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현장소식

사적 259호 강화 선원사지

2001-06-13 10:31:00
조회 2093
1. 조사개요 가. 유적 명칭 : 사적 259호 강화 선원사지 나. 유적의 위치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지산리 692-1번지 사적지 및 그 주변지 역(692-2, 693-2, 산 113) 2,575㎡. 다. 조사기간 : 2000년 11월 13일 ~ 2001년 6월 28일 (약 140일간) 라. 조사기관 : 동국대학교 박물관 (관장 장충식) 2. 유적의 연혁 선원사는 고려시대에 몽고의 침입에 항쟁하기 위하여 강화도에 도읍하 고 있을 때, 당시 최고집권자였던 최우에 의해 대몽항쟁의 정신적 지주 로 삼고자 1245년에 창건되었다. 이 사찰은 대장도감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한 대장경을 체계적으로 봉안・관리하며, 이 대작불사를 원만히 회향하기 위하여 대장도감 옆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선원사 는 당대의 제일 고승인 진명국사가 초대 주지로 취임한 이후, 여러 명 의 국사가 선원사에 주석하였다. 그들에 의해 선원사는 법보를 봉안한 국찰로서 또 국사를 배출한 선찰로서 발전을 거듭하였다. 충렬왕 때에 는 임시 궁궐로 사용될 만큼 규모가 웅대했지만, 조선 태조대에 대장경 이 서울의 지천사로 옮겨진 후 점차 쇠퇴하였다. 3. 조사 목적 현재 전면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곳은 사적지의 내부와 북단 일부이다. 이번 4차 발굴에서는 여러 지도위원들의 견해에 따라 사적지의 내부 곳 곳에 보이는 중복 유구에 대한 정밀 발굴 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그 리고 탐색갱 조사를 통해 동시대의 건물지가 확인된 사적지 동북단 지 역을 전면 발굴하고자 한다. 동시에 탐색 작업만 이루어진 사적지 서 남단부의 추정 중문지대를 전면 조사하여 본 건물지군의 성격을 보다 명백히 하고자 한다. 이는 주변 지역의 탐색 조사에서 노출된 유구들에 대해 연차적인 조사 계획에 따른 것으로, 이를 통해 유적의 정확한 범위・건물 유구와 구 조・규모 등을 파악하여 유적의 정확한 성격을 밝히고자 한다. 그 결 과 선원사이었음이 확인될 경우, 향후 이의 정비 및 복원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대장경판각과 관련된 선원사의 사 적 의미와 고려후기 건축사의 중요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 조사내용 - 1차 발굴 지역 : A, B 지구 - 2차 발굴 지역 : C, D 지구 - 3차 발굴 지역 : E, F 지구 - 4차 발굴 지역 : F, G 지구 1) F지구 ① 5층단으로의 교통로 및 북 제2석축 E지구 동 제1건물지 북단 교통로로부터 동쪽의 실외로 나와 북쪽으 로 꺾여 제5층단 상으로 올라가는 교통로가 확인되었다. 또한 이 교통 로를 동서 방향으로 관통한 배수로(폭 상단 27cm, 하단 40cm, 높이 60cm, 동서 길이 3.6m)가 노출되었으며, 이 배수로는 동쪽으로 약 2.8m 흐르다 남으로 꺾여 약 3m 내려간다. 여기서 폭 1.3m의 동서 방향 으로 8.6m 뻗어있는 배수로와 십자(十)로 교차하여 동 제2건물지의 서 쪽 기단과 만나며 암거 시설로 된 배수로(외폭 80cm, 내측 좌우 30cm x 높이 17cm, 남북 길이 7.5m)로 변하여 C지구 쪽으로 내려가고 있다. 그리고 F지구의 북단으로 한 층단 높은 지형이 있다. 이 상면에 대형 건물들이 들어선 G지구가 있는데, 두 층단이 만나는 경사면에 대형 할 석을 이용한 남향 석축(북 제2석축)이 동서 방향으로 현재 약 60m 이 상 노출되어 있으며 추정 높이는 약 4m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② 東 건물지 C지구의 중앙석축 동단부에서부터 올라온 행랑이 연결되는 남향의 건물지(전면 : 24.2m, 측면 : 10.4m)가 노출되어 있다. 전면은 5칸으로 추정되며 주칸은 340m이다. 