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현장소식

파주 덕진산성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2004-10-19 18:13:00
조회 1669
1. 산성의 위치와 문헌 검토 덕진산성은 초평도의 서북쪽, 임진강 북안에 위치하고 있다. 파주에 서 37번 국도를 타고 전곡방면으로 가다가 세일고개를 지나면 임진강 을 건너는 전진교가 보인다. 이 다리를 건너 일월봉을 우회하여 장단쪽 으로 가다가 1:25,000지형도상의 대추포라 명명된 지점에서 좌측으로 콘크리트 포장도로를 따라 약 500m 정도 가면 좌측에 덕진산성이 보인 다. 덕진산성은 해발 65m인 비교적 낮은 산의 정상부와 이에서 이어지는 능선을 활용하여 축조하였다. 해발고도가 낮지만 임진강의 북안에 위 치하여 있고, 주변에 높은 산이 없어 넓은 지역이 조망되는 전략적 요 충지이다. 특히 남동쪽에 있는 초평도는 임진강을 건너는 징검다리 역 할을 하고 있어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어 왔으며, 덕진산성은 이 길목 을 장악할 수 있는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한국전쟁당시 중공군 주력부 대의 남하루트이기도 하다. 또한 초평도의 서쪽에 있는 수내나루는 동편의 임진나루와 함께 조선 시대에 임진강을 건너 개성으로 가는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었다. 덕진산성에 대한 상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조선시대에 발간 된 지리지에 단편적이나마 이에 대한 기록이 있고, 일제 강점기에 발간 된『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에도 언급되어 있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 과 같다. A.『東國輿地志』장단도호부 고적조(1670년대) 덕진고성은 석축성으로 산을 잘라 걸쳐 있고, 단수(湍水)를 굽어보며 제압하는 형세를 지니고 있다. 오래 전에 허물어져 성 둘레는 알 수 없 고, 광해군시 장단도호부사 이서(李曙, 1580~1637)가 수축하였으나 다 시 허물어졌다. B.『大東地志』장단 성지조, (1864) 덕진고성은 장단 남쪽 15리 강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해군시 고성 을 수축하였다. C. 『增補文獻備考』여지고 관방조,(1909) 덕진산성: 장단도호부의 서쪽에 있는 석축으로 오래 동안 허물어졌었 다. 광해군시 수축하였지만 지금은 허물어진 상태이다. D.『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1943) 덕진산성이라 칭하고 있으며, 석축의 둘레가 약 600간이며, 도처가 붕 괴되었고 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광해군시 수축하였다. 이러한 기록의 내용으로 보아 덕진산성은 삼국시대에 축조되어 사용 하다 후대 어느시기에 폐기되었다가 광해군(1609~1623)대에 일시 修 築되었으나 광해군의 몰락이후 다시 폐허화되어 이후 修·改築이 이루 어지지 않은채 현재에 이르고 있다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광해군은 임 진왜란 당시 이렇다할 방어시설이 없어 왜군이 손쉽게 임진강을 도하 하자 이에 대한 반성과 대비책으로 임진강변의 요충지인 이곳 덕진산 성을 수축한 것으로 보인다. 근래에 들어 이 산성은 1994년 육군박물관 에 의하여 처음 조사되어 고구려유적으로 알려진바 있으며, 陸軍士官 學校 陸軍博物館, 『京畿道 坡州郡 軍事遺蹟 地表調査 報告書』(遺蹟 調査報告 第1 輯), 1994, 28~35쪽. 그후 파주군에 대한 광역지표조사과정에서 역시 조사가 이루어졌고, 한양대학교박물관, 『파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1999. 2001년에는 경기도 박물관에서 임진강에 대한 학술조사과정에서 다 시 조사된 바 있다. 경기도 박물관, 『임진강』, 2001. 2. 산성의 주요 현황 덕진산성은 내성과 외성으로 나누어져 있다. 내성은 최고봉인 해발 85m되는 봉우리와 임진강변쪽의 해발 65m 봉우리를 중심으로 산 능선 을 따라 돌며 구축되어 있다. 내성의 전체 모양은 표주박 형태를 하고 있으며, 내성 전체 길이는 481m(전체 면적 약 10,590㎡)이다. 석축을 하였으나 서문지 옆의 트렌치 조사에서 토성이 노출되었는데 이는 조 선시대에 개축하는 과정에서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석축은 편축식 으로 쌓았으며 성벽상단에는 폭 5m 정도의 회곽도가 조성되어 있다. 성벽남쪽의 회곽도 안쪽에는 해발 65m의 뾰족한 소봉이 위치하는데 정 상부나 주변에서 별다른 유구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으나 주민들의 전 언(傳言)에 의하면 예전에 내성 소봉의 북쪽 사면에는 주초석 4개가 있 었는데 반출되었고 이곳에는 성황사가 있었다고 한다. 두 봉우리 사이 의 성 내부는 완경사를 이루며 평탄하게 조성되어 있다. 중앙에서 서쪽 으로 약간 치우친 곳에는 직경 15m 깊이 5m 정도의 구덩이가 있고 구 덩이 바닥에 3.2m×3.4m 정도의 석축부분이 있는데 현황으로 보아 우 물지나 집수시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내성은 임진강 방향을 제외 하고는 군데 군데 석축이 남아 있고 특히 서벽 북단부와 서문지 부근 등에 비교적 석축이 잘 남아 있다. 