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 第39回 고고학과 현대사회(2015년 11월 발행) 보기
- 第38回 한국고고학의 신지평(2014년 11월 발행) 보기
- 第37回 주거의 고고학(2013년 11월 발행) 보기
- 第36回 농업의 고고학(2012년 11월 발행) 보기
- 第35回 삼국시대 남해안지역의 문화상과 교류 (2011년 11월 발행) 보기
- 第34回 移住의 고고학 (2010년 11월 발행) 보기
- 第33回 갈등과 전쟁의 고고학 (2009년 11월 발행) 보기
- 第32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樣式의 考古學) 보기
- 第31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국가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보기
- 第30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계층 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보기
第39回 고고학과 현대사회(2015년 11월 발행)
第39回 고고학과 현대사회(2015년 11월 발행) | |
---|---|
1. 공동주제발표 | |
통일시대의 한국고고학 | 최종택 |
경주 월성 발굴조사와 학술발굴조사 제도 | 이종훈 |
고고학 발굴과 지역사회 -대중고고학의 활성화를 기대하며- | 박승규 |
고고학의 대중화를 위한 유적박물관의 역할 | 조우택ㆍ정혜림 |
21세기 동아시아 민족주의의 발흥과 고고학 | 강인욱 |
2. 기조강연 | |
한국고고학과 현대사회 -새로운 비전의 한국고고학을 위하여- | 배기동 |
3. 자유패널 1분과 - 나주 반남고분군의 현대사적 재조명 | |
100년 전의 나주 반남면 고분과 야쓰이 세이이츠(谷井濟一) | 정인성 |
반남고분군의 최근 연구 동향 | 오동선 |
나주 반남고분군의 조사현황과 보존ㆍ활용방안 | 박중환 |
가야문화권 보존과 활용방안 | 하승철 |
3. 자유패널 2분과 - 청동기시대 기념물적 분묘의 경관과 보존 | |
삶과 죽음의 지도화, 그리고 장(field) -고고학적 시공간, 그리고 그 안의 물질적 자취들에 대한 심층적 이해- | 김종일 |
중부지역 지석묘의 조사와 연구 현황 | 황재훈 |
호서지역의 지석묘, 그 보존과 활용 | 손준호 |
호남지역 지석묘 보존사례 검토 | 홍밝음·조진선 |
영남지역 지석묘의 경관과 보존활용 | 윤호필 |
한국고고학의 학술적 모색과 발굴기획의 문제점(Problems in Korean Archaeology, Scholarship, and Excavation Planning) | 마린 T.베일 |
4. 자유패널 3분과 - 한국 전통제철문화의 복원과 활용을 위한 재현실험적 연구 (고고학과 금속공학의 융합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 |
한국 전통제철기술문화의 복원과 활용을 위한 재현실험적 연구의 기본계획 -고고학과 금속공학의 융합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 이남규 |
고대 제철복원실험의 철 제련로 구조복원과 조업 매뉴얼 -2015년도 제련복원실험- | 김권일 |
제철장의 조성과 노 축조 | 이은철·김종균 |
송풍관 제작과 철 제련 송풍의 제 문제 | 조대연 |
제철복원실험 노 내 형성물에 대한 금속학적 분석 | 신경환·김수기·최영민 |
제철복원실험 노 내 형성물의 위치별 특성 | 신경환·이남규·최영민 |
단야로 복원실험 보고 | 성정용·심재연 |
第38回 한국고고학의 신지평(2014년 11월 발행)
第38回 한국고고학의 신지평(2014년 11월 발행) | |
---|---|
1. 특별강연 | |
석장리 구석기 연구 50주년의 성과와 과제 - 손보기교수님의 업적을 중심으로 - | 이융조 |
이남규 | |
2. 공동 주제 발표 | |
한국 선사고고학의 방법론적 전망 - 주제어 비교를 중심으로 - | 안승모 |
한국 역사고고학의 신지평을 향하여 | 이남규 |
동아시아에서 본 한국의 선사고고학 - 청동기시대의 시작을 중심으로 - | 宮本一夫 |
경제만이 아니다 - 무문시대 전기에서 중기로의 이행에 대한 실험적?비판적 검토 - | Martin T. Bale |
지역간 교류에 대한 방법론적 제시 - 선사시대 토기문화권을 중심으로 - | 김재윤 |
몽골지역 흉노 토기의 초보적 연구 | 양시은ㆍPUREV ALDARMUNKH |
3. 자유패널 1분과 : 마한 분구묘 사회의 비교 검토 | |
마한 분구묘의 조사?연구 성과와 과제 | 임영진 |
경기지역 마한 분구묘의 구조와 출토유물 | 김기옥 |
경기지역 마한 분구묘 사회의 연구 성과와 과제 | 조가영 |
