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소식
울주 반구대 암각화 진입도로 부지 내 유적 시, 발굴조사
2003-04-01 13:48:00
조회 2179
울주 반구대 암각화 진입도로 부지 내 유적 시,발굴조사
Ⅰ. 調査 槪要
1. 유 적 위 치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일원
2. 조 사 기 간 : 2002년 12월 23일 ∼ 2003년 4월 20일
3. 조 사 면 적 : 시굴-3,180㎡, 발굴-6,800㎡
4. 조 사 기 관 : (재)울산문화재연구원
5. 조사의뢰기관: 울산광역시
Ⅱ. 調査 經緯
울산광역시는 울주군 두동면 川前里에 위치하는 盤龜臺(국보 285호)
관광자원화사업의 일환으로 진입로에 대한 확포장 및 주차장부지 건설
을 계획하였다. 이에 따라 공사구간의 지표조사를 (재)울산문화재연구
원과 (재)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에 의뢰하였다. 지표조사결과
(재)울산문화재연구원,울산발전연구원문화재센터, 2001,『울산 반구
대 암각화유적 진입로 주변 문화재지표조사 보고서』
조사대상지 내에서 삼국시대 및 조선시대의 가마터가 확인되었다. 이
에 울산광역시에서는 진입로의 시작부분인 진현마을 구간은 시굴을,
압골가마터 Ⅰ, Ⅱ, Ⅲ지구에 대해서는 발굴조사를 의뢰하였다.
Ⅲ. 遺蹟의 立地 및 現況
유적은 35번 국도를 따라 언양에서 경주방면으로 가다보면 우측편(동
쪽)에 위치하는 진현마을의 입구로부터 반구교 사이에 위치한다. 시굴
구간에 해당하는 진현마을 유물산포지는 서에서 동으로 뻗어 내린 해
발 125m의 완만한 구릉에 위치하는데, 서쪽의 일부는 경부고속도로와
국도35호선에 의해 단절되었다. 반구대진입로는 구릉의 북쪽사면으로
계획되어 있는데 현재 고추밭과 배추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진현마을에서 반구대 방면으로 나있는 폭 4m내외의 소로를 따라 고
개를 넘으면, 대곡천의 지류와 만나는 지점인 반구교까지 협곡이 형성
되어 있다. 현재 곡부는 논으로 경작되거나 휴경으로 인하여 습지가 형
성되어 습지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압골가마유적 3곳은 모두 곡부의 북사면에서 확인되었는데 현재 이용
되고 있는 도로 개설시 파괴되어 단애면에 노출된 상태이다.
대곡천 일대의 지질은 新羅統 堆積巖類로서 下部層은 암록․암회색
의 砂巖, 실트스톤, 셰일이 퇴적되어 있고, 上部層은 사질실트스톤, 실
트스톤, 셰일이 우세하다. 이 층은 흑운모화강암, 화강섬록암, 석영계
안산암에 관입되어 있다. 국립지질연구소, 1972,『한국지질도』, 언양
도폭 참조
Ⅳ. 調査 內容
조사는 시굴조사와 발굴조사로 나누어서 실시하였다. 시굴조사 부분
인 진현마을 구간에서는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2동이 확인되었다. 발굴
조사구간은 진입로의 서쪽으로부터 압골Ⅰ , 압골Ⅱ , 압골Ⅲ가마터로
설정하였다. Ⅰ가마터에서는 삼국시대 토기가마가 확인되었고, Ⅱ가마
터에서는 조선시대의 자기가마가, Ⅲ가마터에서는 숯가마가 조사되었
다.
