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현장소식

경주 덕천리 기마인물형 토기 출토

2002-03-14 08:53:00
조회 3668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덕천리 392-1 일대에 대한 매장문화재 발굴조 사 과정에서 「기마인물형토기」 등 중요 유구와 유물이 확인, 수습되 었다. 문화재청(청장 노태섭)의 허가를 받아 2002년 2월 4일부터 이 지역 일 대에 대한 매장문화재 발굴조사를 실시 중인 중앙문화재연구원(원장 윤세영)은 신라인의 영혼관과 당시의 복식, 무기 및 말갖춤 상태 등을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유물로 판단되는 「기마인물형토기」를 비롯 한 적석목곽묘(5기), 이형토기, 등잔형토기, 금동관식, 은제삼엽환두대 도 등 중요 유구와 유물을 확인·수습하고, 그 성과를 3월 12일 공개하였 다. ◆ 1호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 主副槨式 積石木槨墓로 20∼50㎝ 크기의 천석과 할석을 사용, 축조 함. 호석의 직경은 11m에 이르며, 호석 남서쪽에 제사의식으로 부장한 토기들이 확인되었음. 주곽의 규모는 길이 320㎝, 너비 115㎝, 깊이 40 ㎝임. 목질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목곽의 규모는 길이 290㎝, 너비 85㎝ 이며, 목관의 규모는 길이 195㎝, 너비 45㎝임. 바닥에는 잔자갈을 깔았 으며, 목곽부보다 목관부가 1단 정도 높음. 침향은 環頭大刀와 金銅冠 飾의 위치로 보아 동쪽으로 추정됨. 주곽의 북서쪽에 치우쳐 위치하고 있는 부곽의 규모는 길이 155㎝, 너비 95㎝임. 주곽에서는 동단벽쪽에 치우쳐 대부장경호와 유개고배 등의 토기류 와 철도자 등의 철기류를 부장하였고, 목관 내부에서는 금동관식과 환 두대도가 출토됨. 부곽에서는 기마인물형토기·등잔형토기 등의 토기류 와 등자·재갈 등의 철기류가 출토됨. ▲ 기마인물형토기(騎馬人物形土器) 부곽에서 말을 고정시키기 위한 직사각형의 판, 인물상의 머리와 팔, 말 위의 등잔, 말 앞가슴에 물을 따르는 주구(注口) 등이 결실된 상태 로 출토되었다. 현재 높이는 20㎝이고, 길이는 27㎝이다. 말은 전체적 으로 보아 다리가 비교적 길고 날씬하게 표현된 반면에 몸통이 길게 표 현되었다. 말의 입에는 재갈을 물었고, 몸통에는 다래와 안장·줄로 장 식된 마갑(馬甲)이 표현되었다. 말에 올라 탄 무사는 우측에 화살통을, 좌측에 칼을 차고 있으며, 다리 위에 갑옷을 늘어뜨렸다. 경주지역에서 기마인물형토기가 출토된 예는 지금까지 금령총 출토 의 도제기마인물상 1쌍(국보91호)이 있으며, 이외에 국립경주박물관 소장의 기마인물형토기(국보275호)가 있으나 출토지는 미상이다. 따라 서 이번 기마인물형토기는 출토지가 확인된 두 번째 예가 되며 광복 이 후로는 처음이다. 이 기마인물형토기는 신라인의 영혼관과 당시의 복 식, 무기 및 말갖춤 상태 등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유물로 판단된다. ▲ 이형토기(異形土器·饌盒形土器) 부곽에서 출토되었다. 고배 배신의 바깥쪽 상부에는 4개의 영락을 부 착하였고, 배신 안쪽 중앙부에는 칸막이를 하여 두 부분으로 나누었으 며, 칸막이 아래에는 양쪽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다. 대각 은 2단으로 구획하였다. 높이는 11.5㎝이다. ▲ 등잔형토기(燈盞形土器) 부곽에서 출토된 것으로 경주 금령총에서 출토된 예가 있다. 고배 구 연 주연부에 조그만 잔 6개를 얹은 형태로 잔의 바닥에는 구멍이 뚫려 속이 빈 테로 된 고배 구연 주연부에 연결되었다. 고배 구연 주연부에 는 영락이 부착되었고, 배신에는 투창을 뚫었으며, 대각은 2단으로 구 획하였다. 높이는 20㎝이다. ▲ 금동관식(金銅冠飾) 주곽에서 부식이 심한 상태로 출토되었는데,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의 해 현장에서 직접 수습하여 보존처리 중이므로 유물의 정확한 형태는 보존처리가 완료되면 알 수 있을 것이다. ◆ 4호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 ▲ 은제삼엽환두대도(銀製三葉環頭大刀) 현재 조사중인 4호 적석목곽묘 주곽에서 출토된 것으로 길이는 79㎝ 이다. 環頭部는 上圓下方形이며, 단면은 육각형이다. 도신의 한쪽 측면 에는 동일한 형태의 小刀가 부착되어 있다. 은제삼엽환두대도는 경산 임당고분군 CⅠ-1호 주곽에서 출토된 예가 있다. 현재 발굴조사가 진행중인 경주 덕천리 392-1번지 유적에 대한 지금까 지의 조사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주 내남면 덕천리에서 조사된 적석목곽묘는 경주지역의 건천 금척리고분군과 안강 안계리고분군 등과 같이 경주 외곽의 적석목곽묘 의 분포권을 확인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2) 1호 적석목곽묘 부곽에서 출토된 기마인물형토기는 경주 금령총 의 기마인물형토기(국보 제91호)와 함께 신라인의 영혼관과 당시의 복 식, 무기 및 말갖춤 상태 등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유물로 판단된다. (3) 1호 적석목곽묘 주곽에서 출토된 금동관식과 4호 적석목곽묘에 서 출토된 은제삼엽환두대도 등은 경주 외곽에서 적석목곽묘를 축조 한 집단의 신분을 나타내주는 위세품으로 평가된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9개(21/31페이지)
 
