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소식
용인 죽전 유적
2001-06-14 18:23:00
조회 2471
경기문화재단 부설 기전문화재연구원(원장 장경호)은 죽전5리 대덕
골 유적과 죽전1리 도기요지 Ⅰ유적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2001
년 6월 14일 현재까지의 조사결과를 공개하였다.
조사결과 죽전 5리 대덕골 유적(사진 1)에서는 청동기시대 전~후기
의 주거지 3기, 소형유구 39기, 소성유구 1기, 백제시대 토광묘 20기,
통일기 석곽묘 1기, 조선초에서 근대에 이르는 분묘 28기, 근대 가마 1
기 등 총 93기의 유구를, 대덕골 유적 동쪽 구릉에서는 5기의 민묘, 도
기요지 Ⅰ유적에서는 2기의 가마와 이에 부속된 폐기장을 조사하였다.
본 발굴조사는 한국토지공사 용인사업단에서 대규모 택지개발 사업
을 추진하면서 확인된 유적에 대한 사전조사의 성격으로 2000년 12월
19일부터 현장조사에 착수하여 2001년 6월 현재 조사가 진행 중에 있
다.
먼저 대덕골 유적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 주거지(사진 2)는 해발 91m
가량의 정상부 평탄면에서 조사되었는데 주거지의 입지, 규모, 구조,
출토유물(사진 3-4) 등으로 보아 한강유역의 청동기시대 문화상을 반
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2호 소형유구(사진 6)는 2회에 걸쳐 폐기행위가 이루어졌으며,
출토유물 중 원형점토대토기(사진 7), 각종 고배형토기, 흑색마연토
기, 소형토기(사진 9) 등이 출토되어 당시의 의례행위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아울러 이 유적에서 발견된 소성유구(사진 5)는 지금
까지 그 조사예가 없던 것으로 2,5호 소형유구에서 출토되고 있는 환
원소성의 원형점토대토기(사진 8)와 관련된 유구로 판단된다. 현재 내
부 조사 중으로 조사과정에서 천장과 벽체가 함몰된 것이 확인되었고,
소성실과 연통이 구비된 구조이다. 내부에서 원형점토대토기편과 흑도
편 등이 출토되어 한강 이남지역의 후기 청동기문화상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서 관련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조사된 20여기의 백제시대 토광묘(사진 10)는 경기남부지역에서
는 그 예가 매우 드문 것이며, 직구호, 광구호, 심발형토기, 대부소호,
고배(사진 11) 등의 토기류, 철도자, 철부, 철겸, 주조괭이 등의 철기류
(사진 12)가 출토되어 인근의 수지유적과 관련성이 주목된다.
분묘는 동사면 하단부와 남사면에서 집중적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16,18호 민묘에서는 조선통보와 청동제 수저, 분청사기와 백자 등이
출토되어 조선 초에서 근대에 이르는 용인지역의 장례풍습과 부장품
의 매납방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도기요지 Ⅰ유적(사진 13)은 구릉 북사면과 서사면에 각각 1기씩 위
치하며 암반을 파고 조성된 지하식 평요(사진 14)로서, 가마의 전체 형
태는 전형적인 고구마형으로서, 아궁이에서 연소실로 향하면서 폭이
좁아지며, 연소실 끝에서 병목을 형성한 후 타원형의 소성실을 이루는
데 보존상태가 양호한 1호 가마의 총 길이는 적색 소결층(최대 두께
45cm)까지 770cm, 최대 폭은 약 88cm이다. 연도부와 천정부의 일부만
이 잔존하고 있다. 구조상 화성 매곡리, 안성 화곡리 가마유적에서 확
인된 바 있는데 이 시기의 경기도지역에서 도기생산 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며, 아울러 인접한 죽전 1리 안골 유물산포지
주변유적과 용인 성복리유적, 보정 3리 사기막골 도자기요지 등과 함
께 통일신라~고려시대에 이 지역이 도자기 공급처로서의 역할을 담당
했을 가능성을 높였으며 고려도기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게 되
었다.
자료제공처 : 기전문화재연구원
문 의 : 기전문화재연구원 조사2팀장 김무중(031-258-5105(교
412), 017-242-2177)




619개(26/31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119 | 대구 상동 우방팔레스 건설공사부지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 운영자 | 2687 | 2001.07.06 |
118 | 무안공항 건설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 | 운영자 | 3093 | 2001.07.06 |
117 | 2001년도 부소산성 발굴조사 현장설명회의자료 | 운영자 | 2659 | 2001.07.06 |
116 | 경주 황성동 537-1번지 발굴조사 | 운영자 | 2270 | 2001.07.04 |
115 | 부여 부소산성 현장설명회 (7/3) | 운영자 | 869 | 2001.07.04 |
114 | 포항시 남구 원동 토지구획정리 제3지구내 문화유적 | 운영자 | 2118 | 2001.06.26 |
113 | 포항 흥해읍청사 주변도로확장공사구간내 문화유적 | 운영자 | 2203 | 2001.06.26 |
112 | 대구 상동 우방아파트건설부지 현장설명회( 6/23) | 운영자 | 972 | 2001.06.25 |
111 | 무안 국제공항 건설지역내 문화유적 현장설명회(6/20) | 운영자 | 831 | 2001.06.25 |
110 | 용인 죽전 유적 현장 설명회 (6/14) | 운영자 | 867 | 2001.06.15 |
>> | 용인 죽전 유적 | 운영자 | 2472 | 2001.06.14 |
108 | 사적 259호 강화 선원사지 | 운영자 | 2186 | 2001.06.13 |
107 | 선원사지(禪源寺址, 사적 제259호) 현장설명회(6/12) | 운영자 | 783 | 2001.06.13 |
106 | 울산 柏川유적 | 운영자 | 1844 | 2001.06.12 |
105 | 대전 석봉정수장 건설사업 지역의 구석기유적(용호동) 3차 발굴조사 | 운영자 | 2160 | 2001.06.11 |
104 | 석봉정수장 건설구간내 구석기유적 현장설명회(6/11) | 운영자 | 840 | 2001.06.11 |
103 | 기흥읍 구갈리 백제시대 대규모 유적 발굴 | 운영자 | 2509 | 2001.06.11 |
102 | 기흥 구갈리(器興 舊葛里) 유적 현장설명회 (6/9) | 운영자 | 823 | 2001.06.10 |
101 | 구룡―부여간 도로확장 및 포장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 운영자 | 2388 | 2001.06.08 |
100 | 양주 관아지(楊洲 官衙址) 제2차 발굴조사 | 운영자 | 2296 | 200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