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백제 기와 연구

2023-10-12 09:57:00
조회 122


- 지은이 : 윤용희

- 판형 및 페이지 : 152 X 225mm / 376

- 발행일 및 가격 : 20231010/ 가격 24,000

- ISBN : 978-89-6246-513-6 (93910)

- 주류성출판사

  02-3481-1024 (대표전화) / 02-3482-0656 (FAX)

  e-mail : juluesung@daum.net / 홈페이지 : www.juluesung.co.kr

 

 

도서 개요

 

최신 고고학적 성과와 삼국사기백제본기의 건축 관련 기사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백제 기와의 성립과 변천 과정을 역사적 맥락에서 검토한다.

 

고대사회에서 왕궁을 세우고 사찰을 건립하는 것은 단지 종교시설을 세우기 위한 건축 활동이 아니라 당대의 정치적 상황과 그에 걸맞은 사상적 변화를 반영하여 통치체제를 새롭게 구축하려는 고도의 정치적 행위이다. 막새 문양의 변화 또한 단순한 유행의 변화가 아니라 당시의 사상적 변화를 담고 있으며, 정치적 변동의 추이를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사상의 전개와 막새의 변천을 살펴보는 것은 백제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한성시기에는 전문, 연화문, 수면문 등 도교나 불교의 도입과 관련된 외래계 문양과 수지문, 초화문, 방사문, 거치문, 격자문처럼 외래 종교 도입 이전의 토착 종교 혹은 선사시대 토기나 청동거울의 문양과 같은 맥락에서, 백제 사람들이 가진 자연에 대한 관념을 점, , 면의 기하학적 무늬로 표현한 자생적 문양이 공존하였다. 웅진~사비시기는 불교의 융성과 함께 연화문이 발달하며, 7세기에 나타난 파문과 무문의 추상적 표현은 백제 문화에 스며든 도교의 영향으로 해석하였다.

 

 

출판사 서평

 

백제 기와의 특징과 의미, 변천 과정을 한성시기, 웅진시기, 사비시기로 나누어 사상적, 정치적, 사회적 배경과 함께 살펴본다.

 

기와는 잘 준비된 점토[素地]를 재료로 하여 일정한 틀과 도구를 사용하여 형태를 만들고[成形], 그늘에 말렸다가[乾燥] 가마에 넣고 굽는[燒成] 일련의 체계적인 공정을 거쳐 제작된다. 기술사적 측면에서, 점토를 주원료로 하는 기와의 생산은 선사시대부터 이어져 온 토기 제작 기술을 바탕으로 하며, 그 과정에서 습득된 흙과 물, 불의 상호작용에 대한 지식과 경험의 축적을 전제로 한다. 주거 양식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기와의 사용은 지붕에 기와를 올리기에, 충분한 건축 기술의 발전, 즉 지상(地上) 건축물의 등장과 맥을 같이 한다. 여기에 권위를 상징하는 건축물로서 기와 건물을 필요로 하는 강력한 정치집단의 출현과 복잡한 기와 제작 공정을 수행할 전문적인 와공(瓦工) 집단의 조직화는 기와를 본격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정치적, 사회적 배경이 된다. 또한 기와 생산에는 경제적 뒷받침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고대사회에서 기와 가마는 주로 국가적인 통제하에서 운영되었다. 그러므로 기와는 왕실이나 귀족, 승려 같은 특수 신분 집단의 전유물로서 궁궐이나 관청, 사찰 등 정치적, 종교적 성격의 건물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한국 고대사에서 기와의 제작과 사용이 가지는 의미는 고대국가의 형성과 국가권력의 탄생, 그에 수반되는 도성(都城) 건설 및 정치적, 종교적 상징물 조영이라는 맥락 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백제 기와에 관한 문헌 기록은 삼국사기백제본기 비유왕(毗有王) 3(429) 11, “지진이 있었고, 큰바람이 불어 기와를 날렸다(地震, 大風飛瓦).”는 기사(記事)에 처음 등장한다. 하지만 최근의 고고학 자료로 볼 때 이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백제에서 기와가 사용되었음은 분명하다. 특히 풍납토성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다량의 기와는 기존의 웅진~사비시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백제 기와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한성시기로 넓혀 주었다. 또한 풍납토성 출토 막새와 평기와에서 확인된 다양한 문양과 제작 기법은 한성시기 백제 문화의 다원성(多元性)을 보여 주었으며, 그에 따른 백제 기와의 기원과 계통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장기간 진행된 풍납토성 발굴과 최근의 석촌동고분군 일대에서의 학술조사는 한성시기에 이루어진 건축 활동 및 기와의 제작과 사용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키고 있으며, 더불어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한성시기 백제 역사에 대한 이해의 폭도 넓혀주고 있다. 또한 최근의 발굴 성과에 힘입어 적어도 3세기 무렵에 백제 기와가 사용되었음이 밝혀짐에 따라 삼국사기백제본기에 수록된 건축 관련 기사를 재조명할 필요성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충남 공주와 부여, 전북 익산지역에서도 백제의 왕궁과 사찰, 가마터 등의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가 많은 성과를 이루어 내면서 웅진~사비시기 백제 고고학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백제 기와 연구도 관련 전시나 학술대회, 자료집 발간으로 학술적 성과가 점차 축적되어 가고 있다. 이제는 이러한 성과를 종합하고 집대성하여 한성~사비시기 전

