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고학전국대회
- 第33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갈등과 전쟁의 고고학) 보기
- 第32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樣式의 考古學) 보기
- 第31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국가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보기
- 第30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계층 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보기
- 第29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원삼국시대 문화의 지역성과 변동) 보기
- 第28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통일신라시대 고고학) 보기
- 第27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고구려고고학의 제문제) 보기
- 第26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해양 교류의 고고학) 보기
- 第25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한국 농경문화의 형성) 보기
- 第24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21세기 한국고고학의 방향) 보기
第33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갈등과 전쟁의 고고학)
第33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갈등과 전쟁의 고고학) | |
---|---|
1.日 時 : 2009년 11월 6일∼7일(토) | |
2.場 所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관, 최명희홀/진수당 | |
3.日 程 | |
제1일 | |
개회사 | 이강승(한국고고학회 회장) |
축사 | 서거석(전북대학교 총장) |
오전 사회 : 김승옥(전북대학교) | |
오후 사회 : 이영덕(호남문화재연구원) | |
• 제1부 : 갈등의 고고학적 증거 | |
• 江西靖安東周墓的性質探討 통역 : 조윤재(인제대학교) |
李榮華(中國 江西省 博物館) |
• 한반도 삼국시대의 순장문화 | 이성준(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
• 중국 先秦時代의 전쟁과 학살 | 조윤재(인제대학교) |
• 西日本 彌生時代의 戰爭과 犧牲 | 中村大介(고려대학교) |
• 동래읍성에서 본 임진왜란 - 동래성 전투 - | 최종혁(동아대학교), 안성현(경남문화재연구원) |
• 한국전쟁시기 이념간 갈등의 증거와 그 허실 - 민간인 집단학살 사례를 중심으로 - | 이상길(경남대학교) |
• 제2부 : 전쟁고고학의 모색 | |
• 청동기시대의 전쟁 | 손준호(한국고고환경연구소) |
• 벽화와 유물을 통해 본 고구려의 군사체계 | 최종택(고려대학교) |
• 嶺南地域 武器·武具副葬墓와 被葬者의 性格 | 이주헌(문화재청) |
• 삼국시대 기병과 기병전술 | 류창환(경남발전연구원) |
• 종합토론 | 배진성(국립중앙박물관), 심광주(토지주택박물관) 김길식(용인대학교), 성정용(충북대학교) 조진선(전남대학교), 이동희(순천대학교박물관) |
총회 | |
만찬회 | |
제2일 | |
유적조사발표 | |
오전사회 : 김종일(서울대학교) | |
오후사회 : 송만영(경기도박물관) | |
• 연천 전곡리 중2-5호선 도로 개설 구간 발굴조사 | 유용욱(충남대학교), 김동완(서울대학교박물관) |
• 인천 운서동유적 발굴조사 개보 - 신석기시대 수혈주거지를 중심으로 - | 이상복(중앙문화재연구원) |
• 산청 매촌리 유적 | 이진주·고용수 外(우리문화재연구원) |
• 대구 신서동 청동기시대 유적 | 김재열·염정희(한국문화재보호재단) |
• 울산 명산리 영어마을 조성부지내 유적 | 정현석(울산문화재연구원) |
• 진주 가호동유적 | 박용근·이주영·성원순(동서문물연구원) |
• 울산 북구 호계·매곡도시개발사업지구내 유적 | 이해수(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
• 제주 예래휴양형주거단지 조성사업 부지내 발굴조사(I구역) 개보 | 나정욱(제주문화유산연구원) |
• 대전 용계동 원삼국시대 취락 | 도문선(중앙문화재연구원) |
• 김포 운양동유적 | 김기옥(한강문화재연구원) |
• 용인 고림동 원삼국~백제취락 | 구자린(한신대학교박물관) |
• 高敞 鳳德里 1號墳 | 이문형·옥창민(마한백제문화연구소) |
• 광주 효천 2지구 국민임대주택단지 부지 내 유적 | 정일·이지영(전남문화재연구원) |
• 광주 월전동 원두·월전유적 | 노미선(호남문화재연구원) |
• 강릉 안현동 삼국시대 분묘군 | 박수영·이정혁·박성민(예맥문화재연구원) |