측면은 3칸으로 중앙칸은 간격이 4.4m이 고 좌우칸은 1.9m로 중앙칸이 넓은 건물지다. 일부 적심들이 완전히 교 란되어 정확한 칸수를 파악하기 어렵다. 남아 있는 초석은 60cm x 100cm, 85cm x 85cm 크기의 할석으로 만들어졌고, 적심의 직경은 1.4m~1.5m정도이다. 전면인 남쪽 기단은 높이 1.6m의 석축이 활용되었고, 서단부쪽은 중 앙 석축의 동단부에서 올라온 행랑이 연결되고 있다. 현재 노출된 건물 지 내부에 특별한 유구가 없어 어떤 용도로 지어진 건물지인지 알 수 가 없다. ③ 南 건물지 F지구 동 건물지의 동남단에 인접하여 전면 2칸, 측면 2칸의 소형 건 물지가 확인되었다. 동서 주칸은 3.7m, 남북 주칸은 3.5m 정도로서 적 심의 직경은 1.5m이고 대형 할석(대 : 100cm x 80cm, 소 : 80cm x 80cm)을 초석으로 사용하였다. 서쪽 기단선은 배수로의 동벽으로 사용 되었고, 동쪽 기단선은 대형 할석을 이용하여 남북방향으로 약 7m정 도 정연하게 쌓아졌다. 이 소형 건물지의 전면으로 보이는 남단은 중앙석축이었을 것으로 보 이는데 현재 완전히 유실된 상태이다. 북쪽은 동 건물지의 남단 기단 으로 이용된 석축의 전면에 바로 붙어 있어 북쪽 기단부가 불분명하 다. 건물의 용도는 그 규모로 보아 주거 공간보다는 종루와 같은 건물 지가 아닐까 여겨진다. 2) G지구 ① 북 제3석축과 대형건물지 G지구의 대지는 대략 600여평 정도로 파악되는데, 그 남단부에 동서 방향으로 약 30m 정도 뻗은 남향 석축(북 제3석축)이 노출되어 있다. 이 석축은 G지구의 대지를 확보하며, 동시에 그 북단에 위치한 대형건 물지의 전면 기단으로 사용되었다. 이 대형건물지는 남향하는 전면 5 칸, 측면 3칸의 건물지로 적심의 직경이 대체로 1.5m~1.6m에 이른다. 주칸의 간격은 동서는 4.5m, 남북은 3.8m이며, 기단 길이는 측면과 후 면이 불분명하나 전면 28m, 측면 16.7m정도로 추정된다. 이 규모는 발 굴 조사된 건물지 중에서 중앙건물지대의 금당지 다음으로 큰 건물이 다. 그러나 이 대형건물지에는 일부 초석들로 보이는 대형 석재들이 남아 있는데, 다른 건물지의 적심이나 초석 상태보다 그 짜임새가 엉성하 다. 한편 이 초석들의 바로 하층 약 20cm 정도 낮은 레벨에서 소형의 건물 유구들이 중복 노출되고 있다. 이 하층 유구와 관련된 토층에서 출토된 와편이나 막새류가 다른 건물지에서 출토된 것들과 같아 동시 대 건물지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이 하층 유구들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할 듯 하다. 한편 북 제3석축은 이 대형건물지의 하중을 제대로 지탱하며, 일종의 통로로도 사용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치된 듯한 보강석축이 조성되어 있다. 보강석축은 동서 방향으로는 대형건물지의 전면 기단 길이와 같 은 28m로 추정된다. 남쪽으로는 폭 6m에 이르는 3열의 보강석축이 조 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보강석축 내에는 대형건물지의 동서방향 적심과 남북으로 연결되는 소형의 초석들이 2열씩 자리하고 있어 아마도 대형 건물 전면(남쪽)의 교통로상에 지붕이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 대형건물지의 중앙칸의 적심 사이에는 석열이 동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어떤 목적을 지닌 듯 보이나 그 용도를 알 수 없다. 또 한 보강석축 남단의 중앙부(폭 2m)가 전면으로 약 0.9m정도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부는 대형건물지의 중앙칸과 일치하고 있어, 이 곳이 건 물의 중심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② 북 제4석축 대형건물지의 북단에 동서로 뻗어 남향하는 석축이 노출되어 있다. 현 재의 지형을 감안할 때, 이 석축은 사역의 북쪽 경계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석축 전면에 쌓인 와편을 포함한 교란토가 북쪽이 높고 남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며 낮아지는 상황이 주목된다. 