현장소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219 울산 남구 연암동 '개운포성지' 현장설명회 안내 (5/18) 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1157 2002.05.16
218 태백 본적사지 시굴조사 운영자 2511 2002.05.13
217 군산 산월리유적 운영자 2103 2002.04.29
216 울산권 광역상수도(대곡댐)사업 편입부지내 2차 발굴 운영자 1996 2002.04.26
215 울산 국도 24호선(상북-언양간) 도로 확·포장공사구간내 운영자 1936 2002.04.26
214 대구-부산간 고속도로 건설구간내 살내유적 운영자 2189 2002.04.16
213 산청군 신안리 명동유적 (단성-산청간 도로 확·포장공사구간내) 운영자 2689 2002.04.01
212 진성-이반성간 도로 확·포장 공사 구간 내 무촌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542 2002.03.29
211 경부고속철도 대구연결선구간-칠곡 심천(창평)리 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130 2002.03.29
210 해운대 좌동 군사업지구내 유적 운영자 2778 2002.03.29
209 晉州 武村遺蹟 현장 설명회 안내(3/17) 운영자 1361 2002.03.15
>> 경주 덕천리 기마인물형 토기 출토 운영자 3669 2002.03.14
207 부산 해운대 군복지시설부지 발굴조사 현장설명회(3/16) 운영자 1298 2002.03.12
206 강진 삼흥리 유적 운영자 2557 2002.03.05
205 *국립제주박물관 학술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국립제주박물관 2760 2002.02.05
204 기장 청강리 유적 II 운영자 2457 2002.01.31
203 울산 화정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513 2002.01.31
202 순천 국도우회도로 건설공사구간내 문화유적발굴조사 현장설명회(1/28) 전남문화재연구원 1191 2002.01.26
201 춘천거두지구 문화재 발굴조사 운영자 3225 2001.12.26
200 창녕 우강리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운영자 2470 200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