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현장소식

진천 교성리유적

2001-05-03 00:00:00
조회 2245
<진천 교성리 유적> ·조사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조사기간 : 2000년 3월말 ∼ 발굴중 ·조사지역 : 충북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 ·조사성과개요 1.발굴경위 충북대학교 박물관은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시행하는 오창-진천간 도 로확장 및 포장공사 구간에 대해 1999년 4월부터 지표조사를 실시하여 도로가 관통해가는 진천군 교성리의 구릉 사면에서 유적을 확인하였 다. 구릉에는 파괴된 석곽을 축조할 때 사용된 할석들이 곳곳에 보이 고, 석곽의 일부도 노출되어 있으며, 토기편들이 일부 확인되었다. 이 러한 지표조사 결과를 통해 볼 때 유구의 잔존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 문에 시굴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발굴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는 문화재관리국의 허가 를 받아 올해 3월말부터 현재까지 발굴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2. 조사단 구성 교성리 발굴을 위한 조사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조 사 단 장 : 양기석(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장) 지 도 위 원 : 손보기(단국대학교 박물관장) 윤무병(전 충남대학교 교수) 한병삼(문화재위원) 정영호(한국 교원대학교 명예교수) 책임 조사원 : 권학수(충북대학교 교수) 조 사 원 : 차용걸(충북대학교 교수) 신호철(충북대학교 교수) 조사보조원 : 이경원(숭실대학교 대학원) 김현정(숭실대학교 대학원) 오경화(충북대학교 대학원) 김환일(충북대학교 대학원) 3. 역사적 배경과 고고학적 환경 충청북도 진천 지역은 중앙부에 하천유역의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는 요지로 일찍이 삼한중 마한의 한 국입이 자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 다. 삼국시대에는 시기에 따라 그 주인이 바뀌는 등 삼국의 치열한 격 전장이었는데 6세기 중반경에 이르러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한편, 신 라 영유기의 진천지역은 신라의 한강진출 교두보인 충주인 국원소경에 서 한강 하류지역인 신주에 이르는 전략적 요충지이며, 김유신과 관련 된 설화로도 잘 알려진 지역이다. 594년 김유신의 부친인 김서현이 지 금의 진천인 만노군 태수로 재임하면서 만명부인과의 사이에서 김유신 을 낳아 진천읍 상계리에는 생가터, 태실, 치마대, 연보정 등 김유신과 관련한 설화와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진천지역에서 알려져 있는 삼국시대의 고고학적 유적으로는 원삼국시 대 분묘유적으로 잘알려진 진천읍 송두리 유적과 원삼국시대와 백제토 기 요지로 밝혀진 덕산면 산수리, 이월면 삼룡리 유적이 있다. 이 외에 진천읍 신정리, 성석리, 덕산면 구산리, 기전리, 용몽리, 문백면 도하 리 등도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걸치는 유적으로 회청색 경질토기, 타날문 토기 등이 많이 발견되었다. 4.조사결과 조사 구역은 도로에 의해 양분된 구릉의 동반부를 Ⅰ지구, 서반부를 Ⅱ 지구로 하여 설정되었다. 그런데 북쪽으로 약 200m가량 떨어진 곳에 있는 파괴된 구릉의 사면에서 석곽의 일부가 노출되어 그곳을 Ⅲ지구 로 명명하였다. 발굴을 통해 확인한 유구는 30기로서 모두 매장유구이 다. 지구별 유구의 개수를 보면, Ⅰ지구에서 23기, Ⅱ지구에서 6기, Ⅲ 지구에서 1기가 확인되었다.이들 대부분은 삼국시대의 것으로 25기가 이에 해당한다. 나머지 5기는 모두 토광묘로서 고려시대의 것이 1기, 조선시대의 것이 4기이다. 삼국시대의 유구는 모두 토광을 파고 할석을 쌓아 올린 석곽묘 혹은 석 실묘이다. 대부분 파손을 입어 상부가 손상되었지만 다행히 도굴의 피 해는 심각하지 않은 편이다. 이들 분묘는 수혈식, 횡구식, 횡혈식의 세 종류로 구분된다. 가장 수효가 많은 것은 횡구식으로 9기이며, 수혈식 은 1기, 횡혈식은 2기이다. 나머지는 대부분 횡구식 혹은 수혈식인데 파괴가 심하여 불확실하다. 유구의 방향은 대부분 남북 방향을 이루고 있다. 이는 등고선의 방향을 고려하여 이와 직교되도록 축조하였던 것 으로 생각된다. 이 중 횡구부가 확인된 경우를 보면 얕은 쪽으로 입구 를 만들었다. 바닥은 할석이나 자갈 또는 할석과 자갈을 혼용하여 깔았다. 바닥 크기 가 138cm이하인 소형을 제외하고 성인용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장벽 의 평균 길이는 2.4m, 단벽의 평균 길이는 0.9m 정도이다. 수혈식은 13호에서 확인되는데, 이곳의 다른 석곽들이 할석으로 축조 된 것과는 달리 판석을 세워서 축조하였고, 크기도 작은 편이다. 인접 한 14호도 판석이라는 석재를 세워서 만들어져 있다는 공통점을 보여 수혈식으로 추정되지만 잔존 상태가 불량하여 확인하기 어렵다. 석곽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이 횡구식이다. 횡구부는 모두 경사져 내려가는 얕은 쪽에 마련되었다. 횡구부의 폐쇄는 다른 벽과 마 찬가지로 할석을 사용했지만, 장벽과 맞물린 것이 아니라 장벽사이에 끼워졌다. 그리고 다른 벽들은 석곽 안쪽이 매끈한 면을 유지하고 두께 도 얇은데 반해서 횡구부의 할석은 안쪽이 불규칙적이고 두께도 두터 운 상태를 이룬다.횡혈식은 Ⅱ지구에서 2기가 확인되었다. 이중 3호는 파손이 심하여 본래의 형태를 파악하기 어렵다. 한편 2호는 비록 대부 분의 벽체가 파괴되었지만 벽체의 하단과 동벽에 붙인 시상대가 잘 남 아있다. 연도는 파괴되어 없지만 벽체의 잔존상태로 볼 때 석실바닥보 다 약간 높여 남벽의 서쪽에 붙여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물은 고배, 고배뚜껑, 평저완, 유대장경호를 중심으로 하여 단경호, 병 등 100여점이 출토되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는 것 은 고배로서 대부분의 유구에서 1-10점이 출토되었다. 고배의 절대다 수는 유개고배이며, 대각은 매우 낮고, 투창이 작은 전형적인 신라 단 각고배이다. 이들 토기는 회청색 경질이고, 표면의 문양은 단순한 편이 다. 철기도 출초되었지만 도자를 제외하면 모두 관못이다. 유물의 종류 와 세부특징은 유구의 종류와 관계없이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들 유적은 수혈식, 횡구식, 횡혈식의 유구가 공존하고 유물의 특징도 단각고배를 위주로 한 신라토기인 점에서 이 곳을 장악한 신라계 지배 집단의 무덤이며, 연대는 6세기 후반경으로 추정된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8개(31/31페이지)
 
