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한산 건지산성
2001-08-23 00:00:00
조회 1199
VII. 결 어
건지산성은 그 동안 백제부흥군의 거점성 중 하나로 알려져 왔다. 때문
에 백제사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고대사를 검토하는데 있어 일제시대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들로 하여금 회자되어 온 것도 사실이
다.
금번 발굴조사는 시종 이러한 중요성에 입각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대
상지역은 추정 동문지와 수구지, 그리고 일부 구간에 한정된 성벽 절개
작업이었다. 조사결과 수구지는 이미 멸실되어 그 흔적조차 확인할 수
없었고, 동문지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 지역에서는 많은 교란과 훼손이
이루어진 조선중기 무렵의 건물지 1동이 노출되었다. 아울러 동벽과 서
벽에 각각 하나씩의 시굴갱을 조성하여 성체부의 조성기법과 산성의
초축시기를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동벽이 주로 성토기법을 이요한 토
석혼축성인 반면, 서벽은 돌이 없는 순수 토축성으로 확인되었다. 아울
러 동벽에서 출토된 청자편과 기와 그리고, 서벽에서 출토된 기와편을
다른 유적의 유물들과 비교해 본 결과 고려후기의 것들로 판명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성벽의 초축시점과 관련된 것으로서 이 성이 백제성
이 아닌 고려후기의 것임을 증명하게 되었다.
동벽상에 조성된 건물지는 고려후기에 초축된 건지산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다. 이는 양자의 조성에 따른 시기차에 기인한 것이다 . 그
렇다고 하여 이 건물지가 이전의 건물지를 정지하고, 다시 조성되었을
가능성 또한 전면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주변에서 수습되는 청
자, 기와편을 통해서도 유추할 수 있다. 건물지는 이곳에서 출토된 상
평통보 당이전과 중형전으로 보아 조선후기까지 이용되었던 것으로 추
정된다.
마지막으로 건지산성의 성격에 대해 검토해 보기로 하겠다. 이를 살피
기 앞서 건지산성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한산읍성에 대해 주목해 보
고자 한다.
한산읍성은 조선 현종대의 동국여지지에 의하면 조선 공희왕(중종)대
에 축조되었다. 즉 郡城 石築 周四千七十尺 內有一渠 本朝恭僖王始
築이라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신증동국여지
승람에 건지산성이 今毁廢라 기술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두 기사를 보
면 중종대에 한산읍성이 축조되고, 아울러 건지산성은 이미 폐기되었
음을 살필수 있다.
그렇다면 두 내용을 어떻게 연결시켜 이해하여야 할까?
읍성이 지방의 주요 거점에 축조되어 군사적, 행정적인 기능 이외에 비
상시에는 하나의 입보처였음을 상기하여 볼 때 한산읍성의 축조는 전
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한산읍성이 건지산성과 지근거리에 위
치해 있고, 건지산성의 규모가 결코 작지 않음을 전제로 하면 당시 한
산군의 治所로서 두 성의 동시 공존은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모두 종합하여 보면 한산읍성은 건지산성이 폐기되면서 그 기
능을 대행할 목적으로 축조되었음을 알게 한다. 또한 건지산성이 한산
읍성 이전의 舊色城으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유추
해 볼 수 있다.
아울러 건지산성의 주변지역으로써 고려말기 왜구의 침입으로 인한 최
무선의 진포전투와 이성계의 홍산전투시 당시의 거점성으로 건지산성
이 사용되었는지, 그리고 전쟁과 관련하여 건지산성이 주변 지역민들
의 입보처로 이용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앞으로 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
겠다.




177개(4/9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117 | 海南 方山里 長鼓峰古墳 試掘調査報告書 | 운영자 | 1054 | 2002.03.14 |
116 | 潭陽 龍湫寺 기와가마터 | 운영자 | 977 | 2002.03.14 |
115 | 진안 오룡리 고분군 | 운영자 | 1183 | 2002.02.09 |
114 | 장수군의 문화유적 | 운영자 | 1407 | 2002.02.09 |
113 | 하남 천왕사지 시굴조사 보고서 | 운영자 | 1290 | 2001.11.29 |
112 | 울산 반구대 암각화유적 진입로 주변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 운영자 | 1318 | 2001.11.24 |
111 | 청원 오송보건의료 과학산업단지(2단계)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 | 운영자 | 1150 | 2001.11.16 |
110 | 경주 감산사 법당지 | 운영자 | 1175 | 2001.10.27 |
109 | 홍성 월산리유적 | 운영자 | 1256 | 2001.10.27 |
108 | 국도38호선 도로공사구간(연당-영월 및 영월-덕포) 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 jkkim3188 | 1212 | 2001.10.11 |
107 | 남양주 마석지구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 | jkkim3188 | 1301 | 2001.10.11 |
106 | 하동고소성지 시굴조사 보고서 | 운영자 | 1230 | 2001.09.28 |
105 | 김해율하택지개발사업지구내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 운영자 | 1080 | 2001.09.27 |
104 | 언양교동리유적 | 운영자 | 1334 | 2001.09.27 |
103 | 성남 천림산봉수 | 운영자 | 1119 | 2001.09.21 |
102 | 보령 국도대체우회도로(화산-옥동간) 축조 및 포장공사 예정구간 문화유적 ... | 운영자 | 1003 | 2001.09.19 |
101 | 경주시 황성동 537-2 임대아파트 신축부지 발굴조사 보고서 | 운영자 | 1438 | 2001.09.03 |
100 | 경주시 마동 769번지 일대 임대아파트 신축부지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 | 운영자 | 1158 | 2001.09.03 |
99 | 영광법성 공유수면 매립지 일대 문화유적지표조사 보고서 | 전남문화재연구원 | 1016 | 2001.09.01 |
>> | 한산 건지산성 | 운영자 | 1200 | 200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