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아스카의 목간

2014-11-21 00:00:00
조회 626

- 2014년 일본고대역사문화상 수상 도서 -

■ 책 개요

제목 : 아스카의 목간 - 일본 고대사의 새로운 해명

지은이 : 이치 히로키

옮긴이 : 이병호

형태 : 신국판(150 * 220 mm) / 분량 308페이지

출간일 및 가격 : 2014년 11월 27일 / 가격 18,000원

 ISBN 978-89-6246-226-5 93910


_____________

■ 책 소개

 

아스카 시대를 연구하는 것은 일본 고대국가의 형성 과정을 해명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그 동시대 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문자가 쓰여 있는 나무 조각, 즉 목간木簡이다.

일본에서 목간을 인지한 것은 1961년 헤이조 궁 발굴 조사에서였다. 1966년에는 후지와라 궁, 그리고 아스카에서 목간이 출토되었다. 하지만 대량의 목간이 출토된 헤이조 경과 비교하면 아스카 후지와라 경 출토 목간의 수는 미미한 것이었다.

그런데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전반에 걸쳐 아스카와 후지와라 궁에서는 계속해서 목간이 출토되었다. 2011년 말 시점의 출토 수량은 아스카 목간 약 1만 5천점, 후지와라 경 목간 약 3만점(그 중 후지와라 궁 목간은 약 1만 6천점)이다. 다행히 필자는 2002년 5월부터 2009년 3월까지 나라문화재연구소의 아스카?후지와라 궁 발굴조사부(현 도성발굴조사부 아스카 후지와라 지구)에 재직하면서 이 목간들을 정리하는 귀중한 경험을 했다.

이 책에서는 주로 아스카?후지와라 궁에서 출토된 목간을 읽어 나가면서, 어떻게 일본이 고대 국가를 만들어 나갔는지 생각할 기회를 준다. 동시에 아스카 시대 사람들의 숨결도 느껴볼 수 있다.

목간 연구의 참다운 즐거움은 목간이 출토된 유적이나 유구와의 관련 속에서 목간의 사료적 가치를 끌어내고, 문헌사료와의 비교를 통해 새로운 역사적 사실을 찾아내는 데 있다. 이 책을 통해 목간 연구의 즐거움을 조금이라도 알려서 목간에 흥미를 갖는 사람이 늘어나기를 바란다.

 


__________________

■ 출판사 서평

 

일본 고대 국가의 골격이 한반도에서 많은 것을 배움으로써 형성

 

592년부터 710년까지 일본의 수도였던 아스카?후지와라 경에서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전반에 걸쳐 대량의 목간이 잇따라 출토되었다. 이러한 목간은 일본 고대 국가가 형성되어 가던 시기의 동 시대 사료이다. 이러한 목간을 통하여 일본 고대 국가의 형성 과정을 해명할 수는 없을까 라는 생각에서 목간의 정리?해독 작업에 몰두한 자그마한 성과가 이 책이다.

『아스카의 목간-일본 고대사의 새로운 해명』(中央公論新社, 2012년)은 전문 연구서인 『아스카 후지와라 목간의 연구』(?書房,2010년)의 내용을 바탕으로 몇 가지 새로운 견해를 덧붙여 일본의 일반인 독자용으로 새롭게 집필한 것이다. 목간이라는 것이 어떤 성격의 자료인지, 목간의 해독에 의해 일본 고대 사상을 어떻게 고쳐 쓸 수 있는지, 이런 점을 조금이라도 전달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기획된 책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무엇보다 절실하게 느끼게 되는 것은 일본 고대 국가의 골격이 한반도에서 많은 것을 배움으로써 형성되었다는 사실이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한일 양국 관계를 재검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________________

■ 저자 소개

 

?지은이 : 이치 히로키(市 大樹)

1971년 아이치 현에서 태어남. 2000년 오사카 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박사후기 과정 단위 수학 퇴학(2001년, 문학박사). 2001년부터 나라문화재연구소 연구원 · 주임연구원으로서 발굴 조사 · 목간 정리에 종사함. 2009년 오사카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준교수. 2012년 제8회 일본학술진흥회상 · 제8회 일본학사원학술장려상 수상. 2014 일본고대역사문화상 수상. 일본 고대사 전공.