1. 시굴조사
① 1호 주거지 : 청동기시대의 장방형주거지로 북동쪽모서리에서 울
산지역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 일반적으로 확인되는 돌출구가 확인되
었다. 유물은 무문토기편과 갈봉이 수습되었다. 길이 480㎝, 폭 380㎝
② 2호 주거지 : 장방형으로 추정되는 주거지로 바닥면에 다량의 숯
이 깔려 있다. 남쪽부분은 도로의 하부로 연장된다. 유물은 합인석부 1
점, 지석 1점이 출토되었다. 폭 335㎝
2. 발굴조사
① 압골가마터Ⅰ: 삼국시대의 토기가마로 도로에 의해 연소부와 요
체일부가 유실되었다. 풍화암반을 굴착하고 설치된 반지하식 가마로
추정되며, 요의 천정과 벽체는 대부분 함몰되었다. 요상면에서 타날문
단경호편이 수습되었다. 잔존길이 375㎝, 최대폭 114㎝, 깊이 80㎝
② 압골가마터Ⅱ : 조선시대의 자기가마이다. 가마는 구릉의 위쪽에
위치하는 묘 진입로 설치 때 대부분 유실되었으며, 현재 화구부와 회구
부 일부만 잔존한다. 화구부는 지름 140㎝정도로 거의 원형이며 깊이
는 55㎝이다. 회구부는 자연곡부를 이용하였는데 분청대접, 팔각접시
등의 소성불량품과 도지미, 점토받침, 초벌구이불량품 등이 출토되었
다. 폭 420㎝, 깊이 30㎝이다.
③ 압골가마터Ⅲ : 장방형의 숯가마로 도로에 의해 남쪽편 1/2정도
가 유실되었다. 장축은 등고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었다. 축조방법
은 구릉의 사면을 굴착하여 반지하식으로 만들고 천정은 점토를 사용
하여 덮었다. 화구부에는 폐쇄석으로 사용된 할석이 무너져 있고, 연도
는 벽면을 凹상으로 굴착하고 할석을 사용하여 축조하였다. 화구부 전
면의 작업장에는 숯층이 10㎝정도 형성되어 있다. 길이 690㎝, 잔존폭
250㎝, 깊이 72㎝이다.
Ⅴ. 調査 成果 및 意義
1. 진현마을 구간 시굴조사
2동의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확인되어 발굴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2. 압골 Ⅰ,Ⅱ,Ⅲ가마터 발굴조사
삼국시대의 토기가마와 조선시대의 자기가마, 근대의 숯가마가 확
인되어 선사시대 이래 근대까지 천전리 일대의 고고학적 연구자료를
확보하게 되었다.




619개(17/31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 | 울주 반구대 암각화 진입도로 부지 내 유적 시, 발굴조사 | 운영자 | 2180 | 2003.04.01 |
298 | 울주 반구대 암각화 진입도로 부지 내 유적 현장설명회(4/2) | 운영자 | 1037 | 2003.04.01 |
297 | 완도 보길도 윤선도유적 발굴조사 | 운영자 | 2188 | 2003.03.24 |
296 | 나주 금성관 동.서익헌지 복원 발굴조사 | 운영자 | 2236 | 2003.03.24 |
295 | 현장설명회 자료 | 유병일 | 2173 | 2003.02.19 |
294 | 울주 신화리유적 | 운영자 | 2433 | 2003.02.07 |
293 | 울주 신화리 경부고속철도 언양보수기지내 유적 현장설명회(2/7) | 운영자 | 1201 | 2003.02.07 |
292 | 大田 加午宅地開發事業地區內 加午洞遺蹟 指導委員會資料 | 운영자 | 2367 | 2003.02.05 |
291 | 대전 가오동유적 현장설명회(2/5) | 운영자 | 1169 | 2003.02.05 |
290 | 정읍 신정동 유적 |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 | 2680 | 2003.01.15 |
289 | 울주 남천초등학교 신축부지 발굴조사 | 운영자 | 2363 | 2003.01.14 |
288 | 나주읍성 동문지(성벽,옹성지) 발굴조사 | 운영자 | 1939 | 2003.01.10 |
287 | 나주읍성 동문지 현장설명회(1/10) | 운영자 | 969 | 2003.01.10 |
286 | 하남 이성산성 발굴조사 | 운영자 | 2565 | 2002.12.30 |
285 | 충주 숭선사지 | 운영자 | 2181 | 2002.12.30 |
284 | 충주 숭선사지 시·발굴조사 현장설명회(12/30) | 운영자 | 1011 | 2002.12.30 |
283 | 제천 신월동 유적 | 운영자 | 2231 | 2002.12.26 |
282 | 제천 신월동 신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현장설명회(12/30) | 운영자 | 1025 | 2002.12.26 |
281 | 하남 교산동 유적 발굴조사 (제4차) | 운영자 | 2402 | 2002.12.24 |
280 | 하남 교산동 유적 현장설명회(12/26) | 운영자 | 992 | 200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