이는 북 제4석 축의 후면(북)에 조영되었던 건물이 전면(남)으로 무너졌던 결과로 보 인다. 사실 북 제4석축의 서단부 후면의 급경사면 위에는 건물이 조영 될 만한 평탄한 대지가 있다. 또한 석축 동단부의 후면(북)으로도 완만 한 대지가 조성되어 있어 건물지가 조성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③ 동건물지 대형건물지의 동편으로 전면 5칸, 측면 3칸의 남향하는 건물지가 노출 되었다. 기단 길이는 전면(동서)은 16.2m이고 측면(남북)은 10.4m이 다. 주칸의 간격은 전면의 경우 서쪽 2칸은 주칸이 3m이고 중앙부는 주 칸이 3.3m 그리고 동단부는 주칸이 2.5m로 주칸이 조금씩 다르다. 특 히 동쪽 2칸은 구들 시설이 설치된 주거 공간이었다. 측면의 주칸은 첫 칸은 1.8m, 둘째칸은 3.3m, 셋째칸은 2.1m로서 역시 주칸이 모두 다르 다. 초석은 크기 63cm x 59cm, 110cm x 95cm 등 다양한 크기의 할석 을 사용하였으며, 적심의 직경은 약 1.7m 내외로 보인다. 동쪽 2칸은 할석과 와편을 이용한 구들 시설(사진 7)이 있는데, 대체 로 와열의 폭은 35cm ~60cm으로 부분적으로 다양하고, 골의 폭은 25cm ~ 35cm, 깊이 40cm 정도이다. 다른 건물지의 구들이 남북 방향 으로 길게 뻗은데 비해 장방형의 모습을 가지고 있음이 주목된다. 그러 나 그 동단이 조사 영역을 넘어섰기 때문에 전면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 지 못하였다. 단지 구들의 골의 모습이나 벽면의 흙이 탄 것을 감안할 때 아궁이는 동남단에 있었고, 아궁이에서는 3열로 시작되어 북쪽에서 는 다열의 골로 확장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건물의 용도는 동편의 두 칸만 구들이 설치된 것을 볼 때, 동단부는 주 거 공간이고, 중앙칸부터 서단부는 다른 용도로 사용한 복합 건물이 아 닐까 생각하나 구체적 용도는 알 수 없다. 3) 기타 지역 ① 사적지 남단의 중문지 전면과 남 제3석축 B지구의 남단에서 문지(중문지)와 함께 좌우 회랑이 노출되었다. 우 선 중앙부에 위치한 문지의 경우, 좌우 회랑지의 적심과 비교할 때, 적 심의 크기와 주칸에 차이가 있다. 문지의 주칸은 동서 4m이며 남북도 4m로 좌우편의 회랑지와 간격은 같다. 그러나 적심의 직경이 1.6m로 회랑지의 적심(1.2m)보다 크다. 문지는 정면 3칸의 3문 형태이며 측면 은 확실하지는 않지만 남쪽 경사면의 중단에 있는 대형 할석을 적심석 의 일부로 본다면 2칸 이상으로 볼 수 있을 듯 하다. 대체로 문지 중앙부의 남단은 그 좌우 편과 달리 남쪽으로 더 돌출되 어 있고 완만한 경사를 가지며 내려가고 있다. 아마도 계단시설이 있었 으리라 생각되었지만, 발굴 조사 결과 문지 적심에 연결될만한 잡석군 만 나올 뿐 특별한 계단시설은 보이지 않는다. 또한 남 제3석축(추정 높이 2.5m)의 서단부도 석축 하단부의 일부만 확인되었다. 아마 99년 에 철거된 민가에 의해 이곳이 심하게 교란되며 흩어져 버린 듯 하 다. ② D지구 중남단 건물지 동남단에서 중앙건물지군과 동시대의 것으로 볼 수 있는 남북 방향으 로 길게 조성된 축대(건물지의 기단선으로도 활용)와 함께 부분적인 후 대 건물지 및 배수로 등이 노출되었다. 이 곳은 근래까지 건물지가 있 었던 곳으로 본래 축대로 조성된 대지 상에 건물지가 약 2개소 존재하 였을 것으로 보지만, 현재 남아 있는 적심들은 희미하다. 아마도 후대 건물지가 들어서며 심하게 교란된 것으로 건물지의 정확한 규모를 파 악하기 어렵다. 4) 출토 유물 F・G지구의 출토 유물은 대체로 와전류가 대부분으로 다른 지역에서 출토된 와전류와 출토 양상이 비슷하다. 기와의 양식도 중앙건물지대 와 동일하며 막새도 역시 그러하다. 다만 주목할 만한 점은 ⌈Om Ma ni Pad me Hum(唵摩尼叭迷哞)⌋이 새겨진 범자문막새와 ⌈朴氏・劉氏 銘⌋막새가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점이다. 또한 높이 4.7cm, 폭 1.2cm의 청동나한상(사진 10)이 수습되었고, 두 루마리 사경축의 마무리 금동장식품(사진 11), 불에 완전히 탄 금니사 경편(사진 12), 묵서사경편(사진 13, 14) 등이 수습되었다. 