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고학보
- 韓國考古學報 第96輯 2015. 9 보기
- 韓國考古學報 第95輯 2015. 6 보기
- 韓國考古學報 第94輯 2015. 3 보기
- 韓國考古學報 第93輯 2014. 12 보기
- 韓國考古學報 第92輯 2014. 9 보기
- 韓國考古學報 第91輯 2014. 6 보기
- 제 90집 2014.03 보기
- 제 89집 2013.12 보기
- 제 88집 2013.09 보기
- 제 87집 2013.06 보기
韓國考古學報 第96輯 2015. 9 | |
---|---|
<論文> | |
평저토기문화권 동부지역의 6500~6000년 전 신석기문화 비교고찰 | 김재윤 |
청동기시대 立大木 祭儀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 李宗哲 |
燕下都의 造營과 都城 機能의 變遷 | 趙鎭先 |
三國時代 裝飾大刀의 製作技術과 地域性 | 禹炳喆 |
일본 오사카부(大阪府) 도야마(堂山) 1호분 출토 스에키(須惠器)의 계보와 제작배경 | 남익희 |
신라말~고려시대 선종사원의 배치변화에 관한 연구 | 이승연 |
韓國考古學報 第95輯 2015. 6 | |
---|---|
<論文> | |
문암리유적의 즐문토기 분류와 편년 검토 | 하인수 |
중국 선진시대 산동·강소지역의 농경 | 이홍종·石諾 |
송국리유형 발생설의 학사적 검토 | 宋滿榮 |
신라 조기 경주지역 목곽묘의 전개와 사로국 내부의 통합과정 | 최병현 |
韓國考古學報 第94輯 2015. 3 | |
---|---|
<論文> | |
紡錘車 분석을 통한 청동기시대 호서지역 製絲述 변화 | 박병욱 |
동북아시아 철기문화의 전개와 限冶供鐵 정책 | 김도영 |
유공광구호의 등장과 발전과정 | 원해선 |
백제 사비기 인장와의 변천과 제작체계 | 김환희 |
서평) 무덤에서 찾은 전근대사회의 예제-鐵箱集Ⅰ-葬送(崔鍾圭,2014,考古) | 이한상 |
韓國考古學報 第93輯 2014. 12 | |
---|---|
<論文> | |
한반도 남부 출토 前漢鏡의 제작연대 ?중국 전한경 공반 동전에 입각한 고찰 | 박지영 |
韓半島 出土 水晶多面玉의 展開樣相과 特徵 | 양아림 |
원삼국~백제 한성기 중서부지역 철도자 연구 | 노태호 |
4世紀代 嶺南地域 短頸壺의 打捺技法 硏究 | 김경열 |
봉토 외형으로 본 신라 전·중기의 왕릉 추정 | 윤상덕 |
百濟 수레와 泗?都城의 道路施設 | 이판섭 |
학회소식 | 2014 |
韓國考古學報 第92輯 2014. 9 | |
---|---|
<論文> | |
청동기시대 전기 마성자문화요소의 한반도 유입 일 양상 -경남 남강~해안지역으로의 직접유입에 대하여- | 송영진,하용인 |
중서부지역 무문토기시대 전기의 시간성 재고 -14C연대 분석을 중심으로- | 황재훈 |
경주지역 원삼국시대 분묘의 철기 부장유형과 위계 | 장기명 |
한국에서의 족장사회와 국가형성-최몽룡 교수의 <한국 고고학 연구: 세계사 속에서의 한국> | 이청규 |
韓國考古學報 第91輯 2014. 6 | |
---|---|
<論文> | |
01 청동기시대 중국 동북지역 금속제 이식의 시공간성과 제작 방식 | 오강원 |
02 三韓時代 嶺南地域 鐵製__의 硏究 | 허미연 |
03 삼국시대 경주양식분포권 토기생산과 교환의 과학분석을 통한 연구 | 김옥순외 |
04 편집후기 |
제 90집 2014.03 | |
---|---|
<論文> | |
청동기시대 주거생활 변화와 지역성의 사회적 의미 -영남지역의 자료를 중심으로- | 이수홍 |
先秦時代 환황해 일대 식생활 및 생업방식의 검토 -인골탄소 · 질소동위원소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 石諾 |
중부지역 격자문타날토기와 U자형토기의 등장 | 김장석 |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형성과정과 신라 마립간시기 왕릉의 배치 | 최병현 |
<비평> | |
'住居址'에서 '居住者'로 -한국 선사시대 가구고고학을 위한 제언- | 金範哲 |
고고학의 대중화에 관한 試論 -대중 인식과 소통을 중심으로- | 조우택·최성락 |
제 89집 2013.12 | |
---|---|
<論文> | |
14C연대 분석을 통한 중서부지방 신석기시대 편년 연구 | 소상영 |
新羅 垂飾附耳飾의 系統과 變遷 |
金宇大 |
제작 기술을 통해 본 백제 흑색마연토기의 의미 |
남상원 |
토기문화로 본 삼국시대 낙동강하구의 교류양상 |
조성원 |
한성백제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그 의미 |
이혁희 |
제 88집 2013.09 | |
---|---|
<論文> | |
평저토기문화권의 신석기후기 이중구연토기 지역성과 병행관계 | 김재윤 |
풍납토성 축조연대의 고고과학적 연구 - 2011년 동성벽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 이성준ㆍ김명진ㆍ나혜림 |
新羅 積石木槨墓의 구조와 축조공정 | 심현철 |
고령 지산동 44호분 순장곽의 매장패턴 연구 - 인골과 부장품의 위치관계를 중심으로 - | 신석원 |
제 87집 2013.06 | |
---|---|
<論文> | |
세형동검 단계 중국 동북지역의 동과와 동모 -遼寧式銅戈와 柳葉形銅鉾·細身形銅鉾를 중심으로- | 李厚錫 |
삼국시대의 이주와 생활 유형 | 홍보식 |
도유호와 한흥수:그들의 행적과 학술논쟁(1948~1950) | 한창균 |
41566)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대학원동 522호 內 한국고고학회 TEL 053-950-5188 E-MAIL kras1976@naver.com
ⓒ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