기간에 걸친 백제 기와의 흐름을 큰 틀에서 정립하고, 백제 기와 연구의 새로운 도약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백제 기와 연구의 최신 고고학적 성과와 삼국사기백제본기의 건축 관련 기사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백제 기와의 성립과 변천 과정을 역사적 맥락에서 검토하는 것으로 출발점을 삼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백제의 평기와와 수막새를 중심으로 문양과 제작 기술을 분석하고, 백제 기와의 특징과 의미, 변천 과정을 한성시기, 웅진시기, 사비시기로 나누어 사상적, 정치적, 사회적 배경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백제 기와 가마터의 분포와 구조적 특징 및 소비지와의 관계를 검토하여 백제 기와의 생산 체제 및 유통 시스템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하 본 논문의 내용과 체제는 다음의 각 장의 순서에 따른다.

장은 1연구 배경과 범위’, 2연구 목적과 방법’, 3연구사 검토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1백제 기와의 형성에서는 삼국사기백제본기의 건축 관련 기사를 살펴보면서 백제 기와 관련 최근의 고고학적 성과를 접목하여 문양과 제작 기술의 흐름을 역사적 맥락에서 재구성하여 백제 기와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2백제 기와의 종류에서는 본 연구의 주요 대상 자료인 수막새와 평기와 외에 다종다양한 백제 기와를 간략히 소개함으로써 백제 기와 전반에 관한 밑그림을 그려보려고 한다.

장에서는 백제 기와 출토 유적을 한성지역, 웅진지역, 사비지역, 익산지역, 기타로 나누어 현황을 정리하고, 주요 유적의 개요와 기와 출토 현황을 정리함으로써 연구의 대상과 범위를 살펴볼 것이다.

장과 장에서는 백제 평기와와 수막새의 문양과 제작 기술의 시기별 특징을 검토하고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장에서는 1기와의 생산과 유통’, 2평기와의 변천 과정’, 3사상의 전개와 막새의 변천이라는 주제로 앞의 ~장에서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백제 사상의 변천, 정치사회적 변동에 따른 백제 기와의 특성과 변천 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장 맺음말은 본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면서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는 내용으로 끝을 맺으려 한다.

