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현장소식

양주 관아지(楊洲 官衙址) 제2차 발굴조사

2001-06-08 12:07:00
조회 2295
양주 관아지(楊洲 官衙址) 제2차 발굴조사 Ⅰ. 조사개요 양주 관아지는 경기도 기념물 제167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는 유적으 로, 1511년(중종 6)에 고주내에서 이곳으로 옮겨 재 설치하면서 이곳 에 자리하게 되었다. 그 후 양주군의 치소를 1922년 군청을 의정부 시 내로 옮길 때까지 약 400간 현재의 위치에 자리하여 양주군 치소의 중 심이 되었던 유적이다. 양주군은 1995년부터 원골문화마을 종합계획하에 1996년 금화정 복 원 및 항교의 진입로 개설, 1997년 동헌 복원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문 화마을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1998에 관아의 주요 부속건물이었던 길 청을 복원코자 계획하였다. 이 길청복원과 관련하여 사업에 앞서 길청 의 위치와 그 고고학적 자료가 먼저 확보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 었고, 이에 양주군은 복원에 앞서 동헌 주변에 대한 시굴조사와 길청복 원 대상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의뢰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2000년 1월 20일~ 4월 15일까지 조사대상지역에 대한 시 굴 및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런데 조사결과 건물지 2동, 담장지 2 기, 적심 2기, 배수로, 기타 석렬 등의 유구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길청 으로 추정할 수 있는 건물지를 확인되었고, 다시 길청지의 확인을 위하 여 동헌부지에 대한 추가 시굴조사를 2000년 8월 7일~ 9월 9일까지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건물지 및 담장지 기타 유구등이 확인되어 복원 사업에 앞서 해당지역에 대한 전면 발굴조사가 실시되어야 한다는 결 정이 내려져 2001년 3월 5일 본 2차 발굴조사를 착수하였다. Ⅱ. 조사과정 및 현황 유적은 북쪽으로 해발 468m의 불곡산이 위치하고 서쪽에 성산, 남쪽 에 호오산, 천옥산이 있어서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에 위치한 다. 관아지의 남쪽으로는 서원천의 지류가 흘러 조선시대 관아의 전형 적인 背山臨水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조사지역의 동편으로는 불 곡산의 계곡물이 흐르고 있으며, 이 지역의 지형이 낮은 점으로 미루 어 당시에는 계곡의 폭이 넓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지역의 면적은 동헌부지 복원시 조성된 대지 약 1200여평과 동 헌 뒤쪽 시굴지역 부분까지 포함하여 약 1500여평이다. 유적은 잔디가 50~60㎝정도 식재되어 있었으며, 복원된 동헌 주변과 중심도로 가장 자리에는 경계석이 설치되어 있었다. 서쪽편과 남쪽편에는 보호철책 이 설치되어 있고, 서편철책앞으로는 최근 옮겨진 역대 양주목사 송덕 비군이 위치한다. 동쪽편으로는 약 2m 높이의 축대가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전체적인 지형은 서→동으로 갈수록 경사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복원된 동헌의 북편으로 불곡산 남사면의 끝자락에는 어사대 비 및 비각이 위치하며, 출입문 바깥의 도로변에도 비각지가 시굴조사 시 확인되어 금번 조사대상지역에 포함시켰다. 조사방법은 조사지역을 전면 제토하여 시굴조사시의 제토면까지 노 출시키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층위별로 문화층의 존재파악에 중점 을 두고 진행하였다. 