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2018-06-20 11:12:23
조회 887

■ 도서 개요
    ▪ 제목 :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 지은이 : 전덕재
    ▪ 판형 및 페이지 : 150 X 220mm / 564 페이지
    ▪ 발행일 및 가격 : 2018년 6월 28일 / 가격 30,000원
    ▪ ISBN 978-89-6246-352-1 93910
    
■ 책 소개

한국고대사 연구의 핵심 사료
현재 전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사서는 『삼국사기』이다. 이것은 삼국과 통일신라 역사 연구의 기본 사료로서 가치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그 후에 편찬된 사서들의 전범(典範)이 되었다는 측면에서 사학사적으로 의의가 결코 작지 않다.
그런데 『삼국사기』에 대한 평가는 그리 호의적인 편이 아니었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삼국사기』를 성리학적인 대의명분론에서 일탈한 사서로 폄하 하거나 사대성이란 측면에서 엄격성이 결여된 사서라고 비난하였다. 근대 일본인 학자들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언급된 왜의 한반도 지배를 명확하게 밝히지 않은 『삼국사기』 기록의 사실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공격하였고, 민족주의 사학자들은 사대주의적인 사서로서 그 가치를 극도로 폄하 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실성에 대해서도 강력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해방 후 남북한의 사학자들은 『삼국사기』에 대한 민족주의 사학자들의 비판적 인식을 대체로 계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선시대 이래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삼국사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삼국사기』 기사를 치밀하게 분석하여 사실성 여부를 검증하고, 그 전거 자료에 대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저자는 본서에서 이와 같은 연구방법론에 기초하여 『삼국사기』 본기의 원전과 그것의 개찬과정을 명확하게 해명함으로써 『삼국사기』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목차 

서론
1. 『삼국사기』 본기의 원전을 둘러싼 연구동향
2. 본서의 연구방법론
3. 본서의 내용과 구성

제1부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원전(原典)과 편찬(編纂)
제1장 상고기(上古期) 기록의 원전과 개찬(改撰)
1. 신라본기의 기본원전과 『국사(國史)』
2. 중대 『국사』의 개수(改修)
3. 『구삼국사(舊三國史)』의 내용과 상고기 기록의 완성
제2장 중고기(中古期) 기록의 원전과 완성
1. 중고기 기록의 개수(改修)와 『구삼국사』
2. 중고기 기록의 원전과 그 성격
3. 중고기 기록의 완성
제3장 중·하대(中·下代) 기록의 원전과 완성
1. 중국 사서의 인용과 그 추이
2. 국내 자료의 인용과 중 ·하대 기록의 완성
고구려본기의 원전과 편찬

제2부
고구려본기의 원전과 편찬
제1장 광개토왕대 이전 기록의 원전과 완성
1. 중국 사서와 국내 자료의 인용 및 그 성격
2. 광개토왕대 이전 기록의 기본원전과 완성
제2장 장수왕대 이후 기록의 원전과 찬술
1. 중국 사서의 인용과 그 특징
2. 국내 자료의 인용과 장수왕대 이후 기록의 완성

제3부
백제본기의 원전과 편찬
제1장 중국 사서와 국내 자료의 인용
1. 중국 사서의 인용과 그 성격
2. 신라·고구려 교섭 기록의 성격과 인용 추이
제2장 백제본기 기록의 기본원전과 개찬(改撰)
1. 『서기(書記)』의 내용과 개수(改修)
2. 『구삼국사』의 저본자료와 백제본기의 완성

결론
보론 1. 조선시대 유학자와 민족주의 사학자의 『삼국사기』 인식
보론 2. 『삼국사기』 신라본기 초기 기록의 사료비판과 활용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3개(4/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703 계간 한국의 고고학 54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56 2022.02.25
702 경산 소월리 목간의 종합적 검토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63 2022.02.25
701 동아시아 논어의 전파와 계양산성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96 2022.02.25
700 『한국식 청동무기의 동북아지역 전개』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31 2022.01.06
699 『연해주 선사고고학 개론』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72 2021.12.08
698 야외 고고학 입문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553 2021.12.02
697 고구려 국가제사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372 2021.11.17
696 성왕, 공주에 대통사를 세우다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300 2021.11.17
695 가야사의 인식변화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99 2021.11.15
694 한국 고대의 시선과 시각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23 2021.11.09
693 『실크로드 문명교류사 서설』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63 2021.11.09
692 『2020년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25 2021.10.22
691 『발해고고학』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52 2021.10.18
690 『고고학으로 백제문화 이해하기』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98 2021.10.18
689 『고고학자가 얘기하는 우리의 선사시대』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69 2021.10.18
688 『일본문화의 기원 송국리 문화』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419 2021.10.18
687 한국의 고고학 53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82 2021.10.15
686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46 『발해 고고학』 발간 사진 (재)중앙문화재연구원 208 2021.10.14
685 일본 고대 목간론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96 2021.10.08
684 중국고고학, 위대한 문명의 현장 사진 첨부파일 박종서 444 2021.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