충청지역 마한 분구묘의 구조와 출토유물 | 정해준 |
충청지역 마한 분구묘 사회의 연구 성과와 과제 | 서현주 |
전북지역 마한 분구묘의 구조와 출토유물 | 이택구 |
전북지역 마한 분구묘 사회의 연구 성과와 과제 | 박영민 |
전남지역 마한 분구묘의 구조와 출토유물 | 오동선 |
전남지역 마한 분구묘 사회의 연구 성과와 과제 | 한옥민 |
4. 자유패널 2분과 : 방사성탄소연대에 대한 융합적 이해 | |
방사성탄소연대에 대한 고고학, 물리학, 통계학 융합연구: 기획취지 | 김장석 |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실험 | 김준규?양지원 |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의 실험오차에 대한 이해 | 최선호 |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의 불확실성에 대한 베이지안 분석 | 이영선?이재용?김장석 |
방사성탄소연대 분석을 통한 청동기시대 전기 토기 편년의 재검토 | 황재훈?양혜민 |
역사시대 고고자료의 해석과 방사성탄소연대 - 홍련봉 2보루의 사례를 중심으로 - | 최종택 |
5. 자유패널 3분과 : 고고학으로 본 흉노와 한반도 | |
몽골 흉노고고학의 연구 성과와 전망 | 윤형원 |
Xiongnu and Succession in Historical Dynamics of Inner Asian Nomadic Empires | Nikolay N. Kradin |
몽골 흉노유적의 국제공동조사사업과 성과 | G. 에렉젠 |
마구로 본 흉노와 한반도 - 말띠드리개를 중심으로 - | 장윤정 |
2013~2014년 고아도브 흉노성지 발굴조사 개요 | 김상민 |
몽골 호스틴 볼락유적의 조사와 연구 - 흉노의 수공업생산 연구 - | 笹田朋孝 외 1인 |
흉노고분에서 보이는 파지릭 문화의 요소 - 고분구조를 중심으로 - | 조소은 |
Travel East, Travel West: Interpreting Glass Evidence to Answer Archaeological Questions | James W. LANKTON 외 3인 |
몽골 흉노고분 출토 금공품의 기원과 영향 | 주경미 |
흉노시대 동물장식 허리띠 고리(帶?)의 형식과 변천 | 한진성 |
第37回 주거의 고고학(2013년 11월 발행)
第37回 주거의 고고학(2013년 11월 발행) | |
---|---|
1. 공동 주제 발표 | |
‘家口’에 대한 考古學的 理解 -‘家口考古學’과 한국 선사시대 주거양상 연구- | 金範哲 |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구조와 운용방식 | 구자진 |
청동기시대 주거고고학 | 이수홍 |
중도식 주거 문화권의 주거지와 취락 | 송만영 |
호남지역 원삼국~삼국시대의 주거·주거군·취락구조 | 이영철 |
영남지방 원삼국·삼국시대 주거 | 공봉석 |
주거와 공동체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 동북아시아의 시각으로 - | 이기성 |
무문토기시대 가구(家口) 연구 - 미세형태학적 분석을 통해서 - | Rachel Lee·윤호필·박용근 |
2. 포스터세션 | |
고고학적 얼굴복원기법을 응용한 조선시대 사람 모습의 복원 | 이원준·윤아영·송미경·신동훈 |
부여지역 사비기 굴립주건물지의 공간활용방식 연구시론 | 정훈진 |
조선시대 한양도성 내 주거지의 평면 형태와 배수시설 연구 -서울 서린동유적 및 군기시터유적을 중심으로- |
박만홍 |
주거지 내부토에 잔존하는 미세층위와 인간행위 | 이희진 |
화천 원천리유적의 ‘I’자형 구들과 출입구 | 심재연 |
3. 자유패널 1분과 - 마한·백제 사주식주거지의 의미와 과제 | |
마한·백제 사주식주거지의 연구 성과와 과제 | 서현주 |
서울-경기지역 원삼국~한성백제기 사주식주거지 연구 | 이상걸 |
호서지역 사주식주거지 연구 | 신연식 |
전북지역 마한·백제 사주식주거지에 대한 小考 | 조성희 |
전남 서부지역 사주식주거지 검토 | 정일 |
전남 동부지역 사주식주거지 | 박미라 |
古墳時代 4本主柱 竪穴住居와 渡來人 - 北部九州를 事例로 - | 重藤輝行 |
4. 자유패널 2분과 - 중앙 유라시아 고대 정치체 형성과 동서 문물 교류 - 발굴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 |
About the archaeological project of SEBA Association | Dr. Irada M. Najafova |
CAUCASIAN ALBANIA AND THE EXCAVATIONS OF ITS ARCHAEOLOGICAL MONUMENTS | Ilyas Babayev, Dr. Jeyhun Eminli |
