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현장소식

경부고속철도 대구연결선구간-칠곡 심천(창평)리 유적 발굴조사

2002-03-29 16:44:00
조회 2130
Ⅰ. 調査槪要 가. 조 사 명: 경부고속철도 대구연결선구간 문화유적 발굴조사 나. 유적위치: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 산100-2번지 일원 (본발굴지역)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심천리 517-10번지 일원 (추가발굴지역) 다. 조사기간: 2000. 12. 29∼2002. 4. 30 라. 조사면적: 28,366㎡(본발굴지역)+9,307㎡(추가발굴지역) 〓 37,673㎡ 마. 조사기관: (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바. 의뢰기관: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Ⅲ. 調査內容 발굴조사는 본발굴지역인 구릉지역을 정상부를 기준으로 남쪽을 Ⅰ지 구, 북쪽을 Ⅱ지구로 구분하고, 추가발굴지역은 Ⅲ지구로 나누어 조사 를 진행하였다. 현재까지의 발굴조사 결과 Ⅰ·Ⅱ지구는 삼국시대 분묘가 대부분을 차 지하고, Ⅲ지구는 통일신라시대의 건물지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지금까지 확인된 유구는 삼국시대 목곽묘 158기, 석곽묘 386기, 횡 구식석실묘 5기, 조선시대 민묘 15기, 기타 22기 등 총 586기 이고, 현 재 조사가 완료된 유구는 528기에 달한다. 출토유물은 토도류 1,572점, 철기류 391점, 장신구류 637점 등 총 2,600여점에 이른다. 그리고 유구 내부와 조사지 주변에서 간헐적으로 무문토기편과 석검편이 수습되었 는데, 아마도 목곽묘 축조 이전에 조성된 더 이른 시기의 유구가 존재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보다 이른 시기의 유구들 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확인된 유구들은 입지면에 있어 뚜렷하게 구분된다. 우선 목곽묘는 구 릉 전체에 골고루 분포하는데, 지금까지 조사된 목곽묘 중 가장 규모 가 큰 동혈묘광주부곽식목곽묘(542×120×43㎝)는 구릉의 정상부에서 약간 동사면에 치우쳐 위치한다. 따라서 비교적 규모가 큰 목곽묘들은 조사지역에서 제외된 동사면쪽에 집중적으로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크 다. 한편 석곽묘는 구릉의 정선부를 제외한 사면쪽에만 축조된 양상을 나타낸다. 네 벽을 판석을 세워서 만든 판석조석곽묘는 남사면에 주로 분포하고, 천석을 평적하여 만든 석곽묘는 서사면쪽에 축조되어 있다. 특히 길이 4m 이상 되고, 호석과 주구를 갖춘 대형 판석조석곽묘는 구 릉의 남사면 중상위에 동서상으로 열을 지어 배치되어 있고, 천석으로 쌓은 석곽묘 보다 시기적으로 앞선 경향이 나타난다. 또 이러한 석곽묘 는 대부분 발치쪽에 격벽을 세워 부장칸을 따로 마련한 특징이 있다. 한편 횡구식석실묘 5기는 모두 남사면 말단부쪽에서만 확인되었는데, 역시 동사면 말단부쪽으로 분포가 연결되는 양상을 띠고 있다. Ⅳ. 調査成果 및 意義 1. 조사결과 본 유적은 묘제와 출토유물로 보아 4세기대부터 7세기에 걸쳐 조영된 삼국시대 지역집단의 공동묘역임이 판명되었다. 2. 지금까지 확인된 유구는 삼국시대 목곽묘 158기, 석곽묘 386기, 횡구 식석실묘 5기, 조선시대 민묘 15기, 기타 22기 등 총 586기이다. 출토유 물은 토도류 1,575점, 철기류 391점, 장신구류 637점 등 총 2,600여점 에 달한다. 3. 여러 시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조영된 다양한 묘제와 여기서 출토된 각존 유물의 분석을 통해 이 지역의 당시 사회상과 문화상을 밝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4. 특히 4세기대에 집중적으로 축조된 목곽묘는 아직까지 대구·경북지 역에서는 그 조사 예가 흔치 않아 이 시기의 묘제와 토기변천과정 등 을 규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속으로 생각된다. 5. 조사지 곳곳에서 무문토기편이 다수 확인되지만 이와 관련된 유구 의 흔적이 남아있지 않는 것으로 보아 후대의 목곽묘와 석곽묘가 들어 서면서 대부분 파괴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같은 무문토기의 존 재는 주변의 입석이나 지석묘를 축조했던 주민집단의 거주지였음을 입 증하고 있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9개(21/31페이지)
 
현장소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219 울산 남구 연암동 '개운포성지' 현장설명회 안내 (5/18) 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1157 2002.05.16
218 태백 본적사지 시굴조사 운영자 2512 2002.05.13
217 군산 산월리유적 운영자 2103 2002.04.29
216 울산권 광역상수도(대곡댐)사업 편입부지내 2차 발굴 운영자 1996 2002.04.26
215 울산 국도 24호선(상북-언양간) 도로 확·포장공사구간내 운영자 1936 2002.04.26
214 대구-부산간 고속도로 건설구간내 살내유적 운영자 2189 2002.04.16
213 산청군 신안리 명동유적 (단성-산청간 도로 확·포장공사구간내) 운영자 2689 2002.04.01
212 진성-이반성간 도로 확·포장 공사 구간 내 무촌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542 2002.03.29
>> 경부고속철도 대구연결선구간-칠곡 심천(창평)리 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131 2002.03.29
210 해운대 좌동 군사업지구내 유적 운영자 2778 2002.03.29
209 晉州 武村遺蹟 현장 설명회 안내(3/17) 운영자 1361 2002.03.15
208 경주 덕천리 기마인물형 토기 출토 운영자 3669 2002.03.14
207 부산 해운대 군복지시설부지 발굴조사 현장설명회(3/16) 운영자 1298 2002.03.12
206 강진 삼흥리 유적 운영자 2557 2002.03.05
205 *국립제주박물관 학술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국립제주박물관 2760 2002.02.05
204 기장 청강리 유적 II 운영자 2457 2002.01.31
203 울산 화정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513 2002.01.31
202 순천 국도우회도로 건설공사구간내 문화유적발굴조사 현장설명회(1/28) 전남문화재연구원 1194 2002.01.26
201 춘천거두지구 문화재 발굴조사 운영자 3225 2001.12.26
200 창녕 우강리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운영자 2470 200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