이러한 유물 들은 본 건물터의 성격을 이해하는 방증 자료가 될 수 있다. 더불어 사적지 동단의 C・D지구에 비해 그 북단의 F・G지구에서는 자기편의 출토수가 절대적으로 적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F・G지구 의 경우, 단순한 주거나 생활 공간은 아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5. 조사의견 우선 사적 259호로 지정된 선원사지는 학계에서 그 위치 비정, 판각 여 부 및 경판 소장 등의 문제를 놓고 적지 않은 이견이 있어 왔던 곳이 다. 그러므로 본 발굴단은 현 사적지의 발굴조사를 통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얻고자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면 이상의 유구 노출 상황과 출토 유물을 통해 본 건물지의 성격 을 생각해 보자. 먼저 지금까지의 발굴 조사 과정에서 밝혀진 유구의 현상을 통해 볼 때, 대체로 현 사적지로 지정된 터는 가궐터가 아닌 사 찰지임은 확실하다. 그것은 첫째, 본 사적지내 서단부의 A지구에 본 건물지군에서 가장 큰 대형건물지(기단 길이 전면 38m, 측면 18m)가 있으며 이 건물지를 중심으로 회랑지를 포함한 총 12개의 소형 건물지가 동서남북 사방에 서 좌우 대칭으로 조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대형건물지가 차지하는 건물지 내에서의 위격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데 바로 이 대형건물지 내의 중심부에는 凸형의 시설이 존재하였고, 여 기에서 직경 3.7m 전후의 원형 석군 3개소가 노출되었다. 이는 삼존불 을 지탱하기 위한 기초 적심석으로 밖에 이해할 수 없고, 따라서 중앙 부의 凸형 유구는 삼존불을 안치했던 불단임이 밝혀진 것이다. 이에 사적지의 서단부와 그 북단인 A・B・E지구의 경우, 사적지내의 중심건물지대로서 남에서부터 북으로 중문지 - 금당지 - 강당지(추측) 와 주변 부속건물지의 전형적인 사찰 건물 배치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는 점이다. 물론 현 지형은 구릉성 지대로 남북 방향으로는 많은 층단 이 있고, 동서로 넓고 긴 지형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삼국시대나 통일 신라시대의 평지 가람처럼 전 건물지가 정연한 좌우 대칭의 양상을 갖 지는 못하지만, 예불공간인 중심건물지대만은 이의 전통을 따르고 있 음이 주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연한 좌우 대칭의 중앙건물지대 와 몇몇 부속 건물지의 거대함 등은 어떤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계획 하에 조영되었던 건물지라는 것을 시사한다. 출토 유물의 성격을 통해 볼 때도, 본 건물지가 사찰 건물이었음을 뒷 받침한다. 우선 수습된 대부분의 막새류가 연화문이나 범자문이 주류 를 이루어 불전과 관련된 건물들이 많이 조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한 개인신앙 차원으로 볼 수도 있지만 소형의 금동 탄생불과 청동나한 상, 그리고 사경편 등이 출토된 것은 사찰지였음을 입증하는 방증 자료 가 된다. 더구나 청동나한상의 경우 일반인들이 개인 신앙의 차원에서 호신불로 지니기에는 부적당하다. 그리고 각종 와전류의 유물들이 지닌 화려함을 볼 때, 매우 품격높은 건물들이 조영되었고 당시 강도 시절의 사찰로서 매우 큰 사회적・정 치적 의미를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곳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 들의 편년이 대체로 선원사의 존속 시기인 1245~1398년과 관련된 시 기의 것으로 파악된다는 점도 주목된다. 한편 사적지 동북지역인 G지 구에서 집중적으로 다수 발견된 ⌈朴氏・劉氏⌋銘 막새는 본 건물지군 이 왕을 위해 지어진 가궐터라면 발견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면 결론적으로 이 사찰지가 선원사지일 가능성을 살펴보자. 