우즈베키스탄 테르메즈 카라테파 유적 조사성과 | 이지영 |
2013년 여름 카자흐스탄 쿠르간 발굴조사 참여 보고 | 장준희 |
살비르 북벽 3D 스캔 결과시연 | 이재욱 |
살비르(Salbir)유적 성벽의 조사성과 | 이범기·한윤선·손재현 |
살비르성의 건물 | 유병록·문수균·정혜정 |
살비르성의 수혈유구 | 도문선·김의중·박중국·박신명 |
살비르성의 도기가마 | 최경용·권혁주 |
살비르성의 무덤 | 하승철·여창현 |
살비르유적 보존처리 과정 및 결과 | 위광철·강석인·정다솜·김우현 |
아제르바이잔 가발라지역 살비르유적 GPR탐사 중간보고 | 신종우·김대연 |
카우카소스산인가? 곤륜산인가? - 플리니우스 <자연학>과 <산해경> 비교 - | 안재원 |
살비르유적의 도시원형 추정을 위한 물음들 | 서정일 |
아제르바이잔 살비르 토성 출토 유리구슬의 특성 분석 | 김규호·김나영 |
New Discoveries at Salbir (Gabala) settlement - On the basis of the 2010-2013 excavations - | Dr. Jeyhun Eminli |
5. 자유패널 3분과 - 한국 선사시대의 역연대 | |
총론, 취지, 탄소14연대에 대하여 | 이창희 |
시대구분론과 연대문제 | 최성락 |
구석기시대의 역연대 | 장용준 |
신석기시대의 역연대 | 김성욱 |
청동기시대 조기의 역연대 | 이창희 |
청동기시대 전기의 역연대 | 정대봉 |
청동기시대 중기의 역연대 | 김현식 |
청동기시대 후기의 역연대 | 이창희 |
철기시대의 역연대 | 이창희 |
第36回 농업의 고고학(2012년 11월 발행)
第36回 농업의 고고학(2012년 11월 발행) | |
---|---|
1. 공동 주제 발표 | |
식물자료를 이용한 농업연구: 몇 가지 이론적 고찰 | 김민구 |
농기구와 농경 | 金度憲 |
경작유구를 통해 본 경지이용방식의 변천 연구 | 윤호필 |
한반도 선사·고대 動物 飼育의 역사와 그 의미 | 이준정 |
토양을 활용한 고대 농경 복원 | 이희진 |
한국 농업기술의 발전 과정과 연구 성과 | 이현혜 |
2. 약정 토론 요지 | |
농업의 고고학에 대한 토론 | 김건수 |
‘농구’와 ‘경지이용방식’에 대한 토론 | 김재홍 |
「식물자료를 이용한 농업연구」에 대한 토론 | 박태식 |
「농기구와 농경」에 대한 토론 | 송윤정 |
「토양을 활용한 고대 농경 복원」에 대한 토론 | 이진주 |
3. 포스터세션 | |
강릉 강문동 저습지 유적 출토 돼지 | 고은별·박영구 |
경주 금장리 신라시대 대규모 밭 경작 유적 | 김대덕 |
강원 고성 문암리유적 신석기시대 밭 | 조미순 |
고지형분석과 고고학에서의 활용 | 이홍종 |
김제 벽골제(사적 제111호) 중심거 학술발굴조사 | 진만강 |
백제 철볏, 그 고고학적 위상 | 정훈진 |
상주 공검지 발굴조사 성과 | 김찬영 |
선사시대 수리시설의 양상과 변화 | 허의행 |
송국리유적 식물유체 분석 예보 | 류아라 |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제주 금성리 출토 인골의 식생활 연구 | 강소영·조은민·권은실·김윤지·김수훈·강창화 |
용인 지역 삼국(신라)~통일신라시대 철제 우경구와 농경관련 유적 | 이남규·송윤정 |
전북지역의 원삼국시대 작물조성 | 안현중 |
진주 평거동유적 출토 식물유체 | 고민정·김남수·이경아 |
춘천 천전리유적의 청동기시대 경작유구 | 강원문화재연구소 |
토기 압흔을 통해 본 식물이용 연구 | 정유진 |
4. 자유패널 1분과 - 부여지역 백제 건축유구의 변천과 특성 | |
부여지역 백제 수혈식주거지 | 이건일 |
부여지역 백제 굴립주건물지 | 임종태 |
부여지역 백제 주구부 굴립주건물지 | 정훈진 |
부여지역 백제 벽주(대벽)건물지 | 심상육 |
부여지역 백제 사비기 기와건물지의 건축기법 특성 | 조원창 |
5. 자유패널 2분과 - 삼국시대 고총고분 조사방법과 축조기술 | |
삼국시대 고총고분의 봉분 조사방법과 과제 | 홍보식 |
영암 옥야리 방대형고분의 조사방법과 축조기술 | 전용호 |
부산 연산동 M3호분의 조사방법과 축조기술 | 신동조 |
영암 자라봉고분의 조사방법과 축조기술 | 임지나 |
창녕 교동7호분의 조사방법과 축조기술 | 조성원 |
6. 자유패널 3분과 - 인골 연구 방법론의 고고학적 적용 | |
인골의 신장 추정을 통한 과거 사회의 복지수준 연구 | 박순영 |
역학적 스트레스 반영 지표를 통한 행위수준의 복원 | 우은진 |
고기생충학의 고고학적 적용 | 서민 |
고DNA 연구의 현황과 미래 | 신동훈 |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식생활 복원 | 신지영·이준정 |
인골 분석을 통한 장례 방식의 검토 | 하대룡 |
7. 자유패널 4분과 - 중세수공업 관련 고고학적 조사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문헌사와의 융합적 연구 방향 모색 - | |