외성은 내성 북벽의 동단지점에서 북동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가다가 다시 임진강 방향으로 회절하면서 강안에 이르러 내성 남단쪽 으로 이어지게 되어 있다. 성벽은 삭토와 성토 방법으로 토성을 구축하 였는데 부분적으로 성벽 외측에 석축한 흔적이 보인다. 전체 길이는 948m 정도 되는데, 이 가운데 임진강에 연접한 219m 정도는 지뢰 위험 때문에 확인, 측량이 어려운 상황이다. 성벽 높이는 4m 전후이나 이보 다 낮은 지점도 있다. 외성에는 두 개의 문지가 완연하게 남아 있고 성 가퀴로 추정되는 부분이 두군데 있다. 외성과 내성 사이에는 곡저부가 형성되어 있고 완경사를 이루며 강변으로 연결되어 배를 접안할 수 있 었을 것으로 보인다. 성내에서는 대체로 삼국시대~조선시대에 이르는 매우 다양한 기와편 이 다량 채집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는 고구려 토기편과 와편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1999년 경기도 박물관에서 조사할 당시 성 내부 의 북동쪽 봉우리 정상부에서는 도로개설로 인하여 노출된 단면의 지 표로부터 약 50㎝ 정도되는 아래 지점에서 고구려 토기편이 박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당시 주거시설의 바닥이나 벽체의 일부라고 생 각되는 짚이 섞인 소토덩어리와 탄화된 쌀과 철기편 등도 수습되었다. 3. 발굴(시굴)조사 내용 이번 조사는 덕진산성에 대한 전반적인 지표조사와 함께 부분적인 발굴(시굴)조사를 시행하도록 계획되었기 때문에 내성 서벽 중간지점 의 문지로 추정되는 부근과 우물지(혹은 집수지)로 추정되는 곳과 함 께 비교적 석축이 잘 남아 있는 서벽 북단부 지점을 조사하였고 , 그리 고 외성의 축조방식을 조사하기 위해 외성 북쪽 문지의 서쪽 지점을 선 택하여 조사하였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트렌치 Ⅰ 내성 서문지(추정) 옆의 성벽 상부에 내측에서 외측부로 넣은 트렌치 이다. 지표상에서 약 50cm 전후의 지하에 자연석이 깔려 있고 그 하부 는 토축으로 되어 있다. 토축 외측부에는 적심석축을 하였던 것으로 추 정되며, 그 외부에는 잡석을 쌓아 올리면서 진흙을 이겨 넣은 흔적이 나타난다. 부분적으로 교란되어 명확하게 규명하기는 어려우나 무너 진 성벽 하부를 관찰하여 보면 외면은 석축으로 마무리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1트렌치 서단부에는 성벽 방향으로 늘어선 적심석축 밖으 로 약간 돌출한 토석혼축부가 나타나는데 이것이 어떤 성곽시설과 관 련이 있는 유구인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다양한 기와편과 토기편, 도자 기편이 출토되고 있다. 2. 트렌치 Ⅱ 내성 서문지(추정)에서 약간 북쪽 성벽의 내측에서 우물터 방향으로 넣은 트렌치이다. 제1트렌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지표에서 약 50cm 정도 를 전후하여 성벽과 수평을 이루며 자연석이 갈려 있는 것으로 보이 며, 약 3m 하부에 이르면 우물지쪽으로 성벽과 나란한 석렬이 나타난 다. 성벽층은 대체로 표토층과 황갈색토층, 흑갈색토층으로 나누어 지 며 토층은 성벽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경사진 형태를 하고 있다. 유물 은 전토층에서 출토되며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기의 기와, 토기, 도자기편이 출토되었다. 특히 이곳에서는 나뭇잎무 늬를 찍은 수막새가 출토되었다. 3. 트렌치 Ⅲ 내성 서문지 내측에 위치한 우물터의 북쪽에 남북 방향으로 설치한 트렌치이다. 폭 2.5m 설치한 이 트렌치 조사에서 표토로부터 지하로 220cm 정도되는 지점에서 석렬이 나타났다. 석렬은 대체로 동서로 나 타나고 있는데, 서측부는 교란되어 있고 반치석한 다소 큰 석재가 섞 여 있다. 이곳에서 우물지 방향으로 약 30c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석축 렬이 나타나며, 우물지 쪽으로 6단 정도의 석축이 있고 그 아래쪽으로 두 번 정도의 단을 이루고 있다. 이 석축렬은 우물지 주변에 구축한 석 축의 일부로 보이나 표토에서 2m 이상 아래인 점을 감안하면 조선시대 에 와서 우물을 개수하기 이전에 존재하였던 유구일 가능성도 있다. 유 물은 트렌치 Ⅱ와 마찬가지로 삼국시대에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기 와편, 토기편, 도자기편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특히 이곳에서는 귀목문 수막새가 출토되었다. 4. 트렌치 Ⅳ 외성의 북쪽 문지 부근의 성벽을 가로 질러 넣은 트렌치이다. 이 트렌 치는 외성의 축조법을 조사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상부는 모두 동일한 황갈색토층이고, 하부에는 마사토가 섞인 보다 연한 황갈색 토층이 나 타난다. 