전체적인 토층은 중앙에 남북방향으로 둑을 남겨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사과정에서 유적의 동편과 남동쪽에서 후대 의 건조물로 인하여 교란이 심하게 이루어진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는 데, 그 까닭은 일제시대까지 유양리 주재소의 건립에 있었다. 이런 후 대건물지의 축조로 관아건물지의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큰 애로가 있었다. 그런 까닭에 조사는 건물배치의 전체적인 양상보다는 정청의 증개축의 과정과 담장 및 보도석렬과 정청과의 관계 파악에 주 력하였다. Ⅲ. 조사내용 1. 遺構 본 유적이 위치하고 있는 곳은 평지로서 복원된 동헌 앞으로 잔디가 식재되어 있다. 그러나 동편으로 현재에도 축대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적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경사지어 내려오는 모습을 확인할 수가 있 다. 이것은 본 유적의 Ⅱ층에서 축대 2기가 확인되는 상황에서도 알 수 있다. 조사지역의 전체적인 문화층은 3층으로 나누어지며, 건물은 2~3차례 의 증축을 거친 것으로 판단된다. Ⅰ문화층은 지표하 약 50~60㎝인 잔디식재층 바로 밑에서 확인되며 흑갈색사질점토층으로 단단하게 다져져 있다. 이곳은 후대의 건물지 를 포함한 층이며 일부 교란된 흔적을 나타내고 있다. Ⅱ문화층은 표토하 1~1.5m 내외에서 확인되며 유적의 전체에 걸쳐 분포한다. 적갈색사질점토층으로 소토와 굵은 모래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유구가 제일 많이 밀집되어 있는 층이다. Ⅲ문화층은 본 조사지역의 시굴조사에서 확인되는 문화층이다. Ⅰ층 에서 표토하 2m에서 노출된 유구이다. 그러나 Ⅱ층의 조사시에도 유 구 밑으로 석렬이 확인되고 있어, 바로 윗문화층인 Ⅱ층의 연관성 여부 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Ⅰ문화층 Ⅰ층에서는 동헌부지(1건물지), 후대에 축조된 건물지 1동(2건물지), 동헌관련 담장석렬 2기(1・2담장), 보도석렬, 외곽축대 등이 확인되었 다. ① 1건물지 1건물지는 관아지내의 동헌으로 확인되었으며 복원된 동헌 보도 약 7m 남쪽에 위치하며 기 복원된 동헌과 일부 맞물려 있다. 건물의 서쪽 과 남쪽 기단은 유실되었으며, 동쪽과 남쪽만이 일부 남아 있다. 장대 석 기단은 남쪽 편으로 일부만 확인되고 있는데 나머지 부분은 유실 된 것으로 보인다. 서편 기단도 2 건물지와 중복으로 인하여 유실되었 다. 전체적인 형태로 보았을 때 몇 차례에 걸쳐 증축이 이루어진 것으 로 판단된다. 건물의 북서편으로는 고막이 돌로 조성된 기단과 적심 2 기가 중복되어 있다. 동편으로는 상면에서 온돌유구가 일부 확인되고 있어, 후대에 다른 용도의 건물로 재사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건물지 의 전체적인 폭은 약 27m이며 칸수는 적심의 배치가 정확하지 않고 일 부 증축으로 인하여 훼손된 부분도 있지만, 폭과 적심의 나열양상으로 미루어보건대 정면 9칸, 측면 3칸 정도로 추정된다. 이는 문헌의 기록 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여지도서』, 국사편찬위원회(문교 부). ② 2건물지 2 건물지는 복원된 동헌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비석군 과 물려 있어 기단석렬은 확인할 수 없었다. 동측 기단석렬은 약 9m 정 도 잔존하며, 적심은 확인되지 않았다. 서쪽으로 온돌구조가 일부 확인 되었다. ③ 담장지 1 담장은 동헌의 동쪽과 서쪽에서 남북방향으로 확인되었다. 동쪽으로 는 후대에 축조된 2 담장과 중복되어 있다. 장축은 NE15˚이며 40~ 80㎝의 할석을 세로로 쌓아 축조하였다. 약 21m 정도 잔존한다. 2 담장은 1 담장과 중복되어 있으며 1 담장의 북쪽에 일부구간만 남아 있다. 