한국 중세 수공업 관계 고고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 이남규 |
고려시대 자기생산가마에 관한 고고학적 검토 | 노대석 |
중세 기와 생산에 대한 조사연구성과와 과제 | 이인숙 |
중세 철·철기 생산의 고고학적 연구현황과 과제 | 송윤정 |
고려시대 手工業史의 연구성과와 과제 | 이충선 |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 | 홍영의 |
8. 자유패널 5분과 - 한국의 수중문화재 발굴 성과와 보존처리 | |
한국 수중발굴현황 및 매장환경에 따른 발굴방법 | 양순석 |
마도해역에서 발굴된 고선박의 구조와 성격 | 노경정 |
한국 닻돌의 쓰임새 연구 | 홍광희 |
고려 침몰선 출수 도기호의 양상 | 신종국 |
신안선 보존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차미영 |
第35回 삼국시대 남해안지역의 문화상과 교류 (2011년 11월 발행)
第35回 삼국시대 남해안지역의 문화상과 교류 (2011년 11월 발행) | |
---|---|
1. 공동 주제 발표 | |
토기문화로 본 삼국시대 낙동강 하구의 교류양상 | 조성원 |
소가야지역의 대외교류 | 장윤정 |
남해안지역 석실묘의 등장배경 | 김낙중 |
서남해안지역의 토기문화와 가야와의 교류 | 서현주 |
삼국시대 전남동부지역의 문화상과 교류 | 이동희 |
남해안지역 須惠器토기의 출현배경과 의의 | 김일규 |
2. 약정 토론 요지 | |
등록된 약정 토론 요지가 없습니다. | |
3. 유적 조사 발표 | |
단양 수양개 III 지구 구석기 유적 | 안주현 |
화성 석교리 신석기시대 취락 | 조성호,박윤주 |
당진 성산리 유적 | 윤정현,최하영 |
부여 송국리유적 14차 발굴조사 성과 | 정치영, 주혜미, 이동희, 정은지 |
춘천 하중도유적 | 이명엽, 정세영 |
영암 장동 방대형 고분 | 전용호, 이진우, 조미순 |
임실 석두리유적 | 박영민, 김진, 서지은, 윤용환, 이경희, 박춘규 |
부여 쌍북리 207-5번지 유적 백제 건물지 | 정훈진, 원대운, 윤종철 |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및 생활권 2-4구역 건설예정지역 내 연기 나성리유적 | 이인학 |
경주 화천리 양성자가속기 개발사업부지내(B)유적 | 박헌민,김지영 |
경기도 광주 관요 발굴조사 성과 | 김경중,김봉준 |
진해 남문동유적 | 손성원 |
4. 분석 사례 발표 | |
함안 성산상성의 고대환경 복원연구(자유패널발표)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
5. ppt 발표 내용 | |
등록된 분석 사례 발표가 없습니다. |
第34回 移住의 고고학 (2010년 11월 발행)
第34回 移住의 고고학 (2010년 11월 발행) | |
---|---|
1. 공동 주제 발표 | |
고고학에서 이주의 개념과 물질문화의 변이-개념 및 서구사례를 중심으로- | 김종일 |
한국 빗살무늬토기의 확산과정 | 송은숙 |
松菊里文化의 日本 傳播와 受容 | 유병록 |
樂浪에서 三韓으로-原三國時代의 移住에 대한 事例 檢討- | 金武重 |
백제 물질문화의 변동과 주민의 이주 | 이성준 |
신라가야의 移住資料와 移住類型 | 홍보식 |
한국고고학과 이주-김종일 교수의 발표문에 대한 토론문- | 김장석 |
〈한국 빗살무늬토기의 확산과정〉에 대한 몇 가지 의문 | 하인수 |
'松菊里文化의 日本 傳播와 受容'에 대한 토론 요지문 | 이홍종 |
'樂浪에서 三韓으로-原三國時代의 移住에 대한 事例 檢討-'에 대한 토론문 | 정인성 |
'백제 물질문화의 변동과 주민의 이주'에 대한 토론 요지 | 김성남 |
'신라가야의 移住資料와 移住類型 '에 대한 토론요지 | 박승규 |
2. 약정 토론 요지 | |
등록된 약정 토론 요지가 없습니다. | |
3. 유적 조사 발표 | |
울진 죽변리 유적 | 하영중 |
진주 평거 4지구(Ⅰ구역)유적 | 윤호필, 고민정, 황인천, 정익환 |
인천 운북동유적 | 이길성, 조순제 |
화성 쌍송리 환호취락-평택시흥 고속도로구간내 17지역 발굴조사- | 김용 |
광주 역동 e-편한세상 아파트신축부지내 유적(가,마지점) 문화재 발굴조사 | 박천택 |
여수 GS칼텍스공장 확장예정부지내 여수 월내동 상촌, 적량동 상적 지석묘군 | 강진표 |
경주 석장동 876-5번지 다가구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 박영호 |
경부고속철도 울산역 역세권 부지내 유적 | 정현석, 성민호, 김나영 |
행정중심복합도시 지방행정지역 생활권 3-1,2내 C지점 연기 대평리유적 | 이창호, 김현일 |
