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김해능동유적 Ⅰ -목곽묘
2002-03-15 00:00:00
조회 1157
Ⅳ. 맺음말
陵洞遺蹟은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木槨墓와 石槨墓가 혼재해 있는데,
시기적으로는 三國時代에 해당하는 墳墓群이다. 본 유적은 하나의 분
묘군이 완전히 조사되었기 때문에 단위 유적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
닌다. 물론 유적의 상당 부분이 과수원 경작과정에 훼손되어버렸기 때
문에 많은 아쉬움이 있지만, 그나마 유적의 대부분이 조사되었기에 유
물의 정리가 완료된다면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닐 것으로 생각한다.
이번에 보고된 내용은 전체 능동 유적 중에서 목곽묘 자료 만을 정리
한 것으로, 차후 석곽묘와 가마터 자료가 정리 되는대로 곧 이어서 완
전한 자료를 공개할 예정이다. 따라서 본 유적의 조사내용에 대한 전체
적인 고찰은 석곽묘 자료를 보고할 때 통합해서 행하기로 한다.
목곽묘 자료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볼 때, 본 유적의 조성이 이루어진
것은 대체로 5세기대 부터 인 것으로 추정된다. 소위 말하는 金海式 外
折口緣高杯의 늦은 단계유물이 보이는 15호 목곽묘 단계 부터 처음으
로 유적의 형성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인접한 윗덕정고분군에서 외
절구연고배가 집중적으로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윗덕정고분군
의 조성이 어느 정도 완료된 후 능동유적이 형성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
다. 이 점은 윗덕정고분군의 조사 내용이 알려지면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동의대 박물관에서 조사한 內德里古墳群과의 관계도 향후 검토되어져
야할 과제로 생각된다. 3개의 유적이 반경 10㎞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으로 보아 각 고분군은 일정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
다. 일단 윗덕정고분군이 능동유적 보다는 다소 이른 시기에 조성된 것
으로 보인다. 내덕리고분군은 아직 비교할 만한 자료가 없기 때문에 자
료의 공개가 이루어지고, 능동유적의 석곽묘 자료가 완전히 정리되고
난 후에 종합적으로 검토할 기회를 가지고자 한다.
주목되는 점은 목곽묘와 석곽묘의 중복이 단 일례도 확인되지 않는다
는 점이다. 이것은 아마도 분묘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封墳이 있었음
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도 좋지 않을까 생각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현상은 우리 박물관에서 조사한거의 동시기의 蔚山 早日里遺蹟과 대비
되는 것으로 분묘의 조성에 있어서 지역적으로 일정한 관념차가 있었
던 것이 아닌가 추측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석곽묘의 자료가 공개되면 목곽묘와의 관련성과 함께 능
동유적을 조성했던 집단 내의 身分的인 位階도 정리해 볼 수 있지 않을
까 생각된다. 물론 유적의 훼손된 부분들로 인해 다소 부족한 감도 없
지 않겠지만 집단 내의 成層化 정도를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향후 주변지역의 古墳群 內容이 명확히 밝혀진다면 이러한 작업
을 통해서 5世紀代의 村落 안에서의 사회 구성상의 일정한 위계를 복원
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
부록 : 울산 서부동유적 발굴조사보고
177개(3/9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137 | 구미-금호간 경부고속도로 확장구간내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칠곡 영오리, ... | 운영자 | 1020 | 2002.05.01 |
136 | 상주 금돌성 지표조사보고서 | 운영자 | 1060 | 2002.05.01 |
135 | 금호-동대구간 경부고속도로 확장구간내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대구 봉무동,... | 운영자 | 1201 | 2002.05.01 |
134 | 여주-구미간 중부내륙고속도로 13공구 구간내 나구역 | 운영자 | 1534 | 2002.05.01 |
133 | (경주시 사정동 459-9번지)수습발굴조사보고서 | 운영자 | 1152 | 2002.04.30 |
132 | 대전 장안동 백자요지 | 운영자 | 1076 | 2002.04.27 |
131 | 부여 합정리 | 운영자 | 1450 | 2002.04.27 |
130 | 당진 안국사지(정밀지표조사보고서) | 운영자 | 1324 | 2002.04.26 |
129 | 천안 용원리 유적(A지구-본문, 사진) | 운영자 | 1525 | 2002.04.22 |
128 | 도서해안지역 종합학술조사 Ⅲ | 운영자 | 1452 | 2002.04.04 |
127 | 봉업사 | 운영자 | 1301 | 2002.04.03 |
126 | 충주 의림사지 지표조사 보고서 | 운영자 | 1343 | 2002.03.25 |
125 | 光州 新昌洞 低濕地 遺蹟 Ⅱ | 운영자 | 1124 | 2002.03.19 |
124 | 포항시 남구 호동 산 18· 18-1번지 재활용시설부지 文化遺蹟 試· 發... | 운영자 | 1128 | 2002.03.18 |
123 | 울산연암동유적 | 운영자 | 1220 | 2002.03.18 |
122 | 光州 新昌洞 低濕地 遺蹟 Ⅲ | 운영자 | 1177 | 2002.03.18 |
121 | 광산김씨 집성촌의 역사와 민속 | 운영자 | 1432 | 2002.03.15 |
120 | 靈光 嶺陽里 支石墓 | 운영자 | 1066 | 2002.03.15 |
>> | 김해능동유적 Ⅰ -목곽묘 | 운영자 | 1158 | 2002.03.15 |
118 | 울산 조일리고분군 Ⅰ- 목곽묘 | 운영자 | 1134 | 200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