장축은 NE80˚이며 20~60㎝의 할석을 가로로 쌓아 축조하였다. 약 9m 잔존한다. ④ 보도석렬 보도석렬은 남서편에 치우쳐서 위치한다. ㄱ자형으로 남북구간과 동 서구간 일부만 확인되며 비석군과 물려 있다. 판석보도이며 남북방향 은 중심방향이 동헌지의 중앙부로 향한다. ⑤외곽축대 외곽축대는 남동편 구석에 현재 위치한 축대와 바로 인접하여 확인되 었다. 최고 4단 정도 남아 있으며 남에서 북으로 약 14m 잔존한다. 2) Ⅱ문화층 Ⅱ층에서는 건물지 5동, 축대 2곳, 담장지 1기, 배수로 1기, 방형유구 1 기, 보도석렬, 북편외곽담장, 우물지 등이 확인되었다. Ⅱ문화층에서 가장많은 유구가 확인되었으며, 유구간의 중복관계도 매우 복잡한 양 상을 나타낸다. ①건물지 건물지는 대략 5동이 확인되는데 남동편으로 4동(3・4・6・7건물지) 중앙둑 서편으로 1~2동(5 건물지)이 위치한다. 3건물지는 ㄱ자형(동 북향)으로 기단이 일부 잔존한다. 4 건물지는 배수로와 중복되어 적심 만 5기 확인되고 있는데 주칸 길이는 정면 320㎝, 측면 4m로 확인된 다. 5건물지는 적심만 11기 확인되며 적심간의 일정한 규칙성은 보이지 않 는다. 6 건물지는 3건물지 남쪽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의 훼손이 심한 것 으로 나타났다. 기단 석렬은 남북방향으로 확인되며, 기단 석렬 바깥면 으로 잔돌을 깔아 보축한 흔적이 보인다. 적심은 4기가 확인되며 주칸 거리는 약 4m이다. 7건물지는 9개의 적심이 확인되었다. 주칸 길이는 정면 3m, 측면 2.5m 이다. ② 담장지 담장지는 동헌지 남동편(3 담장)과 북편(4 담장)에 위치하고 있다. 3 담장은 장축 NW10˚이며, 잔존길이는 약 10m, 폭은 70㎝이다. 4 담장 은 동헌의 외곽담장으로 보이며 동서방향으로 일부 구간만 조성되어 있다. 우물지와 중복되어 있다. ③축대(1, 2축대) 축대는 모두 남북방향으로 동헌지와 중복되어 조성되어 있어, 동헌지 이전에 축조된 것을 알 수 있다. 2축대는 1축대에서 동편으로 5m 정 도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최고 5~6단 정도 쌓았으며 하단에 기반석 을 세로로 일렬로 받쳐 놓았다. 축대의 기울기가 모두 동일하여 시기 를 달리하여 축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④기타유구 배수로는 유적의 중앙에서 남쪽과 서쪽으로 조성되었다. 한쪽면은 2축 대의 상면을 그대로 이용하고 맞은편에 돌을 한단 쌓아 조성하였다. 남쪽으로는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2축대 끝나는 면에서 서편으로도 일 부 구간 조성되어 있다. 외곽담장과 중복되어 우물지 1기가 확인되었 다. 폭은 150㎝이며 깊이는 30cm이다. 3) Ⅲ 문화층 Ⅲ문화층에서는 시굴조사시 1 담장 동편, 약 1.4m 아래에서 확인되었 다. 담장석렬은 동서방향이며 동헌지의 담장보다는 남쪽으로 조성되 어 있다. 기 조사된 동편의 남북방향 담장석렬과 축이 맞는 것으로 추 정된다. 2. 유물 이 유적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대부분 기와류와 자기류이며 문화층별 로 시기적인 특징을 나타낸다. 기와는 평기와를 비롯해 막새기와가 일 부 출토되었으며 문양은 어골문, 창해파문, 복합문, 거치문 등이 주로 시문 되었다. 자기류는 청자, 분청사기, 백자 등이 출토되었으며, 금속 유물은 동전류와 철기류가 출토되었다. 1) 기와류 기와류는 막새류 몇 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평기와이다. 막새는 현재 까지 확인된 것은 귀목문암막새를 포함한 4~5점에 불과하다. Ⅰ문화층의 평와는 청해파문, 복합문, 원문, 거치문등이 시문되었으 며, Ⅱ문화층에서는 귀목문암막새와 어골문, 복합문, 격자문 등으로 어 골문이 주로 시문된 평기와가 출토되어 동헌지와 축대의 출토품이 시 기적으로 다른 특징을 나타내주고 있다. 