연기 대평리유적 B지점 | 양지훈 |
완주 신풍유적 발굴조사 성과 | 한수영, 송종열, 이진희 |
연천 삼곶리 철기생산 마을유적 발굴조사 성과 및 향후과제 | 장인경, 김기룡, 배기동 |
충주 문성리 유적 | 조순흠, 최관호 |
연기 석삼리 원삼국시대 분묘유적 | 박소연, 김도연, 이동휘, 엄혜미 |
합천 삼가고분군 유적 | 이춘선 |
경주 황성동 590번지 일원 공동주택 건립부지내 유적 | 황보은숙 |
연천 강내리 유적 | 안성민, 박성남 |
서산 예천동 유적 | 최봉균 |
寶成 道安里 石坪遺跡 | 金珍英 |
신녕-영천 국도확장공사구간내 화남리 유적 | 김희철 |
의성 대리리 2호분 | 권혜인 |
울산 혁신도시 개발사업 2구역 1차 C2-B구간 유적내 울산 약사동 제방 | 권석호, 권순강, 이보경, 심성민, 김동현, 지영배 |
4. 분석 사례 발표 | |
대형옹관제작 고대기술 복원 프로젝트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
鳥居龍藏으로 본 일제강점기 한국 선사시대에 대한 이해 | 강인욱 |
일제강점기의 낙랑고고학 | 정인성 |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제도에 관한 검토 | 이기성 |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결과물 | 천선행 |
5. ppt 발표 내용 | |
울진 죽변리 유적 | 하영중 |
진주 평거 4지구(Ⅰ구역)유적 | 윤호필, 고민정, 황인천, 정익환 |
인천 운북동유적 | 이길성, 조순제 |
화성 쌍송리 환호취락-평택시흥 고속도로구간내 17지역 발굴조사- | 김용 |
광주 역동 e-편한세상 아파트신축부지내 유적(가,마지점) 문화재 발굴조사 | 박천택 |
여수 GS칼텍스공장 확장예정부지내 여수 월내동 상촌, 적량동 상적 지석묘군 | 강진표 |
경주 석장동 876-5번지 다가구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 박영호 |
경부고속철도 울산역 역세권 부지내 유적 | 정현석, 성민호, 김나영 |
행정중심복합도시 지방행정지역 생활권 3-1,2내 C지점 연기 대평리유적 | 이창호, 김현일 |
연기 대평리유적 B지점 | 양지훈 |
완주 신풍유적 발굴조사 성과 | 한수영, 송종열, 이진희 |
연천 삼곶리 철기생산 마을유적 발굴조사 성과 및 향후과제 | 장인경, 김기룡, 배기동 |
충주 문성리 유적 | 조순흠, 최관호 |
연기 석삼리 원삼국시대 분묘유적 | 박소연, 김도연, 이동휘, 엄혜미 |
합천 삼가고분군 유적 | 이춘선 |
경주 황성동 590번지 일원 공동주택 건립부지내 유적 | 황보은숙 |
연천 강내리 유적 | 안성민, 박성남 |
서산 예천동 유적 | 최봉균 |
寶成 道安里 石坪遺跡 | 金珍英 |
신녕-영천 국도확장공사구간내 화남리 유적 | 김희철 |
의성 대리리 2호분 | 권혜인 |
울산 혁신도시 개발사업 2구역 1차 C2-B구간 유적내 울산 약사동 제방 | 권석호, 권순강, 이보경, 심성민, 김동현, 지영배 |
第33回 갈등과 전쟁의 고고학 (2009년 11월 발행)
第33回 갈등과 전쟁의 고고학 (2009년 11월 발행) | |
---|---|
1. 공동 주제 발표 | |
江西靖安東周墓的性質探討 | 李榮華 |
한반도 삼국시대의 순장문화 | 이성준 |
중국 先秦時代의 전쟁과 학살 | 조윤재 |
西日本 彌生時代의 戰爭과 犧牲 | 中村大介 |
동래읍성에서 본 임진왜란 - 동래성 전투 | 최종혁·안성현 |
한국전쟁시기 이념간 갈등의 증거와 그 허실 - 민간인 집단학살 사례를 중심으로 - | 이상길 |
청동기시대의 전쟁 | 손준호 |
'청동기시대의 전쟁'에 대한 토론문 | 배진성 |
벽화와 유물의 통해 본 고구려의 군사체계 | 최종택 |
'벽화와 유물을 통해 본 고구려의 군사체계'에 대한 토론문 | 심광주 |
영남지역 武器·武具副葬墓와 被葬者의 性格 | 이주헌 |
'영남지역 武器·武具副葬墓와 被葬者의 性格'에 대한 토론문 | 김길식 |
삼국시대 기병과 기병전술 | 류창환 |
'삼국시대 기병과 기병전술'에 대한 토론문 | 성정용 |
'청동기시대의 전쟁'에 대한 토론문 | 조진선 |
'전쟁고고학의 모색'에 대한 토론문 | 이동희 |
2. 약정 토론 요지 | |
등록된 약정 토론 요지가 없습니다. | |
3. 유적 조사 발표 | |
연천 전곡리 중2-5호선 도로 개설구간 발굴 조사 | 유용욱·김동완 |
인천 운서동유적 발굴조사 개보 - 신석기시대 수혈주거지를 중심으로 - | 이상복 |
산청 매촌리유적 | 이진주·고용수 外 |
대구 신서동 청동기시대 유적 | 김재열·염정희 |
울산 명산리 영어마을 조성부지내 유적 | 정현석 |
진주 가호동 유적 | 박용근·이주영·성원순 |
울산 북구 호계·매곡 도시개발사업지구내 유적 | 이해수 |