 

 

지은이

 

윤용희

 

서울 인왕산 자락에서 태어나 경복궁 서쪽 동네에 살며 초중고를 다녔다.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고고학을 전공하며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서울, 경기지역의 사찰과 건물터를 조사하며 기와를 공부하기 시작했고, 국립박물관에 들어가면서 백제 기

와를 본격적으로 연구하였다. 경주, 김해 등 여러 박물관을 거치며 신라와 가야 지역의 기와에도 관심을 가지고 조사 연구하였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한국기와학회 부회장, 한국고대학회 연구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는 청양 왕진리 가마터발굴보고서, 기와에 담긴 700년의 숨결, 백제와전전시도록, 기와, 공간을 만들다전시도록, 한국 고대 기와 생산유적 자료집, 여주 원향사지의 역사적 성격에 대한 일고찰, 남한강 유역 출토 고려전기 평기와 고찰, 백제 사비기의 공예 기술과 일본 초기불교와의 관계, 백제 와전문화의 형성과 전개과정, 사비시기 와전문화의 전개와 변천과정, 백제 수면문와당에 대한 일고찰, 경주 동궁과 월지 출토 귀면와, 6~7세기 사비기 백제 막새, 한국 고대의 기와, 그리고 가야, 일제강점기 부여 부소산사지 발굴조사 출토 기와 고찰, 중국 의 기와 제작기법 검토, 백제 치미의 특징과 변천, 풍납토성 출토 수막새의 현황과 변천에 대한 일고찰, 신라 귀면와의 문양 형식과 변천에 관한 일고찰등이 있다.

 

 

목차

머리글    

 

. 머리말    

1. 연구 배경과 범위    

2. 연구 목적과 방법     

3. 연구사 검토    

 

. 백제 기와의 형성과 종류     

1. 백제 기와의 형성    

2. 백제 기와의 종류    

 

. 유적 현황    

1. 한성지역     

2. 웅진지역     

3. 사비지역    

4. 익산지역    

5. 기타     

 

. 평기와 제작방법 고찰     

1. 한성시기     

2. 웅진시기     

3. 사비시기     

 

. 막새의 형식과 특징    

1. 한성시기     

2. 웅진시기    

3. 사비시기     

 

. 기와의 특성과 변천     

1. 기와의 생산과 유통     

2. 평기와의 변천 과정    

3. 사상의 전개와 막새의 변천     

 

. 맺음말     

자료 출처

참고문헌     

부록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4개(7/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644 21세기 한국 고대사 (구석기시대 ~ 남북국시대) 사진 주류성출판사 981 2020.01.16
643 목양성(牧羊城) - 남만주 노철산록, 한 및 한 이전 유적조사 보고서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875 2019.11.26
642 이론 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841 2019.11.08
641 중국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140 2019.11.08
640 가야 기마인물형 토기를 해부하다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984 2019.11.06
639 백제토기의 생산유통과 국제성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879 2019.10.30
638 문헌과 고고자료로 본 가야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901 2019.10.22
637 문자와 고대 한국 (주보돈교수 정년기념논총)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923 2019.10.22
636 고고학사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1359 2019.09.23
635 중국 동북지구 석붕 연구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981 2019.09.02
634 『한반도에서 바라본 고대일본』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840 2019.08.26
633 (재)백두문화재연구원 **신간 안내** 『수혈주거지 조사방법』 사진 첨부파일 백두문화재연구원 818 2019.08.26
632 삼국유사(三國遺事) 깊이 읽기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854 2019.07.24
631 러시아 연해주의 성(城) 유적과 고대 교통로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134 2019.07.17
630 백제 건축, 치석과 결구를 보다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209 2019.07.17
629 『유라시아의 십이지 문화』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1062 2019.07.01
628 한중관계사상의 교역과 교통로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984 2019.06.27
627 통구(通溝) - 집안 고구려 유적의 1945년 이전 조사 보고서 사진 첨부파일 최병식 1509 2019.05.02
626 신라의 영역지배 편성과정과 외위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262 2019.04.11
625 빙하 이후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1494 2019.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