현장소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18 의령 경산리고분군 운영자 2101 2001.05.03
17 서울시 풍납동 경당지구 유적 운영자 2443 2001.05.03
>> 진천 교성리유적 운영자 2246 2001.05.03
15 扶餘 東羅城·西羅城遺蹟 운영자 3119 2001.05.03
14 이성산성(二聖山城) 운영자 2743 2001.05.03
13 논산 정지리 백제 취락지 운영자 2516 2001.05.03
12 옥천 대천리 유적 운영자 3004 2001.05.03
11 김해 흥동 택지개발지구내 유적 운영자 2370 2001.05.03
10 고성 송학동고분군 운영자 2169 2001.05.03
9 밀양시 부북면 월산리(月山里)유적 운영자 2328 2001.05.03
8 오이도 뒷살막패총 운영자 3099 2001.05.03
7 제천 능강리유적 운영자 2432 2001.05.03
6 고성 송학동고분군(제1B-1호분) 운영자 3162 2001.05.03
5 三郞寺3길유적 운영자 3349 2001.05.03
4 대전 용호동 구석기유적 운영자 3120 2001.05.03
3 부여 염창리 백제고분군 운영자 2620 2001.05.03
2 보령 연지리유적 운영자 2369 2001.05.03
1 철원 장흥리유적 운영자 2785 2001.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