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중국 고고학―진․한’ 신간안내

2017-09-20 11:47:53
조회 1187

중국 고고학 신간안내

 

제 목 : 중국 고고학

영남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14

저 자 : 조화성, 고숭문

역 자 : 정대영

발행기관 : ()사회평론아카데미

발행연도 : 2017. 8. 25

ISBN : 979-11-88108-27-5 93910

분 량 : 269

판 형 : 165×235mm

가 격 : 20,000

구입문의 : 02-2191-1132

 

책소개

 

중국 진한(秦漢) 시대의 중요한 발굴 및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개론서이다. 중국 문물출판사가 출판한 20세기 중국 문물고고 발견과 연구총서(20世紀中國文物考古發現與硏究叢書) 중의 하나로, 이번에 송원명(宋元明)’ 편과 함께 번역 출간되었다. 이로써 지난 2012년 출판된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편과 수당(隋唐)’ 편에 이어 모두 4편의 중국고고학 시리즈가 한국 독자들에게 선을 보이게 되었다. 이 연구총서는 각 시대를 대표하는 권위자들이 집필을 맡아, 독자들로 하여금 시대별 특징과 연구 성과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핵심만을 담아낸 중국고고학 입문서로 널리 알려져 있다.

 

중앙집권체제 국가 모델 확립

중국고고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왕조를 기준으로 시기 구분을 한다. 구석기와 신석기 시대에 이어 하상주, 진한, 위진남북조, 수당, 송원명으로 나눈다. ‘진한 고고학은 역사고고학의 범주에 속하며, 중국이 국가로서의 기틀이 형성되는 시기인 서기전 221년 진의 통일에서 서기 220년 동한 왕조의 멸망까지 진, 서한, , 동한에 이르는 4왕조 400여 년의 역사를 대상으로 한다. 지역 범위는 현재 중국 영역의 경계를 기본으로 하며 한족(漢族) 주체인 한문화(漢文化) 지역과 같은 시기 주변 소수민족문화 지역을 포함한다.

진한 시기는 진시황의 6국 통일을 통해 전국시대 제후할거의 정치적 국면이 마감되고 군현제를 기반으로 하는 중앙집권체제 통치구조가 출현하는 새로운 역사단계이다. 진 왕조는 비록 단명하였지만 한 왕조는 진의 통치제도를 계승함으로써 이러한 중앙집권체제 국가 모델은 이후 왕조에서도 하나의 일관된 정치질서와 사회제도로 운용되었다.

 

고고학 자료의 대대적 발굴

중국고고학에서 20세기 전반기에 진행된 서북지역 탐험조사 및 출토 간독(簡牘)에 대한 연구와 동북지역의 한묘(漢墓) 발굴은 비록 보물찾기의 성격을 띠고 있었지만 근대적 의미에서 진한 고고학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어 일본의 중국 침략과 더불어 동북지역에서 일본인에 의해 다수의 한묘가 발굴되고 보고서도 출간되었다. 중국학자들도 이 시기 100여 기의 한묘를 발굴하였다.

1950-70년대에 고고학 조사와 발굴은 대대적으로 전개되었으며 고고학 자료도 축적되었다. 그리고 이에 기초한 전문화된 연구와 종합연구도 초보적인 성과를 축적하면서 진한 고고학의 편년과 연구영역의 체계가 수립되었다. 이 시기 전국적으로 발굴된 한묘의 수량은 1만여 기에 이른다. 대형 한묘의 발굴은 기남(沂南) 화상석묘의 발굴과 허린거얼(和林格爾) 벽화묘의 발굴이 대표적이며, 중소형 한묘의 발굴은 낙양 소구한묘(燒溝漢墓)의 발굴과 편년 연구가 알려져 있다.

1970년대 후반에서 90년대 말까지, 중요한 고고학 발견이 차례로 이어졌으며 고고학 자료의 축적은 더욱 풍부해졌다. 진시황릉과 병마용, 한 장안성 미앙궁(未央宮), 경제(景帝) 양능(陽陵)  10여 기의 대형 제후·열후묘가 발굴되어 한대 문명의 찬란함을 보여주었다. 이 시기 전국적으로 발굴된 중소형 한묘는 대략 10만여 기에 이르며 이를 통해 한대 지역문화의 특징을 인식하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그리고 고고(考古), 문물(文物), 고고학보(考古學報)를 비롯한 10여 종의 고고학 잡지에 다수의 진한 고고학 자료가 발표된 것 외에도 20여 권의 정식 발굴보고서가 출간되었다. 진한 고고학 자료의 이러한 지속적 축적은 종합연구를 새로운 단계로 도약시켰다. 현재까지 국내외에 발표된 연구논문은 1천여 편에 이르며 전문저서도 수십 권이 출간되었다.

