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토기를 통해서 본 백제 고대국가 형성과정 연구
2004-02-03 00:00:00
조회 2854
<목차>
Ⅰ. 序 論
Ⅱ. 百濟의 古代國家 形成에 관한 諸 論點
1. 馬韓에서 百濟로의 이행기 문제
2. 百濟의 對外交涉權 장악과 발전의 문제
3. 古墳의 등장과 都城의 축조 문제
Ⅲ. 百濟土器의 成立過程
1. 한강유역 原三國土器의 變遷過程
2. 百濟土器의 出現
1) 계승적 의미에서의 百濟土器
2) 신기종 출현으로서의 百濟土器
Ⅳ. 土器의 變遷過程을 통해 본 百濟의 國家的 成長
1. 土器變化 樣相에 따른 段階設定
2. 百濟土器 變遷過程의 歷史的 意味
Ⅴ. 結 論
參考文獻
圖面
國文抄錄
Abstract
<국문초록>
百濟가 고대국가로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 대한 연구는 그간 다양한 각
도에서 진행되어 왔지만 본고에서는 특히 고대사학계나 고고학계에서
연구된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론에 있어서는
백제토기의 성립과정을 통한 제 양상의 파악을 통해 백제의 고대국가
형성과정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는데, 土器文化는 대개 각 시기별·지역
별로 나름의 독특한 양식을 가지고 변화·발전하며, 사용하는 집단의 정
치·사회·문화적 변화과정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용이한
접근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百濟土器成立期를 검토함에 앞서 먼저 백제의 기층문화를 형성하고 있
던 原三國土器文化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이는 백제가 馬韓 聯盟
體의 一國인 伯濟國에서 百濟로의 계승적 발전 과정에 대한 검토와 아
울러 백제토기 성립기에 나타나는 원삼국토기문화와의 단절적인 제 토
기 양상을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원삼국토기문화는 모두 Ⅰ期에서 Ⅲ期에 걸쳐 변화양상이 파악되었
다. Ⅰ期는 타날문토기가 공반되지 않는 순수 경질무문토기만 출토되
는 시기로 영서·영동을 비롯한 중부지방과 중서부 지방이 동일한 토기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Ⅱ期는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가 공반되는 시기인데 특히 Ⅱ-2期의 경우 경질무문토기의
타날문토기에 대한 모방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期부터 중부지방과 중서부지방의 문화권이 분리되어 각각
독자적인 발전과정을 겪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시기는 심발형토
기와 장란형토기의 출현기로 경질무문토기가 점차 그 기능을 타날문토
기로 대체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원삼국토기문화를 대표하
는 경질무문토기의 消滅期인 Ⅳ期에 해당하는 백제토기 성립과 밀접
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Ⅳ期에 해당하는 백제토기 성립기의 제 양상은 기존의 토기 편년안에
서 고배·삼족기를 비롯한 백제토기 전 기종의 출현을 백제토기성립기
의 양상으로 파악했던 것과는 달리 고배·삼족기 등의 제 기종이 출현하
기 이전 한 단계가 더 설정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풍납토
성 가-2호주거지를 비롯하여, 경당지구 101호 유구 등에서 확인되고 있
는 이러한 양상은 원삼국시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전통적인 토기기
종을 계승하면서도 특히 새로운 제작 기술상의 방법이 채용되어 전 단
계와는 확연히 구별되는 토기 양상을 보이는 한 측면과 뚜껑과 광구단
경호·직구호 등의 신기종의 일부가 출현하는 측면, 이 양자가 백제토
기 성립기를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고배·삼족기·기대
·광구장경호 등 백제토기 전 기종은 Ⅴ期와 Ⅵ期에 걸쳐 출현하고 있음
이 관찰되었다.