 

저서 『아스카 후지와라 목간의 연구(飛鳥藤原木簡の硏究)』(?書房, 2010년); 『모든 길은 헤이죠 경으로(すべての道は平城京へ)-고대국가의 <지배의 길>(古代國家の<支配の道>)』(吉川弘文館, 2011년)

논문 「9세기 기나이 지역의 부호층과 원궁왕신가 · 제사(九世紀畿內地域の富豪層と院宮王臣家??諸司)」 『히스토리아(ヒストリア)』163, 2011년; 「일본 고대 전마 제도의 법적 특징과 운용 실태(日本古代傳馬制度の法的特徵と運用實態)-일당 비교를 실마리로(日唐比較を手がかりに)」 『일본사연구(日本史硏究)』544, 2007년; 물품 진상장과 공진하찰(物品進上狀と貢進荷札)」 藤田勝久 · 松原弘宣 편 『동아시아 출토자료와 정보전달(東アジア出土資料と情報傳達)』(汲古書院, 2011년

 

?옮긴이 : 이병호 李炳鎬

전남 순천에서 태어남. 서울대학교대학원 국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일본 와세다 대학 문학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음.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으로 재직 중이며 한국고대사(백제사) 전공. 저서로 『백제 불교 사원의 성립과 전개』(사회평론, 2014년), 번역서로 『정창원문서 입문』(태학사, 2012년)가 있고 백제의 도성과 사원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음.

 

_________

■ 목차

 

서장 1,300년의 시간을 넘어서 … 21

 

제1장 일본 최고의 목간 … 39

 

제2장 다이카 개신은 있었는가

1. 개신의 조의 신빙성 … 71

2. 「을축년」 하찰목간의 충격 … 79

3. 하찰목간에서 본 ‘군-평-오십호’제 … 86

 

제3장 덴무 천황과 지토 천황의 왕궁

1. 일본 최고의 역 … 101

2. 이시가미 유적의 성격 … 109

3. 아스카 기요미하라 궁의 모습 … 123

 

제4장 아스카의 종합 공방

1. 후혼센을 주조한 공방 … 139

2. 아스카이케 공방의 성격 … 150

제5장 아스카데라의 다채로운 활동

1. 아스카데라와 도쇼 … 165

2. 종교·의료·경제 활동 … 172

 

제6장 후지와라 경의 탄생

1. 오랜 조영 공사 … 191

2. 후지와라 경의 거리 … 203

3. 도시 문제의 발생과 신앙 … 220

 

제7장 일본 고대국가의 전환점 - 다이호 령 제정의 파문

1. 1,300년 후의 대발견 … 237

2. 획기로서의 701년 … 253

 

종장 「아스카 목간」의 의의 … 271

 

칼럼

① 창고와 목간 ② 구카이의 출신지 ③ 이시가미 유적 출토 정목

④ 「임신기」 편찬 때의 목간일까 ⑤ 만엽가를 새긴 목간

⑥ ‘부部’자를 어떻게 쓸까 ⑦ 두 명의 환속승

 

나오는 말 … 287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아스카 목간 관련 연표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2개(11/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562 ‘중국 고고학―송․원․명’ 신간안내 관리자 987 2017.09.20
561 ‘중국 고고학―진․한’ 신간안내 관리자 1184 2017.09.20
560 계간 한국의 고고학 37호 최병식 772 2017.09.20
559 경주에서 찾은 신라의 불국토 권혁재 804 2017.09.04
558 삼국유사 요모조모 권혁재 711 2017.09.04
557 마한 · 백제토기 연구 성과와 과제 권혁재 1027 2017.09.04
556 가야사 새로 읽기 최병식 783 2017.08.24
555 『신석기시대 도구론』 소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732 2017.08.21
554 ‘중국고대사’ 신간안내 관리자 912 2017.08.16
553 목간과 문자연구 17 최병식 587 2017.08.14
552 『그가 있었기에 – 최순우를 그리면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668 2017.07.27
551 청동기시대의 고고학(1~5) 서경문화사 1180 2017.06.27
550 계간 한국의 고고학 36호 최병식 891 2017.06.09
549 석기고고학 관리자 1178 2017.05.29
548 고려 대몽항쟁과 축성 서경문화사 771 2017.05.26
547 고구려 음식문화사 권혁재 918 2017.05.02
546 신화 속에 깃든 백제의 역사 권혁재 768 2017.04.21
545 동아시아와 백제토기(일본어) 土田 純子(츠치다준코) 769 2017.04.19
544 몽골·부랴트 기원에 관하여 최병식 789 2017.04.18
543 박물관 전시 및 교육론 권혁재 806 2017.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