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 연구

2021-09-15 10:22:08
조회 336





■ 도서 개요


- 제목 :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 연구

- 지은이 : 하문식

- 판형 및 페이지 : 176 X 225mm / 347 페이지

- 발행일 및 가격 : 2021910/ 가격 20,000

- ISBN 978-89-6246-446-7 93910

 


■ 책 소개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 총정리

 

기전지역이란 현재의 경기도, 인천 및 서울 일부 지역을 합하여 부르는 명칭이다. 이 책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을 발굴 조사한 자료를 여러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아직은 조사된 유적이 많지 않아 시론적인 연구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더 활발한 조사, 연구가 이루어지면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사회와 무덤에 대한 이해가 보다 구체화될 것이다.

 

예부터 살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었던 기전지역은 남부와 북부의 점이지대에 위치하여 문화의 발전과 전파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 곳이다. 동시에 현재 우리나라 사회, 경제의 중추를 담당하고 있는 핵심 지역이기도 하다. 이 지역에 살았던 청동기시대 사람들의 삶과 죽음의 흔적이 또 다른 역사를 만들기 위한 우리들의 노력으로 인해 세상에 그 모습을 더 많이 드러내 주고 있다. 현재를 살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과거를 마주하는 우리들의 모습에서 과거와 현재, 미래는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그러므로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의 역사를 돌아본 이 연구가 부족하지만 이 땅에 우리의 뿌리를 굳건하게 하는 하나의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

 

 

 

출판사 서평

 

기전(畿甸)이라는 지명은 기내(畿內), 기정(畿停), 왕기(王畿)와 함께 왕도 주변을 의미하는 경기(京畿)의 별칭이다. 이러한 지명은 중국 봉건제와 당나라의 경기제(京畿制) 영향으로 등장했다.

 

기전이란 지명에서 는 왕성과 인접한 지역을 의미하며 밖의 지역 즉 왕성에서 500리까지를 포함한다. 이렇게 기전은 왕성과 가까운 지역을 지칭하다가 후대에 이르러 그 주변 지역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뜻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서울과 구별하는 관점에서 그 주변 지역을 함께 묶어 기전(지역)이라고 한다.

 

이런 몇 가지 점을 고려하여 여기에서는 기전지역을 현재의 경기도를 중심으로 인천광역시, 서울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이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청동기시대의 시간적인 범위는 서기전 1500년쯤부터 서기전 300년쯤이다. 이 시기에는 청동기시대와 초기 철기시대의 이른 시기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한국 고고학의 연대 설정에서 세형동검과 점토띠 토기를 표지로 하는 문화의 형성 시기에 관하여는 그동안 상당히 다양한 시각에서 청동기시대 후기, 초기 철기시대, 철기시대, 삼한시대 등 여러 견해가 제시되어 왔다.

 

한국의 철기문화는 중국 연()나라의 영향으로 주조 철기가 전파되어 시작되었는데 철기의 제작과 보급 시기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많다. 중국 동북지역이나 한반도 북부지역은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철기문화를 받아들여 발전하였지만 중, 남부지역은 상대적으로 늦게 철기가 전파된다. 또한, 새로운 선진문물인 철기가 전해지는 시기에도 세형동검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청동기가 제작되었고 간석기도 함께 사용되었으므로 이 시기의 문화 정체성을 파악, 구분하는데 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근래에는 당시의 표지 유물인 세형동검이나 점토띠 토기를 기준으로 세형동검 문화또는 점토띠 토기 문화라는 시기 설정을 하여 그 문화상을 설명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기존에 서기 300년쯤으로 인식하고 있던 점토띠 토기의 상한 연대를 절대연대 측정값을 고려하여 서기전 600년 내지 700년쯤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새로운 견해가 제시되어 주목받고 있다. 여기에서는 최근의 이러한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되 철기는 껴묻기 되지 않고 세형동검, 원형 점토띠 토기, 목 긴 검은 간토기만 출토되는 무덤들을 청동기시대 늦은 시기에 포함시켜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에 대한 몇 가지를 검토하였으며 이 책에서는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 가운데 고인돌과 돌()널무덤, 움무덤을 대상으로 형식과 구조, 묻기와 제의 문제, 껴묻거리, 절대연대 측정자료를 토대로 한 축조 시기의 설정 등에 중점을 두어 이러한 무덤들의 성격을 시론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움무덤은 대부분 초기 철기시대에 해당되는 유적이지만 청동기시대의 늦은 시기로 볼 수 있는 것도 있기 때문에 철기가 껴묻기 되지 않은 무덤은 넓은 의미에서 모두 청동기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보고 포함시켰다.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지리적인 여건 -서울과 인접한- 때문에 상당히 일찍부터 관련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져왔다. 특히 1800년대 후반부터 서양 사람들이 조선에 들어와 전국 각 지역을 답사하면서 서울을 떠나 기전지역을 거쳐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이 지역의 고인돌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록으로 남겨 놓은 점이 특이하다.