• 대전 상대동-중동골 고려시대 건물지 유적 | 강태정(백제문화재연구원) |
• 가평 하판리 조선백자요지 | 김경중(경기도자박물관) |
자유패널발표 | |
[자유패널 1분과] | |
주제 : 철제무구류의 제작기술 및 복원연구 | |
주최 : 철문화연구회 | |
사회 : 김권일(신라문화유산조사단) | |
• 철제무기 제작기술 연구 토론 : 성정용(충북대학교) |
김은주(세종문화재연구원) |
• 단야유구를 통해 본 무기생산에 대한 연구 - 한반도 남부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 토론 : 김일규(한얼문화유산연구원) |
김상민(九州大學) |
• 금속학적 분석 연구를 통해 본 철기 제작기술 - 철제무기류를 중심으로 - 토론 : 김규호(공주대학교) |
장경숙(금속기술연구소) |
• 철기제작의 복원실험연구 토론 : 이은철(철박물관) |
한정욱(나이프갤러리) |
[자유패널 2분과] | |
주제 : 양산 호계동 삼국시대 토기가마 복원과 소성실험 | |
주최 : 토기가마 복원실험 연구회 | |
사회 : 임학종(국립김해박물관) | |
I. 양산 호계동 토기가마 조사개요 | 이운주(우리문화재연구원) |
II. 가마복원 및 토기소성 실험 | |
1. 복원·소성 실험 개요(준비사항) | 유병록(우리문화재연구원) |
2. 토기가마 복원 및 토기소성실험 과정 | |
1)가마 복원 과정 | 임기현(우리문화재연구원) |
2)토기 성형과 건조 | 김승연·유지영(국립김해박물관) |
3)토기 소성실험 과정 | 윤온식(국립김해박물관) |
4)토기 소성실험 결과 | 조성원(부경대학교박물관) |
3. 실험결과 종합정리 | 홍진근(국립김해박물관) |
III. 가마작업에 대한 민속학적 접근 | 이상현(우리문화재연구원) |
종합토론 | 토론자 : 발표자 및 방청석 참석자 전원 |
第32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樣式의 考古學)
第32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樣式의 考古學) | |
---|---|
1.日 時 : 2008년 11월 7일∼8일(토) | |
2.場 所 : 강원대학교 백령문화관·60주년 기념관 | |
3.日 程 | |
제1일 | |
개회사 | 이강승(한국고고학회 회장) |
축사 | 권영중(강원대학교 총장) |
축사 | 윤세영(前한국고고학회 회장) |
환영사 | 나현수(강원대학교박물관장) |
• 공동주제 발표 | |
사회 : 정연우(예맥문화재연구원), 최종모(강원문화재연구원) | |
• 양식의 고고학(기조발표) | 김장석(경희대학교) |
• 양식과시간 | 천선행(부산대학교박물관) |
지정토론 | 임상택(부산대학교) |
• 토기 양식과 정치제 | 朴昇圭(영남문화재연구원) |
지정토론 | 곽장근(군산대학교) |
• 樣式의 生成: 新羅, 加耶樣式과 小地域樣式의 形成에 대한 檢討 | 李盛周(강릉대학교) |
지정토론 | 김성남(부여군문화재보존센타) |
• 中國考古學における「文化」と「類型」 | 大貫靜夫(東京大學) |
지정토론 | 이청규(영남대학교) |
통역 | 庄田愼矢(東京大學) |
• 종합토론 | |
총회 | |
만찬회 | |
제2일 | |
유적조사발표 | |
오전사회 : 김종일(서울대학교), 오후사회 : 송만영(경기도박물관) | |
• 임실 하가유적의 발굴과 성과 | 이기길(조선대학교) |
• 달성 평촌리유적 | 신영애(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 동해 망상동유적 | 심재연·한관희·한재욱(예맥문화재연구원) |
• 울산 달천유적 | 김광수(울산문화재연구원) |
• 담양 태목리유적 | 신흥남(호남문화재연구원) |
• 烏山 水淸洞 三國時代墳墓群 | 이창엽·오승렬(경기문화재연구원) |
• 풍납토성 경당지구 재발굴조사 성과 | 한지선(한신대학교박물관) |
• 연기 송원리 백제 한성기 고분군 | 조동식(한국고고환경연구소) |
• 경주 쪽샘유적 발굴조사 개요 | 박윤정(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 부여 쌍북리 280-5번지 창고신축부지 文化遺蹟 發掘調査 | 정해준·윤지희(백제문화재연구원) |
• 익산 제석사지 제1차 조사의 성과와 의의 | 전용호(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 原州 安昌里 기와生産遺蹟 | 이길성(한강문화재연구원) |
• 함안 가야리 제방유적 | 권순강·김성미·김지현·이수용(우리문화재연구원) 송영진(함안박물관) |
자유패널발표 | |
[자유패널 1분과] | |
주제 : 부뚜막취사의 실험고고학적 검토 | |
주최 : 食文化探究會 | |
오전사회 : 홍보식(부산박물관), 오후사회 : 박영구)(강릉대학교박물관) | |
I. 취지설명 | 오승환(한강문화재연구원) |
II. 硏究動向 | |
(1) 한국의 조리 실험에 관한 연구 동향과 연구 방법 | 한지선(한신대학교박물관) |
(2) 日本의 부뚜막 硏究 現況 | 庄田愼矢(東京大學) |
III. 부뚜막과 장란형토기 제작 | 정종태(백제문화재연구원) |
IV. 부뚜막취사 실험결과에 대한 분석과 해석 | |
