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보고서

천안 백석동 택지개발지구 시굴조사보고서

1999-11-30 00:00:00
조회 1125
V. 결 어 이번에 조사가 이루어진 천안시 백석동 일대의 456.469㎡ (138.081평) 면적은 대한주택공사의 택지개발지구이다. 따 라서, 이 지역에 대한 택지개발 사업이 추진된다면 이 지역 에 존재할지도 모르는 문화유적은 아무런 기록보존 없이 인 멸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인지한 대한주택공사는 본 대학박물관에 문화유적의 존재여부에 대한 지표조사를 의뢰 하였다. 이에 본 대학박물관에서는 1998년에 1차적으로 지 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지표조사 결과 4개 지역에서 유구 의 존재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본 시굴조사는 지표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적의 범위 및 성격을 확인하기 위해 4개 지역 약 4500평의 면적에 한 정하여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지역은 4개 지구로 분류하 여 실시하였다. I지구는 주 稜線에서 서쪽으로 흘러내리는 완만한 구릉지대 의 남향사면으로 약 1500평의 면적이다. 지표조사 당시 기 와편과 토기편이 수습된 지역으로 소나무가 식재되어 있으 며, 표면토는 적갈색 및 황갈색 점토질이다. 조사결과 트렌 치 6,7에 걸쳐서 약 15m의 석렬이 확인되었다. 유적의 범위 를 확인하고자 조사범위를 일부 확장하였는데, 트렌치상에 서 확인된 유구 이상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적은 석열 을 중심으로 양끝에 어골문이 시문된 적갈색의 기와가 쌓여 져 있는 형상을 보이는데, 석열과 기와는 동시기의 건물지 기단으로 추정된다. 수습유물로는 기와편과 토기편이 있 다. 그러나 전면이 경작지로 개간하는 과정에서 절토된 상 태이므로, 더 이상의 확대조사를 필요로 하는 유구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II지구는 봉서산에서 북서쪽으로 분기된 3개의 능선중 가 장 남쪽 능선의 하단부로 완만하게 흘러내린 능선의 남향사 면이다. 이 지역은 정상부의 봉서산성과 인근에 절이 있었 다는 주민들의 전언을 바탕으로 볼때, 이와 관련한 유구의 존재가능성이 높은 지역이었다. 조사결과 전면에서 다량의 자연 퇴적된 석재가 노출되었고 바닥에서는 많은 양의 물 이 스며들었다. 따라서 이 지역은 본래 골짜기였으나 밭으 로 개간되면서 복토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다량의 토기편과 기와편이 수습된 것으로 보아 조사지역의 근처에는 유구의 존재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조 사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더 이상의 확대조사는 이루어지 지 못하였다. III지구는 북서쪽으로 뻗은 가지능선의 남서향사면으로 비 교적 완만하게 흘러내려오는 경사면과 그 아래로 전개된 경 작지를 포함한다. 조사결과 제토과정에서 토기편과 기와편 이 수습되었으나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것은 경사면이 일부 切土된 점과 지표면의 유실이 심한 것으로 보아 유구가 유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골짜기로 추 정되는 곳에서 토기편이 수습되는 것으로 보아, 조사범위 외곽에 해당되는 능선 상단에 유구의 존재 가능성이 있다 고 판단된다. IV지구는 주능선에서 서쪽으로 흘러내린 능선의 남쪽사면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조사지역은 밭으로 경작되고 있으 며, 서쪽 전면에서는 민가가 자리하고 있다. 조사결과 깊 지 않은 곳에서 생토가 바로 확인되었고, 일부에서는 물이 스며들었다. 유물은 거의 수습이 되지 않았으며 유구도 확 인되지 않았다. 이것은 이 지역이 장기간 밭으로 경작되는 동시에 민가가 들어서면서 지형변경이 심하게 이루어진 결 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본 시굴조사는 1998년 지표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유적이 잔 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 한 것이다. 지표조사에서 유물의 수습과 지형의 판단에 근 거하여 약 4500평의 면적에 혹시 유구가 존재할 것이란 의 견이 개진된 바 있기에 이를 대상으로 가능한 조밀하게 피 트를 설치하여 시굴을 진행한 것이다. 그러나 앞서 정리한 것처럼 대상지역에서 구체적으로 성격을 드러내는 유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다만 I지구에서 건물의 축대 혹은 지대 석 아니면 기단으로 추정할 수 있는 석열이 드러났을 뿐이 고, 이외는 지표조사시에 나타난 것처럼 제토과정에서 기와 라던가 토기 혹은 자기편이 수습되는 것이 전부이다. 우선 조사과정에서 I지구의 축석유구는 드러난 범위를 중심 으로 사방으로 피트를 확대하였으나 더 이상 연결되는 유구 가 나타나지 않았다. 물론 석열이 존재한 지역의 남단부가 이미 개간과정에서 상당부분 훼손되어 있어, 관련 유구가 이 범위에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시굴조사의 범위에서 보면 더 이상의 확대되는 유구는 없는 것으로 판 단된다. 따라서 드러난 석열을 중심으로 확대하여 정리하 고, 주변에 산재된 기와편을 수습하는 정도에서 조사를 마 무리하였다. 이 건물지의 범위나 내용에 대해선는 구체적으 로 정리하기가 어렵다. 다만 잔존 석열이 1열 축석이라는 점, 거칠게 축석된 것으로 판단된다. 기와는 대부분 고려 말 혹은 조선시대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 이며, 일부 통일신라로 편년되는 것도 있다. 건물지의 정확 한 성격을 추론할 수는 없으나, 기와를 사용한 점 등에서 나름이 중요성은 있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수습된 유물은 정확한 성격을 드러내는 것은 없다. 앞 서 본 건물지 주변의 기와편 이외는 시대나 종류가 매우 뒤 섞인 형태로 수습된다. 토기편의 경우 사례에 따라서는 삼 국시대의 것으로 편년할 수 있는 것이라던가 혹은 그 보다 이른 시기의 것도 없지 않지만, 대체로 고려시대 혹은 조선 시대의 질그릇으로 판단되는 것이 많다. 더불어 자기도 조 선시대의 분청사기와 백자류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종합적 으로 해당지역이 특정 유구를 중심으로 하여 유적군을 분류 할 수 있는 내용의 간취가 어렵다. 요컨대 천안 백석지구 택지 개발지역에 대한 시굴조사결과 해당지역에 형상을 갖추고 있는 문화유적은 확인되지 않는 다. 다만 해당지역의 가까운 곳에 고려시대 혹은 그 이후 의 시기에 취락이 있었고, 그와 관현된 생활범위가 조사범 위의 일부에 확대되는가하면 다른 한편으로 생활용구 혹은 건축부재가 해당지역에 유입된 것이 아닌가라는 추정만이 가능할 뿐이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77개(7/9페이지)
 
