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寬倉里유적
1999-11-30 00:00:00
조회 1015
본 보고서는 충남 보령시 주교면 관창리 소재 (주)대우의
관창 공업단지 조성지역 내에서 4개 대학 조사단이 실시한
7개(A~G)구역의 발굴조사 중 두 구역(A,F)에 대한 조사결과
를 수록한 것이다.
우리들이 담당한 구역에서 조사된 유구는 A구역에서 지석
묘 1기, 석관묘 11기, 석개토광 1기, 옹관묘 1기, 회곽묘 1
기, 민묘 1기, 토광 1기, 수혈 3기, 불명유구 2기와 F구역
에서는 수혈주거지 35동을 비롯하여 수혈유구 4기, 야외저
장고 1동, 요지 1기, 옹관묘 1기, 구상유구 1기, 굴립주건
물지 등이다.
이곳에서 무문토기를 비롯한 청동기시대 토기류 243점, 방
추차 등 토제품 4점과 마제석검, 석촉 등의 무구류, 석부·
석착·지석·방추차·갈돌·공이돌 등의 생활용구, 석도·
고드랫돌과 같은 생산용구, 垂飾으로 보이는 장신구 등 석
기류 238점이 출토되었다.
본 유적의 조성연대를 살펴보면, A구역 석관묘군은 출토석
검의 형식학적 연구성과를 통해 기원전 4세기대로 비정되
며, F구역의 주거지군은 출토유물과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
를 근거로 기원전 7~5세기대에 위치한다. A구역 석관묘들
은 분묘들이 입지한 구릉의 위치와 연대로 보아 F구역 주민
들보다는 谷部를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는 B구역 주거군의
주민들과 관련 있는 묘역으로 추정된다.
본 보고서는 관창리 유적 A·F구역에 대한 자료의 제시에
불과하며 유적의 전반적인 성격과 유구·유물에 대한 보다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앞으로 관창리 유적 각 구역의 발굴보고서 간행이 완료되
면 관창리 전체 취락의 규모와 구조 복원·단계설정과 편
년 등 유적의 전반적인 성격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되며,
본 보고서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서는 다시
검토, 보완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제시된 자료들이 앞으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177개(7/9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57 | 상주 용담리유적 | 운영자 | 796 | 1999.11.30 |
56 | 상주 청리유적(XI) | 운영자 | 879 | 1999.11.30 |
55 | 울산시상수도사업 편입부지내 시굴조사(1차) | 운영자 | 734 | 1999.11.30 |
54 | 서해안고속도로 건설예정지역 지표조사보고서 | 운영자 | 795 | 1999.11.30 |
53 | 포천 성동리 마을유적 | 운영자 | 778 | 1999.11.30 |
52 | 상주 낙상동사지 ,추정 안빈원지 | 운영자 | 791 | 1999.11.30 |
51 | 김포 장기지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 운영자 | 777 | 1999.11.30 |
50 | 대구 팔거산성 지표조사보고서 | 운영자 | 948 | 1999.11.30 |
49 | 용산성 동문지 정밀지표조사 | 운영자 | 816 | 1999.11.30 |
48 | 김해 화목동 유적 보고서 발간 | 안승모 | 988 | 1999.11.30 |
47 | 佳橋理陶器窯址 | 운영자 | 1153 | 1999.11.30 |
46 | 천안 백석동 택지개발지구 시굴조사보고서 | 운영자 | 1133 | 1999.11.30 |
45 | 斗井洞유적 | 운영자 | 1126 | 1999.11.30 |
44 | 寬倉里유적(본문) | 운영자 | 1149 | 1999.11.30 |
43 | 石谷里유적 | 운영자 | 1134 | 1999.11.30 |
42 | 南村里유적 | 운영자 | 1034 | 1999.11.30 |
>> | 寬倉里유적 | 운영자 | 1016 | 1999.11.30 |
40 | 龍院里고분군 | 운영자 | 1109 | 1999.11.30 |
39 | 영광 모악산 불갑사 지표조사 보고서 | 운영자 | 1321 | 1999.11.30 |
38 | 경주 남산 장창곡 新羅瓦窯址 | 운영자 | 1210 | 1999.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