』에서 ‘부랴트’라는 단어의 수수께끼
8. 부랴트 명칭과 부랴트 민족의 형성과정

제Ⅳ장 맺음말

참고 문헌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4개(11/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564 동북사강(東北史綱) (경희 고대사 · 고고학 연구총서 3) 최병식 888 2017.10.19
563 러시아 연해주와 극동의 선사시대 서경문화사 913 2017.10.18
562 ‘중국 고고학―송․원․명’ 신간안내 관리자 993 2017.09.20
561 ‘중국 고고학―진․한’ 신간안내 관리자 1191 2017.09.20
560 계간 한국의 고고학 37호 최병식 780 2017.09.20
559 경주에서 찾은 신라의 불국토 권혁재 811 2017.09.04
558 삼국유사 요모조모 권혁재 717 2017.09.04
557 마한 · 백제토기 연구 성과와 과제 권혁재 1032 2017.09.04
556 가야사 새로 읽기 최병식 789 2017.08.24
555 『신석기시대 도구론』 소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737 2017.08.21
554 ‘중국고대사’ 신간안내 관리자 917 2017.08.16
553 목간과 문자연구 17 최병식 594 2017.08.14
552 『그가 있었기에 – 최순우를 그리면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676 2017.07.27
551 청동기시대의 고고학(1~5) 서경문화사 1186 2017.06.27
550 계간 한국의 고고학 36호 최병식 900 2017.06.09
549 석기고고학 관리자 1184 2017.05.29
548 고려 대몽항쟁과 축성 서경문화사 779 2017.05.26
547 고구려 음식문화사 권혁재 927 2017.05.02
546 신화 속에 깃든 백제의 역사 권혁재 774 2017.04.21
545 동아시아와 백제토기(일본어) 土田 純子(츠치다준코) 774 2017.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