성벽 외측에는 치석하지 않은 석재가 다소 불규칙하게 나타나 는데 토성 외측 하부에 구축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트렌치 조사에서 나 타난 것을 보면 외성 성벽은 내성에서 이어져 내려오는 능선을 적당히 삭토․성토하여 구축하였으며, 다른 토성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외측에 부분적으로 석축을 하였다. 성벽은 정교하기 보다는 거칠게 조성되었 다. 유물은 어골문․격자문 기와편과 회색 토기편이 주로 출토된다. 5. 내성 성벽(외벽) 조사 덕진산성 내성에서 석축이 비교적 가장 잘 남아 있는 지점으로 치성 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인데, 성벽의 외측을 조사하였다. 조사전 에는 상부의 일부 석축만이 4~6단 정도 노출되었었는데, 외측에 쌓인 붕괴된 석재를 걷어내니 외측 하부로 내려가면서 계단식의 석축이 드 러났다. 이 지점은 산성내에서 비교적 취약한 부분이어서 성벽을 높이 쌓았던 것으로 추정되며, 성벽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보축과 함께 계 단식 석축공사를 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석재는 장방형으로 적당히 치석하거나 반치석한 석재를 주로 사용하였는데, 최상부층 석축에서 는 보수흔적이 관찰된다. 성벽 하단부는 잡석과 진흙을 이겨 넣어 보축 공사를 하였다. 유물은 주로 격자문, 선문 계통의 와편이 출토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덕진산성 내성에는 임진강을 방어하기 위한 고구 려의 성(혹은 보루)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동쪽에 임진나루가 있 고, 서쪽에 수내나루가 있으며, 초평도를 통해 비교적 쉽게 임진강의 도하가 가능한 지점이므로, 남쪽으로부터 오는 적의 도강을 막기 위해 서 이곳에 성을 축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신라가 이 지역을 장악 한 이후 이곳을 개수하여 사용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광해군대에 임 진왜란 당시 왜군이 쉽게 임진강을 도하하여 북진하였던 점을 고려하 여 이곳에 성을 확장, 수축하였으나 곧 그 전략적 기능이 사라지면서 폐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성은 인근의 임진강변에 위치하고 있는 호로고루나 당포 성, 은대리성, 무등리보루 등과 함께 임진강의 북안에 설치된 고구려 의 중요한 방어시설이었다는 점에서 그 학술자료로서의 가치가 크다. 특히 이 성곽의 경우 임진강 하구 방면에서 전략적 입지가 매우 중요하 여 조선시대에 다시 외성을 확장 수축하여 사용하였다는 특징을 가지 고 있기도 하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7개(10/31페이지)
 
현장소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437 부천 고강동 제7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이철민 1459 2005.04.17
436 창녕 비봉리유적 지도위원회 · 현장설명회 개최 이양수 1511 2005.04.12
435 마산 진동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하승철 1232 2005.04.06
434 울산 궁근정리유적 현장설명회 (3/5) 운영자 1207 2005.03.03
433 ’04 풍납토성〔사적 제11호〕197번지 일대 김도훈 2933 2004.12.27
432 울산 대곡댐 수몰지구내 유적 발굴조사 지도위원회 운영자 1818 2004.12.21
431 울산 대곡댐 수몰지구내 유적 발굴조사 지도위원회 운영자 1182 2004.12.21
430 울산천곡동가재골유적자료집 울산문화재연구원 1671 2004.12.19
429 안성 반제리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운영자 1759 2004.12.16
428 진주 생물산업단지 조성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지도위원회 운영자 1571 2004.12.16
427 안성 반제리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운영자 1155 2004.12.16
426 진주 생물산업단지 조성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934 2004.12.16
425 울산 가재골유적(울산 제2동천초등학교 건립부지내 유적)현장설명회 울산문화재연구원 1544 2004.12.15
424 제천 장락사지 발굴조사 지도위원회 운영자 1418 2004.12.13
423 제천 장락사지 발굴조사 지도위원회 운영자 872 2004.12.13
422 경주 방내리 가마유적 지도위원회 및 현장설명회 개최 영남문화재연구원 1067 2004.12.02
421 산청 생초고분군 현장설명회 1201 2004.11.24
420 백제시대 지하저온창고(地下低溫倉庫) 다수 발견 운영자 2010 2004.11.22
419 김해 가야의 숲 제3호 목관묘 현장설명회 동아문화연구원 1629 2004.11.07
418 함안 충의공원 조성부지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동아문화연구원 1263 2004.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