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고구려 중․후기 지배체제 연구

2019-03-20 15:37:45
조회 1336


고구려 중․후기 지배체제 연구


이동훈 지음

ISBN : 978-89-6062-213-5-93900

판형 : 152X224 신국판 양장

쪽수 : 228쪽

가격 : 25,000원


본서의 전체적인 구상은 고구려 인구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시작되었다. 고구려 인구는 3세기에는 3만 호, 5세기 초에는 9만 호, 5세기 말에는 21만 호, 멸망 시에는 69만 7천 호로 변화했다. 그런데 고대사회에서 인구의 증가는 중앙 집권력의 강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앙집권체제가 약화되면 대민지배에 있어 왕과 경쟁관계에 있는 귀족에 의한 인구탈점이 진행되어 국가가 장악하는 호구는 필연적으로 감소되기 마련이다. 그런데 인구사적으로 보면 고구려는 통설에서 제기되는 고구려 후기의 양상과는 전혀 다른 반대의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본서가 고구려 후기의 정치체제가 귀족연립정권이었다는 학계의 통설에 반기를 든 이유이다. 본서는 고구려 정치체제의 변화과정을 부체제-중앙집권체제-귀족연립정권체제로 보는 일반적인 시각과는 달리 고구려가 중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정치, 경제, 대민지배 등 전 분야에서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고 정비해나간 것으로 이해했다.
고구려 후기의 지배세력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평양천도를 계기로 하여 평양성계 귀족이 정권을 장악하고 고구려 후기 역사를 주도한 것으로 이해했지만, 본서는 이와는 입장을 달리했다. 즉 천도 이후에도 국내성계 귀족이 정권을 계속 장악했으며, 몇 차례의 정치파동이 발생할 때마다 상호 정쟁으로 인해 자기 도태가 진행되면서 점차 소수의 특권 가문이 과두제적으로 정치를 좌지우지하는 식으로 변모했다고 인식한 것이다. 그리고 연개소문은 귀족의 대표자가 아니라 왕권의 대리자로서, 후한 말기 천자를 옆에 끼고 천하를 다스렸던 조조와 같은 인물로 이해했다. 고구려 후기의 집권자들은 모두 왕권을 매개로 하여 권력을 유지했던 집단이라는 공통점이 있는데, 왕의 위상은 약화되었지만, 과두제적 또는 일인 독재적 방식으로 운영된 중앙집권적 지배체제가 고구려가 국력을 집중하여 수당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하나의 요인이었던 것이다.


책을 펴내며

서론
1. 연구현황과 과제
2. 연구의 방향과 방법


제1장 관위체의 발전과 정비
제1절 초기 官의 爵的 性格과 그 변화
제2절 國王 近侍職과 皁衣·先人
1. 近侍職의 성격
2. 皁衣와 先人
제3절 중·후기 官位制의 형성과 발전


제2장 지방통치제도의 발전과 정비
제1절 樂浪·帶方故地 지배 방식
1. 冬壽의 官爵으로 본 간접지배방식
2. 幽州刺史 鎭의 官爵 분석
제2절 초기 간접지배 방식
제3절 중·후기 지방통치체제의 정비
1. 守事의 성격과 유형
2. 州府僚佐 조직의 정비와 기능


제3장 대민지배방식의 강화
제1절 고구려의 戶口와 兵力의 관계
1. 호당 인구수의 변화
2. 병력동원방식과 인구추계
제2절 고구려 인구의 변화
1. 초·중기 인구 증가 추이
2. 후기 인구증가와 그 원인
제3절 대민편제방식의 군사화
1. 고구려 유민의 사회조직
2. 고구려 말기 대민편제의 군사조직화


제4장 지배세력의 재편과 국정운영방식의 변화
제1절 지배세력의 재편
1. 평양지역 호족 지배방식의 변화
2. 추군·세군 왕위계승전과 지배세력 재편
제2절 국정운영방식의 변화
1. 대대로와 토졸
2. 强臣執政
3. 연개소문집권의 성격과 의의


결론
참고문헌
補論 冬壽의 出自로 본 高句麗의 낙랑군지배
찾아보기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2개(8/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622 고고학과 인류학을 통해 본 ‘사람다움’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999 2019.03.20
621 『통일신라고고학개론』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1447 2019.03.12
620 『흉노고고학 개론』 소개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938 2019.02.18
619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세트)> 관리자 1159 2019.01.21
618 <박물관학의 기초-진화하는 지식 시스템> 관리자 1221 2019.01.21
617 『중국 동북지방의 고고문화』 소개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312 2019.01.15
616 『고고학적 기록 이해하기』 소개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947 2019.01.03
615 고려시대 역사서의 신이성(神異性)과 삼국유사 사진 첨부파일 역사산책 1442 2018.11.16
614 호서고고학회 『초기도시의 고고학』 도록 발간 첨부파일 관리자 1135 2018.11.08
613 『한국고고학전문용어집』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332 2018.11.07
612 한국 대중고고학 개론 사진 첨부파일 최병식 1635 2018.11.01
611 가야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사진 첨부파일 최병식 1711 2018.11.01
610 고구려 - 수 전쟁 사진 첨부파일 최병식 831 2018.11.01
609 『마한고고학개론』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125 2018.10.31
608 신라 삼국통일 연구 권혁재 1008 2018.08.29
607 계간 한국의 고고학 40호 최병식 810 2018.08.24
606 울산의 고분과 고대 사회 서경문화사 744 2018.08.23
605 목간과 문자 연구 19 (한국목간학회 총서) 최병식 831 2018.08.22
604 중국 출토문헌의 새로운 세계 최병식 1132 2018.08.07
603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 역사산책 1885 2018.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