제주 예래휴양형주거단지 조성사업 부지내 발굴조사(I구역) 개보 | 나정욱 |
대전 용계동 원삼국시대 취락 | 도문선 |
김포 운양동 유적 | 김기옥 |
용인 고림동 원삼국~백제취락 | 구자린 |
고창 봉덕리 1호분 | 이문형·옥창민 |
광주 효천2지구 국민임대주택단지 부지 내 유적 | 정일·이지영 |
광주 월전동 원두·월전유적 | 노미선 |
강릉 안현동 삼국시대 분묘군 | 박수영·이정혁·박성민 |
대전 상대동-중동골 고려시대 건물지 유적 | 강태정 |
가평 하판리 조선백자요지 | 김경중 |
4. 분석 사례 발표 | |
철제무기 제작기술 연구 - 영남지역 철모의 제작기술 - | 김은주 |
단야유구를 통해본 무기생산에 대한 연구 - 한반도 남부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 | 김상민 |
금속학적 분석 연구를 통해 본 철기 제작기술 - 철제무기류를 중심으로 - | 장경숙 |
철기제작의 복원실험연구 | 한정욱 |
양산 호계동 삼국시대 토기가마 복원과 소성실험 | 토기가마 복원실험 연구회 |
고대 인골자료의 복원연구 - 창녕 송현동 15호분 출토 순장인골의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
5. ppt 발표 내용 | |
연천 전곡리 중2-5호선 도로 개설구간 발굴 조사 | 유용욱·김동완 |
인천 운서동유적 | 이상복 |
산청 매촌리유적 | 이진주·고용수 外 |
대구 신서동 청동기시대 유적 | 김재열 |
울산 명산리 영어마을 조성부지내 유적 | 정현석 |
진주 가호동 유적 | 박용근·이주영·성원순 |
울산 북구 호계·매곡 도시개발사업지구내 유적 | 이해수 |
제주 예래휴양형주거단지 조성사업 부지내 발굴조사(I구역) 개보 | 나정욱 |
대전 용계동 원삼국시대 취락 | 도문선 |
김포 운양동 유적 | 김기옥 |
용인 고림동 원삼국~백제취락 | 구자린 |
고창 봉덕리 1호분 | 이문형·옥창민 |
광주 효천2지구 국민임대주택단지 부지 내 유적 | 정일·이지영 |
광주 월전동 원두·월전유적 | 노미선 |
강릉 안현동 삼국시대 분묘군 | 박수영·이정혁·박성민 |
대전 상대동-중동골 고려시대 건물지 유적 | 강태정 |
가평 하판리 조선백자요지 | 김경중 |
第32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樣式의 考古學)
第32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樣式의 考古學) | |
---|---|
1.日 時 : 2008년 11월 7일∼8일(토) | |
2.場 所 : 강원대학교 백령문화관·60주년 기념관 | |
3.日 程 | |
제1일 | |
개회사 | 이강승(한국고고학회 회장) |
축사 | 권영중(강원대학교 총장) |
축사 | 윤세영(前한국고고학회 회장) |
환영사 | 나현수(강원대학교박물관장) |
• 공동주제 발표 | |
사회 : 정연우(예맥문화재연구원), 최종모(강원문화재연구원) | |
• 양식의 고고학(기조발표) | 김장석(경희대학교) |
• 양식과시간 | 천선행(부산대학교박물관) |
지정토론 | 임상택(부산대학교) |
• 토기 양식과 정치제 | 朴昇圭(영남문화재연구원) |
지정토론 | 곽장근(군산대학교) |
• 樣式의 生成: 新羅, 加耶樣式과 小地域樣式의 形成에 대한 檢討 | 李盛周(강릉대학교) |
지정토론 | 김성남(부여군문화재보존센타) |
• 中國考古學における「文化」と「類型」 | 大貫靜夫(東京大學) |
지정토론 | 이청규(영남대학교) |
통역 | 庄田愼矢(東京大學) |
• 종합토론 | |
총회 | |
만찬회 | |
제2일 | |
유적조사발표 | |
오전사회 : 김종일(서울대학교), 오후사회 : 송만영(경기도박물관) | |
• 임실 하가유적의 발굴과 성과 | 이기길(조선대학교) |
• 달성 평촌리유적 | 신영애(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 동해 망상동유적 | 심재연·한관희·한재욱(예맥문화재연구원) |
• 울산 달천유적 | 김광수(울산문화재연구원) |
• 담양 태목리유적 | 신흥남(호남문화재연구원) |
• 烏山 水淸洞 三國時代墳墓群 | 이창엽·오승렬(경기문화재연구원) |
• 풍납토성 경당지구 재발굴조사 성과 | 한지선(한신대학교박물관) |
• 연기 송원리 백제 한성기 고분군 | 조동식(한국고고환경연구소) |
• 경주 쪽샘유적 발굴조사 개요 | 박윤정(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 부여 쌍북리 280-5번지 창고신축부지 文化遺蹟 發掘調査 | 정해준·윤지희(백제문화재연구원) |
• 익산 제석사지 제1차 조사의 성과와 의의 | 전용호(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 原州 安昌里 기와生産遺蹟 | 이길성(한강문화재연구원) |