백제토기 성립기에 있어서의 주요한 특징은 外來的 要素의 도입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외래적 요소의 많은 부분이 樂浪地域로부터 유입
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그동안 피상적으로 연구
되어 오던 낙랑토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진 최근의 연구경향과 아울
러 유물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지면서 가능할 수 있었다. 즉,
樂浪土器의 특징적인 정면기법 중 정지깎기, 마연 및 회전 물손질 등
은 백제토기성립기 당시 완류와 심발형토기, 뚜껑, 광구단경호, 직구
호 및 평저호류 등 많은 기종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관찰되
었다. 또한 새롭게 출현한 기종인 광구단경호는 낙랑토기의 광구단경
호(배부른 단지)를 모방한 것으로 보이며, 직구형의 모티브 역시 낙랑
토기에서 다수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백제가 질적인 성장을 이룩함에 있어 정치적으로도 樂
浪·帶方郡의 영향이 컸음을 엿볼 수 있는 물적 증거가 된다. 樂浪文化
의 영향은 토기 이외에도 다수의 文物에서 확인되고 있는데 이러한 낙
랑문화의 전래방식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 경로로 살펴 볼 수 있다. 즉
첫 번째는 낙랑지역 변경의 漢人들의 流入에 의한 것이며, 또 하나는
樂浪·帶方郡과의 공식적인 交易을 통해서이다. 전자는 당시 마한세력
과 樂浪郡이 대치하던 상황에서 변경의 소요로 인해 다수의 邊境民들
이 남하해 그들이 가진 선진기술을 百濟에 전승시킴으로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들은 百濟가 중국문물을 수용함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담
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후자는 正始年間의 전투 이후 百濟가 중부지방
에서 仲介交易權을 독점하면서 선진문물의 수용에 있어서도 여타 세력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었던 조건을 가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뿐만 아니라 백제가 西晋과의 遣使를 주도하게 되면서 다량의 中國製
物品을 直輸入하게 되는데 이러한 直輸入된 물품이 風納土城과 夢村土
城 등에 다량 확인되는 것으로 볼 때 百濟支配集團에 의한 의도적인 수
입으로 보이며 이러한 中國製 物品으로 지배층의 지배이데올로기를 강
화시키고자 하는 측면과 주변의 제 세력들에 대한 賜與를 통한 지배력
을 관철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中國製 物
品은 이후 백제인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모방되었으며 백제토기양식으
로서 출현하게 된다.
따라서 백제의 국가 형성은 正始年間의 戰鬪 이후 백제가 西晋에 보내
는 사신파견을 주도하게 되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그 시기가
대체로 백제토기가 성립하는 시기와 一致하는 3세기 중·후반의 상황이
며, 특히 거대한 風納土城의 축조가 함께 이루어지면서 백제의 古代國
家로서의 위용을 한껏 드러냈던 시기이다.
핵심어 : 伯濟國, 百濟, 古代國家, 百濟土器, 馬韓, 原三國土器文化, 百
濟樣式土器文化, 硬質無文土器, 打捺文土器, 百濟土器成立期, 外來的
要素, 樂浪郡, 帶方郡, 樂浪土器, 西晋, 中國製 物品, 風納土城, 夢村土
城
60개(1/3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60 |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류 석기의 형태 연구 - 비대칭도 분석을 중심으... | 김동완 | 5083 | 2009.05.07 |
59 | 끼나 유적(La Quina)에서의 중기 구석기 후기와 말기의 석기생산체계... | 박성진 | 3562 | 2008.05.14 |
58 | 장기간에 걸친 석기 기술조직의 변화: 한국 임진-한탄강 유역의 사례 연구... | Yongwook Yoo(유용욱) | 4330 | 2007.05.10 |
57 | 遼東地域 美松里型土器 硏究-太子河`渾河`遼河流域을 中心으로- | 테스트 | 3363 | 2006.08.29 |
56 | 前`中期 無文土器 文化의 變遷過程에 대한 考察-牙山灣`錦江流域의 資料를 ... | 테스트 | 2552 | 2006.08.29 |
55 | Craniofacial aysmmetries and dysmorphosi... | 조근혜 | 1998 | 2005.09.13 |
54 | 고려시대 분묘 연구 | 조정래 | 4740 | 2004.08.18 |
53 | 러시아 아무르강유역의 신석기문화 | 이원준 | 2963 | 2004.02.20 |
>> | 토기를 통해서 본 백제 고대국가 형성과정 연구 | 한지선 | 2855 | 2004.02.03 |
51 | 백제 토기의 편년연구 -삼족기, 고배, 뚜껑을 중심으로- | 츠치다 준코 | 3389 | 2004.01.10 |
50 | 漢城期 百濟土器의 뚜껑 硏究 | 김두권 | 2305 | 2003.11.06 |
49 | 백제 수혈식석곽묘의 형식학적 연구 | 이성준 | 2805 | 2003.10.01 |
48 | 남한지역 고대 製鐵爐에 대한 一硏究 | 김권일 | 2164 | 2003.09.14 |
47 | 비파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 연구 | 오강원 | 4866 | 2003.02.15 |
46 | 신석기시대 낚시바늘연구 | 김충배 | 3642 | 2003.02.11 |
45 | 한강유역 고구려토기의 제작기법에 대하여 | 양시은 | 2966 | 2003.02.10 |
44 | 경주지역 수혈식석곽묘에 관한 일고찰 | 조수현 | 2618 | 2003.02.10 |
43 | 중서부지역 송국리문화 연구 | 우정연 | 2763 | 2002.08.27 |
42 | 영산강유역 금속유물의 변천 연구 | 이범기 | 2254 | 2002.08.15 |
41 | 韓半島 無文굽다리土器 硏究-형식분류를 통한 편년 및 성격추론 | 강병학 | 2446 | 2002.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