특히, Ⅱ문화층에서 출토된 귀 목문 암막새는 고려시대기와의 특징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2)자기・토기류 자기류는 청자, 분청사기, 백자 등이 출토되어 이 유적의 사용시기를 반영하고 있다. Ⅰ문화층에서는 백자가 주로 출토되며 기종은 호, 대 접, 접시 등이 확인된다. 청자, 분청사기는 소량으로 출토되는데 축대 가 위치한 Ⅱ문화층에서 주로 확인된다. 토기류도 축대에서 다량으로 발견되었는데, 대부분 작은 파편으로 출토되었다. 기형은 호, 대접, 병 이 주로 확인된다. 3) 금속류 및 기타유물 청동제 유물은 상평통보, 수저, 머리장식이 출토되었고 철기류는 대부 분 철정과 꺽쇠류로 판단된다. 이외에 기와와 토기를 원형으로 가공 한 토제품이 다수 출토되었다. Ⅴ. 조사성과 ▣ 금번 조사에서는 기 복원된 동헌과 연접해서 원래의 동헌지가 확인 되었다. 복원된 동헌과 일부 맞물려있고, 후대의 건물지에 의해 일부분 이 훼손되었으나 측면 3칸, 정면 7칸 이상의 규모로 파악된다. 이에 대 해서는 추후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 조사지역내의 문화층은 크게 3층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동헌지는 이 중 1문화층에서 확인되었다. 2문화층과 3문화층에서 확인된 유구는 축 조 양상과 출토유물로 미루어 볼 때 동헌지보다 먼저 축조된 것으로 판 단된다. 다만 6건물지에서 1문화층과 유사한 기와의 양상이 확인되고 있어 동헌지와의 관련성 여부를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현재 조 사가 진행중이므로, 차후 유구와 유물의 면밀한 분석을 거친다면 밝혀 질 수 있으리라 본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9개(26/31페이지)
 
현장소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119 대구 상동 우방팔레스 건설공사부지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687 2001.07.06
118 무안공항 건설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3093 2001.07.06
117 2001년도 부소산성 발굴조사 현장설명회의자료 운영자 2658 2001.07.06
116 경주 황성동 537-1번지 발굴조사 운영자 2270 2001.07.04
115 부여 부소산성 현장설명회 (7/3) 운영자 869 2001.07.04
114 포항시 남구 원동 토지구획정리 제3지구내 문화유적 운영자 2118 2001.06.26
113 포항 흥해읍청사 주변도로확장공사구간내 문화유적 운영자 2202 2001.06.26
112 대구 상동 우방아파트건설부지 현장설명회( 6/23) 운영자 972 2001.06.25
111 무안 국제공항 건설지역내 문화유적 현장설명회(6/20) 운영자 830 2001.06.25
110 용인 죽전 유적 현장 설명회 (6/14) 운영자 866 2001.06.15
109 용인 죽전 유적 운영자 2471 2001.06.14
108 사적 259호 강화 선원사지 운영자 2185 2001.06.13
107 선원사지(禪源寺址, 사적 제259호) 현장설명회(6/12) 운영자 783 2001.06.13
106 울산 柏川유적 운영자 1844 2001.06.12
105 대전 석봉정수장 건설사업 지역의 구석기유적(용호동) 3차 발굴조사 운영자 2160 2001.06.11
104 석봉정수장 건설구간내 구석기유적 현장설명회(6/11) 운영자 840 2001.06.11
103 기흥읍 구갈리 백제시대 대규모 유적 발굴 운영자 2509 2001.06.11
102 기흥 구갈리(器興 舊葛里) 유적 현장설명회 (6/9) 운영자 822 2001.06.10
101 구룡―부여간 도로확장 및 포장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운영자 2388 2001.06.08
>> 양주 관아지(楊洲 官衙址) 제2차 발굴조사 운영자 2296 2001.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