• 함안 가야리 제방유적 | 권순강·김성미·김지현·이수용(우리문화재연구원) 송영진(함안박물관) |
자유패널발표 | |
[자유패널 1분과] | |
주제 : 부뚜막취사의 실험고고학적 검토 | |
주최 : 食文化探究會 | |
오전사회 : 홍보식(부산박물관), 오후사회 : 박영구)(강릉대학교박물관) | |
I. 취지설명 | 오승환(한강문화재연구원) |
II. 硏究動向 | |
(1) 한국의 조리 실험에 관한 연구 동향과 연구 방법 | 한지선(한신대학교박물관) |
(2) 日本의 부뚜막 硏究 現況 | 庄田愼矢(東京大學) |
III. 부뚜막과 장란형토기 제작 | 정종태(백제문화재연구원) |
IV. 부뚜막취사 실험결과에 대한 분석과 해석 | |
1. 취사용기의 사용흔 분석 | 정수옥(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장홍선(한국선사문화연구원) |
2. 부뚜막의 실험 분석 | 오승환(한강문화재연구원) |
3. 실험자료의 고고학적 해석 | 허진아(경희대학교)·한지선(한신대학교박물관) |
V. 향후 전망과 과제 | |
1. 종합토론 | (사회 : 홍보식(부산박물관), 참가자 : 발표자 전원) |
2. 향후 전망과 과제 | 오승환(한강문화재연구원) |
[자유패널 2분과] | |
주제 : 한반도 주변지역 청동기의 제양상 | |
주최 : 한국청동기학회 - 청동기분과 | |
취지설명 : | 趙鎭先(전남대학교) |
• 러시아 남부 시베리아 타가르문화 동검의 연구 | 강인욱(부경대학교) |
• 요서지역 청동기문화에 대한 몇 가지 문제 | 趙鎭先(전남대학교) |
• 遼東地域과 西團山文化圈의 靑銅器 | 이종수(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 韓國式銅戈로 본 韓·中·日 三國의 交差編年 | 李陽洙(국립경주박물관) |
종합토론 | (사회 : 이청규(영남대학교) 참가자 : 발표자외 이재현(울산발전연구원) 中村大介(한국고고환경연구소) 曹建恩(중국 내몽고문물고고연구소) 이성재(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第31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국가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第31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국가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 |
---|---|
1.日 時 : 2007년 11월 2일∼3일(토) | |
2.場 所 : 충남대학교 정심화 국제문화회관 | |
3.日 程 | |
제1일 | |
개회사 | 최병현(한국고고학회 회장) |
축사 | 김지환(충남대학교 총장 직무대리) |
공동주제 발표 | |
주제발표 | |
사회 : 우재병(충남대학교), 전옥연(부산박물관) | |
• 국가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기조발표) | 박순발(충남대학교) |
• 성의 출현과 국가의 형성 | 신희권(국립문화재연구소) |
지정 토론 : 윤용구(인천시립박물관) | |
• 고분 자료로 본 신라의 국가 형성 | 김대환(영남대학교박물관) |
지정 토론 : 이재현(울산발전연구원) | |
• 토기 양식으로 본 고대국가 형성 | 성정용(충북대학교) |
지정 토론 : 윤온식(국립광주박물관) | |
• 위세품으로 본 고대국가의 형성 | 이한상(대전대학교) |
지정 토론 : 김길식(용인대학교) | |
• 종합토론 | |
사회: 박순발(충남대학교) | |
토론자: 발표자및 지정토론자 외 권오영(한신대학교), 김승옥(전북대학교), 이희준(경북대학교) |
|
제2일 | |
유적조사 발표 | |
사회 : 김권구(계명대학교), 김무중(한국고고환경연구소) | |
• 화순 도산 구석기 유적의 제2차 발굴조사 개요 | 이기길(조선대학교) |
• 양양 오산리 C유적 | 고동순(예맥문화재연구원) |
• 용인 농서리 유적 | 방기영(기호문화재연구원) |
• 천안 백석동 고재미골 유적 | 오규진·배상훈(충청문화재연구원) |
• 대구 대천동 511-2번지 유적 | 권헌윤(영남문화재연구원) |
• 홍천 철정리 II 유적 | 김권중·박용근(강원문화재연구소) |
• 아산 명암리 밖지므레 유적 | 이상엽·김현일(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 고창 오호리 신지매 유적 | 안효성(전북문화재연구원) |
• 진주 평거동 유적(II지구) | 공봉석(경남문화재연구원) |
• 서울 은평 진관동 유적 | 조길환(중앙문화재연구원) |
자유패널발표 | |
주제 : 철기시대 연해주와 강원도 지역의 비교 연구 - 끄로우노브까문화와 중도식토기 문화를 중심으로 - |
|
