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학위논문

漢城期 百濟土器의 뚜껑 硏究

2003-11-06 00:00:00
조회 2305
目 次 제 1 장 序 論 제 2 장 漢城期 百濟土器 뚜껑의 型式分類 2.1 分析對象資料 2.2 土器 뚜껑의 屬性 2.2.1 土器 뚜껑의 屬性과 屬性 分析方法 2.2.2 計測可能屬性 2.2.3 觀察屬性 2.3. 土器 뚜껑의 型式分類 2.3.1 型式分類의 基準 2.3.2 型式分類 제 3 장 漢江流域 出土 漢城期 百濟土器 뚜껑의 編年 3.1 相對編年 3.1.1 順序配列法에 의한 相對編年 3.1.2 層位分析에 의한 相對編年 3.2 絶對編年 제 4 장 漢城期 百濟土器 뚜껑의 地方 擴散 4.1 土器 뚜껑 出土 遺蹟 4.1.1 京畿北部地方 4.1.2 京畿南部地方 4.1.3 忠淸地方 4.1.4 全北地方 4.2 土器 뚜껑의 地方 擴散 樣相 4.2.1 Ⅰ期 4.2.2 Ⅱ期 4.2.3 Ⅲ期 4.2.4 Ⅳ期 제 5 장 結 論 參考文獻 [國文抄錄] 이글은 漢江流域에서 출토된 漢城期 百濟 土器 뚜껑을 대상으로 屬性 分析과 型式을 분류한 후 이를 順序配列法과 層序적인 補整을 통해 相 對年代를 설정하여 7段階 4期로 구분하였으며, 土器 뚜껑의 結合土器 를 확인하고 제연구자의 연구결과의 검증을 통해 絶對年代를 설정하였 다. 그리고 이러한 型式과 編年을 漢城期 百濟 土器 뚜껑이 출토되는 地方의 遺蹟에 대입하여 漢城期 百濟의 領域擴張過程을 Ⅰ~Ⅳ期로 구 분하였다. 漢城期 百濟 土器 뚜껑은 漢江流域에서 네 번의 劃期를 거쳐 변화 발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 時期는 기원전 100년에서 3세기 중반 경 으로 無文土器의 뚜껑이 硬質無文土器로 제작되면서 나타나는 외형적 인 형태변화와 손잡이로서의 꼭지의 개념이 형성되는 시기로 先百濟土 器段階로 볼 수 있다. 忠淸地方 등지에서 보이듯이 각 지역별 原三國時 代 또는 凡馬韓적인 文化樣相이 共存하는 시기로 百濟가 漢江流域에 서 影響力을 행사하는 時期로 보기 보다는 原三國時代 文化의 共存期 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時期는 3세기 중반에서 3세기 후반 경으로 喇叭形, 扁平形 身 部의 土器 뚜껑이 出現하는 時期이며 이전부터 지속되어온 삿갓形 身 部의 土器 뚜껑이 消滅되어 3세기 중반 경에 喇叭形 身部의 土器 뚜껑 으로 대체되며, 垂直下向形 드림부를 지닌 扁平形 身部의 土器 뚜껑이 出現하여 使用되는 時期이다. 이 時期의 특징으로는 樂浪의 製陶技術 이 한강유역에 流入되는 시기로 漢江流域에서 漢城期 百濟土器의 發生 期로 볼 수 있다. 漢江流域과 坡州地域에서 이러한 文化的 樣相이 나타 난다. 세 번째 時期는 扁平形 身部의 土器 뚜껑이 持續的으로 사용되며 身部 에 변화가 나타나 볼록形과 斜扁形 身部의 土器 뚜껑이 出現하는 時期 로 4세기대로 비정되며 漢城期 百濟 土器 뚜껑의 發展期로 볼 수 있다. 이 시기는 漢江流域의 古墳에 土器 뚜껑이 副葬되는 段階로, 地域的으 로 보면 華城地域과 洪城地域을 據點으로 天安, 淸州地域으로 百濟가 領域을 擴張하는 時期로 볼 수 있다. 네 번째 時期는 弧形 身部의 土器 뚜껑이 사용되는 時期로 土器 뚜껑 은 形式的으로 發展하여 多樣해지며, 漢城期 百濟 土器 뚜껑의 地方으 로의 擴散이 눈에 띠게 활발해지는 時期로 5세기 대에 해당하며 漢城 期 百濟 土器 뚜껑의 完成期로 볼 수 있다. 이 時期의 漢城期 百濟 中央 의 土器 뚜껑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弧形 身部의 土器 뚜껑의 身 部上面에 波狀文이 시문되거나, 드림부 턱에 突帶가 附加되는 것과 꼭 지에 粧飾性을 浮刻시킨 세련된 모습의 土器 뚜껑이 出土된다. 土器 뚜 껑에서 이러한 粧飾을 갖춘 것은 地方에서 出土되는 것과 差別이 나타 나는 것으로 漢城期 百濟 中央에 한정된 것이다. 土器 뚜껑이라는 한 가지 器種을 가지고 행한 이 硏究는 漢城期 百濟 土器 全器種의 分析을 위한 基礎段階로 볼 수 있으며, 全般的인 文化 樣相을 밝히는 데 분명히 限界가 있다. 이러한 問題點은 다른 百濟 土 器 器種의 穿鑿을 통해 극복될 것이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0개(1/3페이지)
 
학위논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60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류 석기의 형태 연구 - 비대칭도 분석을 중심으... 김동완 5083 2009.05.07
59 끼나 유적(La Quina)에서의 중기 구석기 후기와 말기의 석기생산체계... 박성진 3562 2008.05.14
58 장기간에 걸친 석기 기술조직의 변화: 한국 임진-한탄강 유역의 사례 연구... Yongwook Yoo(유용욱) 4330 2007.05.10
57 遼東地域 美松里型土器 硏究-太子河`渾河`遼河流域을 中心으로- 테스트 3363 2006.08.29
56 前`中期 無文土器 文化의 變遷過程에 대한 考察-牙山灣`錦江流域의 資料를 ... 테스트 2552 2006.08.29
55 Craniofacial aysmmetries and dysmorphosi... 조근혜 1998 2005.09.13
54 고려시대 분묘 연구 조정래 4740 2004.08.18
53 러시아 아무르강유역의 신석기문화 이원준 2963 2004.02.20
52 토기를 통해서 본 백제 고대국가 형성과정 연구 한지선 2855 2004.02.03
51 백제 토기의 편년연구 -삼족기, 고배, 뚜껑을 중심으로- 츠치다 준코 3389 2004.01.10
>> 漢城期 百濟土器의 뚜껑 硏究 김두권 2306 2003.11.06
49 백제 수혈식석곽묘의 형식학적 연구 이성준 2805 2003.10.01
48 남한지역 고대 製鐵爐에 대한 一硏究 김권일 2165 2003.09.14
47 비파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 연구 오강원 4867 2003.02.15
46 신석기시대 낚시바늘연구 김충배 3642 2003.02.11
45 한강유역 고구려토기의 제작기법에 대하여 양시은 2966 2003.02.10
44 경주지역 수혈식석곽묘에 관한 일고찰 조수현 2618 2003.02.10
43 중서부지역 송국리문화 연구 우정연 2763 2002.08.27
42 영산강유역 금속유물의 변천 연구 이범기 2255 2002.08.15
41 韓半島 無文굽다리土器 硏究-형식분류를 통한 편년 및 성격추론 강병학 2446 2002.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