보고서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57 상주 용담리유적 운영자 784 1999.11.30
56 상주 청리유적(XI) 운영자 870 1999.11.30
55 울산시상수도사업 편입부지내 시굴조사(1차) 운영자 724 1999.11.30
54 서해안고속도로 건설예정지역 지표조사보고서 운영자 784 1999.11.30
53 포천 성동리 마을유적 운영자 767 1999.11.30
52 상주 낙상동사지 ,추정 안빈원지 운영자 782 1999.11.30
51 김포 장기지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운영자 769 1999.11.30
50 대구 팔거산성 지표조사보고서 운영자 936 1999.11.30
49 용산성 동문지 정밀지표조사 운영자 807 1999.11.30
48 김해 화목동 유적 보고서 발간 안승모 975 1999.11.30
47 佳橋理陶器窯址 운영자 1144 1999.11.30
>> 천안 백석동 택지개발지구 시굴조사보고서 운영자 1126 1999.11.30
45 斗井洞유적 운영자 1116 1999.11.30
44 寬倉里유적(본문) 운영자 1142 1999.11.30
43 石谷里유적 운영자 1125 1999.11.30
42 南村里유적 운영자 1023 1999.11.30
41 寬倉里유적 운영자 1005 1999.11.30
40 龍院里고분군 운영자 1102 1999.11.30
39 영광 모악산 불갑사 지표조사 보고서 운영자 1310 1999.11.30
38 경주 남산 장창곡 新羅瓦窯址 운영자 1200 1999.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