사회 : 지현병(강원문화재연구소), 이성주(강릉대학교) | |
• 연구회를 개최하며 | 홍형우(국립문화재연구소) |
제1주제 : 최근 환동해권 철기시대 유적 발굴 성과 | |
• 연해주 초기철기시대의 연구 현황과 과제 | 홍형우(국립문화재연구소) |
제2주제 : 두만강 유역의 초기철기시대 문화 | |
• 단결-끄로우노브까문화의 기원 - 토기자료를 중심으로 - | 김재윤 (러시아과학원 극동분소 역사 고고학 민속학연구소) |
• 강원도 중도식토기 문화에 보이는 동북지방 요소 | 심재연(예맥문화재연구원) |
제3주제 : 중도식토기와 연해주 철기시대 문화의 토기 비교 | |
• 연해주, 두만강유역, 영동·영서 지역의 생계경제에 대한 차이 연구 | A. L. Subbotina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 분소 고고민족학연구소) |
• 토기의 제작 기법으로 본 연해주와 강원도 자료 검토 - 연해주 불로치까 유적 출토 토기 자료를 중심으로 - |
유은식(국립문화재연구소) |
제4주제 : 두 문화권역의 비교 연구 | |
• 연해주 초기철기시대 끄로우노프까문화의 확산과 전파 | 강인욱(부경대학교) |
종합토론(토론사회 : 이청규(영남대학교), 토론자 : 관계 연구자) |
第30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계층 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第30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계층 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 |
---|---|
1.日 時 : 2006년 11월 3일∼4일(토) | |
2.場 所 : 숭실대학교 한경직 기념관 | |
3.日 程 | |
제1일 | |
개회사 | 최병현(한국고고학회 회장) |
기념사 | 윤용진(한국고고학회 제9대 회장) |
축사 | 이효계(숭실대학교 총장) |
공동주제 발표 | |
주제발표 | |
사회 : 안신원(한양대학교), 우재병(충남대학교) | |
남한지방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의 변화와 계층화 | 송만영(경기도박물관) |
분묘 자료를 통해 본 청동기시대 사회조직과 변천 | 김승옥(전북대학교) |
無文土器社會의 威勢品 副葬과 階層化 | 裵眞晟(國立金海博物館) |
祭祀와 權力의 發生 | 이상길(경남대학교) |
• 공동주제 토론 | |
사회: 이청규(영남대학교) | |
종합토론 | |
제2일 | |
유적조사 발표 | |
사회 : 김무중(한국고고환경연구소), 이정호(동신대학교 박물관) | |
• 춘천거두리 구석기유적 | 황보창서(예맥문화재연구원) |
• 최근에 조사된 영동지방 신석기유적 | 고동순(예맥문화재연구원) |
• 春川 擧頭2地區遺蹟 | 金權中(江原文化財硏究所) |
• 天安 新芳洞遺蹟 | 현대환(中央文化財硏究院) |
• 金海 栗下里 遺蹟 | 이영주(경남발전연구원) |
• 가평 대성리유적 | 김일규·현덕만(기전문화재연구원) |
• 慶州 德泉里遺蹟 | 이석범·이나영(嶺南文化財硏究院) |
• 창원 동중학교 신축부지 내 유적 | 조상훈(東亞細亞文化財硏究院) |
• 光州 山亭洞遺蹟 | 박태홍(호남문화재연구원) |
• 順天 德岩洞遺蹟 | 朴美羅(南道文化財硏究院) |
자유패널발표 | |
자유패널 1분과 | |
주제 : 炊事形態의 考古學的 硏究 |
|
사회 : 안승모(원광대학교) | |
• 취지설명 | 安承模 |
• 炊事硏究動向 | 韓志仙(한신대학교 박물관), 吳昇桓(한강문화재연구원), 庄田愼矢(한국고고환경연구소) |
• 炊事容器의 使用痕 分析 | 庄田愼矢, 韓志仙 |
• 複合式 炊事容器에 대한 接近 | 朴敬信(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鄭鍾兌(백제문화재연구원), 許眞雅(전남대학교 인류학과) |
• 부뚜막의 炊事方式 및 炊事空間 | 吳昇桓, 李賢淑(공주대학교박물관) |
자유패널 2분과 | |
주제 : 오르도스 청동기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
|
사회 : 권오영(한신대학교) | |
• 총론 | 이강승(충남대학교) |
• 오르도스 청동기 문화의 연구사적 검토 | 이재현(울산발전연구원) |
• 오르도스 청동기시대 유적 - 분묘를 중심으로 | 강현숙(동국대학교) |
• 오르도스 청동기시대 유물(1) 토기 | 이해련(부산박물관) |
• 오르도스 청동기시대 유물(2) 금속기 | 정상석(기전문화재연구원) |
• 오르도스 청동기 문화의 편년과 지역성 | 이한상(동양대학교) |
• 종합토론 | 박양진(충남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