 

중요한 발굴 및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

이 책은 이러한 발굴성과와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20세기 이루어진 진한 고고학의 중요한 발견과 발굴 및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서술한 중국고고학 입문서이다. 구체적으로는 진한 시기 고고학의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1장 진의 도성 함양과 진시황릉, 2장 한대 장안성, 낙양성과 황제릉, 3장 한대 제후왕과 열후의 무덤, 4장 한대 중소형 무덤의 분구와 분기, 5장 한대 화상석과 화상전, 벽화 및 백화, 6장 한대 청동기, 7장 진한 칠기, 8장 한대 직물, 9장 한대 변경유적과 간독, 10장 진한 무덤 출토 간백, 11장 진한 시기 주변민족 등의 11개 부분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그 연구사를 정리하였다. 특히 4장 한대 중소형 무덤의 편년연구에서는 한대 무덤을 다시 낙양 중심의 중원지역, 관중지역, 하서지역, 북방장성 일대, 동북과 북경지역, 산동과 강소성 북부지역, 장강중류지역, 장강하류지역, 서남지역, 광동 및 광서지역의 10개 권역으로 세분하여 고고학적 성과와 지역적 특징을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체계적인 연구영역의 구분과 지역 구분은 진한 시기 고고학 자료의 불균형을 극복하고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서술방식이며 발굴조사 자료의 연구사적 의미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측면이 있다. 아울러 이 책의 각 장에서는 관련 고고학 자료에 대한 서술과 더불어 출토자료에 반영된 다양한 문화양상에 대해서도 서술하고 있으며,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총괄적인 평가와 더불어 연구 현황과 향후 연구 전망에 대해서도 다양한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진한 시대에 관심 있는 연구자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이전에 번역 출판된 중국고고학 서적

중국 고고학-위진남북조, 나종진 지음 / 정대영 옮김, 2012

중국 고고학-, 제동방 지음 / 이정은 옮김, 2012

지은이 소개

조화성 赵化成

1952년 산시(陝西)성 한중(漢中)에서 태어났다. 1977년 시베이대학 (西北大學) 역사학과 고고학전공, 1984년 베이징대학(北京大學) 고 고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현재 베이징대학 고고학과 교 수이며 한당고고연구실 주임이다. 주요 논저로는 감숙동부지역 진 과 강융문화의 고고학적 고찰(甘肃东部秦和羌戎文化的考古学探索), 주대 관곽다중제도 연구(周代棺椁多重制度研究), 진시황 능원배 치구조의 재인식(秦始皇陵园布局结构的再认识) 등이 있으며 다수의 고고학 발굴조사보고서가 있다.

 

고숭문 高崇文

1948년 허베이(河北)성 옌산(鹽山)에서 태어났다. 1975년 베이 징대학(北京大學) 역사학과 고고학전공. 현재 베이징대학 고고학 과 교수이다. 주요 논저로는 서한제후왕묘의 거마순장제도 고찰 (西汉诸候王墓车马殉葬制度探讨), 초기사용예제고(楚器使用礼制考), 초영도예제고(楚郢都礼制考) 등이 있다.

 

옮긴이 소개

 

정대영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中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양대 학교 문화재발굴보존학과 교수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중국 탐원공정과 선사고고학(공저), 동아시아 옹관묘(공저), 중국문명 기원연구의 동향과 성과, 중국 동북지방 청동기시대 석관묘제와 장속의 지역성 등이 있다.

 

 

 

목차

서문   5

 

1장 진도(秦都) 함양(咸陽)과 진시황릉에 대한 고고학 발견과 연구   15

1. 진도 함양에 대한 고고조사와 발굴  15

1) 궁전 유적  16

2) 수공업공방 유적  20

3) 함양 부근의 능묘(陵墓)구역  21

4) 진도 함양에 대한 종합연구  23

2. 진시황릉과 병마용갱의 고고학 발견  25

1) 능원의 건축 유적  25

2) 능원 주변의 배장갱  30

3) 배장묘  35

4) 형도(刑徒)무덤과 수능(修陵)의 공장(工匠)무덤  36

5) 진시황릉과 병마용의 고고자료  37

3. 요령성 수중(綏中) 강녀석(姜女石) 행궁(行宮) 유적  38

 

2장 서한 장안성과 동한 낙양성 및 한대 제릉(帝陵)   41

1. 서한 장안성의 조사, 발굴과 연구  41

1) 성벽, 성문 및 내부도로  43

2) 궁전과 무고  45

3) 시장, 수공업 유적, 주거구역  50

4) 남교(南郊)의 예제성(禮制性) 건축군  51

5) 장안성 주변의 기타 건축 유적  53

6) 한대 장안성의 종합연구  54

2. 동한 낙양성의 조사, 발굴과 연구  57

3. 서한 황제릉의 조사, 발굴과 연구  65

1) 서한 제릉  65

2) 동한 제릉  74

 

3장 한대 제후왕과 열후 무덤의 발굴과 연구   77

1. 한대 제후왕묘  79

1) 1950년대에서 1960년대 초 제후왕묘의 발굴과 연구  79

2)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까지 제후왕묘의 발굴과 연구  81

3) 198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제후왕묘의 발굴과 연구  91

2. 한대 열후묘  102

1) 1950~60년대 열후묘의 발굴과 연구  102

2) 1970년대 열후묘의 발굴과 연구  104

3. 제후왕과 열후묘에 대한 종합연구  110

 