우선 발굴단은 현재의 사적지가 선원사지였음을 입증할 수 있는 명문와나 금석문 등의 직접적인 고고학적 발굴성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선원사지임을 방증할 수 있는 자료들이 있다. 그것은 첫째, 유물 편년 을 통해 볼 때, 현재의 사적지는 선원사의 존속연대와 일치될만한 사찰 지라는 점이다. 둘째, 선원사는 중창한 사실이 있는데, 현재의 건물지 들도 중앙건물지군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중창과 더불어 외관을 정비 한 흔적이 있다. 셋째, 선원사의 판각 및 경판 소장을 감안하면 강화도 내에 현재의 터보다 더 적합한 지역 및 건물지는 없다는 점이다. 반대 로 이와 같은 대규모의 불교유적지가 문헌자료 상에서 선원사 이외에 는 비정될 만한 곳이 없으므로 현재의 터가 선원사일 가능성은 더욱 크 다. 더구나 이곳이 가궐터라는 견해도 있지만, 선원사 자체가 고종과 충렬왕 등이 잠시 거처하기도 하여 문헌상에 일시적으로나마 신니동 가궐로서 기록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계속하여 동시대의 건물지군의 존재가 확인된 사적 지 밖의 남쪽・서쪽 지역에 대한 발굴조사가 필요하다. 특히 중앙건물 지대 남단의 중문지로부터 서회랑이 연결되고, 또 북단의 E 지구에서 도 회랑이 계속 연결되는 서쪽 지역에 대한 전면 조사가 요구된다. 중 앙건물지대에 포함되고 또한 평탄한 현재의 터를 감안하면 이곳에 경 판고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문헌상에 선원사가 팔만대장 경의 봉안처였음은 확실하였으므로 만일 여기서 경판고가 확인될 경 우, 본 건물지군이 선원사지임은 명백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7개(26/31페이지)
 
현장소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117 2001년도 부소산성 발굴조사 현장설명회의자료 운영자 2583 2001.07.06
116 경주 황성동 537-1번지 발굴조사 운영자 2175 2001.07.04
115 부여 부소산성 현장설명회 (7/3) 운영자 798 2001.07.04
114 포항시 남구 원동 토지구획정리 제3지구내 문화유적 운영자 2033 2001.06.26
113 포항 흥해읍청사 주변도로확장공사구간내 문화유적 운영자 2096 2001.06.26
112 대구 상동 우방아파트건설부지 현장설명회( 6/23) 운영자 904 2001.06.25
111 무안 국제공항 건설지역내 문화유적 현장설명회(6/20) 운영자 733 2001.06.25
110 용인 죽전 유적 현장 설명회 (6/14) 운영자 798 2001.06.15
109 용인 죽전 유적 운영자 2391 2001.06.14
>> 사적 259호 강화 선원사지 운영자 2094 2001.06.13
107 선원사지(禪源寺址, 사적 제259호) 현장설명회(6/12) 운영자 720 2001.06.13
106 울산 柏川유적 운영자 1769 2001.06.12
105 대전 석봉정수장 건설사업 지역의 구석기유적(용호동) 3차 발굴조사 운영자 2091 2001.06.11
104 석봉정수장 건설구간내 구석기유적 현장설명회(6/11) 운영자 777 2001.06.11
103 기흥읍 구갈리 백제시대 대규모 유적 발굴 운영자 2433 2001.06.11
102 기흥 구갈리(器興 舊葛里) 유적 현장설명회 (6/9) 운영자 760 2001.06.10
101 구룡―부여간 도로확장 및 포장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운영자 2316 2001.06.08
100 양주 관아지(楊洲 官衙址) 제2차 발굴조사 운영자 2207 2001.06.08
99 수도권광역 상수도 6단계 구간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운영자 2105 2001.06.08
98 대전 월평산성(月坪山城) 발굴조사 운영자 2374 2001.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