 

여기에서는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1945년 광복 이전, 광복 이후부터 1960년대, 팔당, 소양댐 수몰 지역에 대한 조사의 일환으로 많은 고인돌 유적이 발굴된 1970년대, 개발로 인한 긴급 발굴이 본격화된 1990년대 그리고 매장문화재 보호와 관련된 법적 제도 강화로 발굴조사가 활성화된 2000년대를 기준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 지은이

 

하문식

연세대학교 사학과 파른기념교수로 재직 중이다. 충북대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연세대와 숭실대 대학원에서 수학하였다. 저서로는 古朝鮮 地域의 고인돌 硏究(1999)고조선 사람들이 잠든 무덤(2016)이 있고, 中國東北地區石棚硏究(2019), 평양 호남리 고구려 무덤(2020)을 우리말로 옮겼다.

 

 


■ 목차

 

책을 내면서

. ·공간적 범위

 

.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 조사와 연구

1. 1945년 이전 

2. 1945년 이후부터 1960년대 

3. 1970년대~1990년대 

4. 2000년대 이후

 

. 고인돌 무덤

1. 발굴조사된 고인돌의 대개 

2. 유적의 분포와 지세 

3. 고인돌의 형식 

4. 무덤의 구조와 축조 

5. 묻기와 제의 

6. 껴묻거리와 연대 

7. 기전지역의 고인돌 성격 

 

. 돌널무덤과 돌덧널무덤

1. 발굴조사된 유적 

2. 유적의 입지조건 

3. 무덤의 구조 

4. 묻기와 제의 

5. 껴묻거리 

6. 돌널무덤과 돌덧널무덤의 축조 시기 

7. 기전지역의 돌널무덤과 돌덧널무덤의 성격 

 

. 움무덤

1. 발굴된 유적 

2. 유적의 입지와 분포 

3. 무덤의 종류와 구조 

4. 무덤의 크기 

5. 장례 습속 

6. 껴묻거리 

7. 움무덤을 만든 시기 

8.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움무덤 성격 

 

. 기전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성격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4개(4/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704 한국목간총람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48 2022.03.04
703 계간 한국의 고고학 54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63 2022.02.25
702 경산 소월리 목간의 종합적 검토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68 2022.02.25
701 동아시아 논어의 전파와 계양산성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98 2022.02.25
700 『한국식 청동무기의 동북아지역 전개』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36 2022.01.06
699 『연해주 선사고고학 개론』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74 2021.12.08
698 야외 고고학 입문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559 2021.12.02
697 고구려 국가제사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377 2021.11.17
696 성왕, 공주에 대통사를 세우다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303 2021.11.17
695 가야사의 인식변화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01 2021.11.15
694 한국 고대의 시선과 시각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24 2021.11.09
693 『실크로드 문명교류사 서설』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65 2021.11.09
692 『2020년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31 2021.10.22
691 『발해고고학』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55 2021.10.18
690 『고고학으로 백제문화 이해하기』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404 2021.10.18
689 『고고학자가 얘기하는 우리의 선사시대』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375 2021.10.18
688 『일본문화의 기원 송국리 문화』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420 2021.10.18
687 한국의 고고학 53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82 2021.10.15
686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46 『발해 고고학』 발간 사진 (재)중앙문화재연구원 210 2021.10.14
685 일본 고대 목간론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98 2021.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