4장 한대 중소형 무덤의 발굴과 분구(分區) , 분기(分期) 연구   115

1) 낙양(洛陽) 중심의 중원지역 한묘  118

2) 관중지역의 한묘  120

3) 하서(河西) 지역과 청해(靑海) 동부지역의 한묘  122

4) 북방 장성지대(長城地帶) 의 한묘  125

5) 동북 및 하북 북부, 북경지역의 한묘  127

6) 산동과 강소성 북부 및 주변지역의 한묘  128

7) 장강 중류지역의 한묘  130

8) 장강하류[江南] 지역의 한묘  132

9) 서남(西南) 지역의 한묘  134

10) 양광(兩廣) 지역의 한묘  136

 

5장 한대 화상석, 화상전, 벽화, 백화의 발견과 연구   139

1. 화상석  139

2. 화상전  154

3. 벽화  157

4. 백화(帛畵)  160

 

6장 한대 청동기의 발견, 기록과 연구   163

1. 한대 청동기의 발견과 기록  163

2. 한대 청동기의 종합연구  168

1) 한대 청동기 제조업 연구  170

2) 한대 청동기명문 연구  172

3) 한대 청동기 기물학(器物學) 연구  177

3. 한대 청동기 연구의 평가와 전망  182

 

7장 진한 시기 칠기의 발견과 연구   185

1. 진대 칠기의 발견과 연구  185

2. 한대 칠기의 발견과 연구  188

1) 한대 칠기의 연구  188

2) 한대 칠기 제조업의 관리  190

3) 한대 칠기의 공예기술  194

4) 한대 칠기의 종류와 공예 특징  195

 

8장 한대 방직품의 발견과 연구   201

 

9장 한대 변새 유적 및 간독의 발견과 연구   213

1. 1단계(1906~1949) 의 발견  213

1) 스타인의 발견  213

2) 주병남의 발견  216

3) 중국-스웨덴 서북과학고찰단의 발견  216

4) 서북과학고찰단의 발견  218

2. 2단계(1949년에서 현재까지) 의 발견  219

1) 거연한간의 신발견  219

2) 돈황한간의 신발견  220

3) 서역한간의 신발견  223

3. 중국 서북지구 출토 한간의 연구  224

 

10장 진한 무덤 출토 간백의 발견과 연구   231

1. 진간의 발견과 정리  231

1) 운몽 수호지 진간  231

2) 청천 학가평 진간  234

3) 천수 방마탄 진간  234

4) 운몽 용강 진간  235

5) 강릉 양가산 진간  236

6) 강릉 왕가대 진간  236

7) 사시 주가대 진간  237

2. 한대 간백의 발견과 정리  237

1) 무위 의례  239

2) 임기 은작산 한간  239

3) 마왕퇴 한묘의 간독과 백서  240

4) 강릉 장가산 한간  244

5) 연운강 윤만 한간  244

3. 진한 무덤 출토 간백 연구 개요  245

1) 일서간(日書簡) 의 연구  245

2) 법률류 간독의 연구  246

3) 마왕퇴 간백의 연구  247

 

11장 진한 시기 주변지역 민족의 고고학 발견과 연구   253

1. 흉노의 고고학 발견과 연구  253

2. 오환과 선비의 고고학 발견과 연구  257

 

참고문헌  265

옮긴이의 글  267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3개(6/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663 가야와 주변, 그리고 바깥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66 2020.10.27
662 『글바위, 하늘의 문 – 울산 천전리 각석이야기-』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522 2020.10.16
661 평양 호남리 고구려 무덤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49 2020.10.05
660 『고구려 고고학』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710 2020.07.31
659 목간과 문자 연구 23 (한국목간학회총서)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32 2020.07.23
658 새롭게 해석한 광개토왕릉비문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783 2020.07.21
657 한국과 오키나와 - 초기 교류사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720 2020.07.21
656 한국의 고고학 48호 (2020년)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620 2020.07.20
655 한국의 고고학 47호 (2020년)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816 2020.04.27
654 [지인공간] 『유산, 문화, 그리고 세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탐방 1』...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826 2020.04.21
653 『인천 검단의 고고학』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767 2020.04.21
652 『비화가야(非火加耶)』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589 2020.04.21
651 동북아 초기철기문화의 성립과 고조선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793 2020.03.31
650 다시 쓰는 고조선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988 2020.03.31
649 청동기시대 석기 생산 체계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806 2020.03.05
648 (재)백두문화재연구원 **신간 안내** 『나만의 한국사』 사진 첨부파일 백두문화재연구원 696 2020.02.28
647 황룡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631 2020.02.17
646 『실크로드의 대제국 천산 위구르 왕국의 불교회화』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809 2020.02.04
645 백제 의자왕 평전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727 2020.01.31
644 21세기 한국 고대사 (구석기시대 ~ 남북국시대) 사진 주류성출판사 969 2020.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