1. 취사용기의 사용흔 분석 | 정수옥(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장홍선(한국선사문화연구원) |
2. 부뚜막의 실험 분석 | 오승환(한강문화재연구원) |
3. 실험자료의 고고학적 해석 | 허진아(경희대학교)·한지선(한신대학교박물관) |
V. 향후 전망과 과제 | |
1. 종합토론 | (사회 : 홍보식(부산박물관), 참가자 : 발표자 전원) |
2. 향후 전망과 과제 | 오승환(한강문화재연구원) |
[자유패널 2분과] | |
주제 : 한반도 주변지역 청동기의 제양상 | |
주최 : 한국청동기학회 - 청동기분과 | |
취지설명 : | 趙鎭先(전남대학교) |
• 러시아 남부 시베리아 타가르문화 동검의 연구 | 강인욱(부경대학교) |
• 요서지역 청동기문화에 대한 몇 가지 문제 | 趙鎭先(전남대학교) |
• 遼東地域과 西團山文化圈의 靑銅器 | 이종수(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 韓國式銅戈로 본 韓·中·日 三國의 交差編年 | 李陽洙(국립경주박물관) |
• 종합토론 | (사회 : 이청규(영남대학교) 참가자 : 발표자외 이재현(울산발전연구원) 中村大介(한국고고환경연구소) 曹建恩(중국 내몽고문물고고연구소) 이성재(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第31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국가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第31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국가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 |
---|---|
1.日 時 : 2007년 11월 2일∼3일(토) | |
2.場 所 : 충남대학교 정심화 국제문화회관 | |
3.日 程 | |
제1일 | |
개회사 | 최병현(한국고고학회 회장) |
축사 | 김지환(충남대학교 총장 직무대리) |
공동주제 발표 | |
주제발표 | |
사회 : 우재병(충남대학교), 전옥연(부산박물관) | |
• 국가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기조발표) | 박순발(충남대학교) |
• 성의 출현과 국가의 형성 | 신희권(국립문화재연구소) |
지정 토론 : 윤용구(인천시립박물관) | |
• 고분 자료로 본 신라의 국가 형성 | 김대환(영남대학교박물관) |
지정 토론 : 이재현(울산발전연구원) | |
• 토기 양식으로 본 고대국가 형성 | 성정용(충북대학교) |
지정 토론 : 윤온식(국립광주박물관) | |
• 위세품으로 본 고대국가의 형성 | 이한상(대전대학교) |
지정 토론 : 김길식(용인대학교) | |
• 종합토론 | |
사회: 박순발(충남대학교) | |
토론자: 발표자및 지정토론자 외 권오영(한신대학교), 김승옥(전북대학교), 이희준(경북대학교) |
|
제2일 | |
유적조사 발표 | |
사회 : 김권구(계명대학교), 김무중(한국고고환경연구소) | |
• 화순 도산 구석기 유적의 제2차 발굴조사 개요 | 이기길(조선대학교) |
• 양양 오산리 C유적 | 고동순(예맥문화재연구원) |
• 용인 농서리 유적 | 방기영(기호문화재연구원) |
• 천안 백석동 고재미골 유적 | 오규진·배상훈(충청문화재연구원) |
• 대구 대천동 511-2번지 유적 | 권헌윤(영남문화재연구원) |
• 홍천 철정리 II 유적 | 김권중·박용근(강원문화재연구소) |
• 아산 명암리 밖지므레 유적 | 이상엽·김현일(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 고창 오호리 신지매 유적 | 안효성(전북문화재연구원) |
• 진주 평거동 유적(II지구) | 공봉석(경남문화재연구원) |
• 서울 은평 진관동 유적 | 조길환(중앙문화재연구원) |
자유패널발표 | |
주제 : 철기시대 연해주와 강원도 지역의 비교 연구 - 끄로우노브까문화와 중도식토기 문화를 중심으로 - |
|
사회 : 지현병(강원문화재연구소), 이성주(강릉대학교) | |
• 연구회를 개최하며 | 홍형우(국립문화재연구소) |
제1주제 : 최근 환동해권 철기시대 유적 발굴 성과 | |
• 연해주 초기철기시대의 연구 현황과 과제 | 홍형우(국립문화재연구소) |
제2주제 : 두만강 유역의 초기철기시대 문화 | |
• 단결-끄로우노브까문화의 기원 - 토기자료를 중심으로 - | 김재윤 (러시아과학원 극동분소 역사 고고학 민속학연구소) |
• 강원도 중도식토기 문화에 보이는 동북지방 요소 | 심재연(예맥문화재연구원) |
제3주제 : 중도식토기와 연해주 철기시대 문화의 토기 비교 | |
• 연해주, 두만강유역, 영동·영서 지역의 생계경제에 대한 차이 연구 | A. L. Subbotina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 분소 고고민족학연구소) |
• 토기의 제작 기법으로 본 연해주와 강원도 자료 검토 - 연해주 불로치까 유적 출토 토기 자료를 중심으로 - |
유은식(국립문화재연구소) |
제4주제 : 두 문화권역의 비교 연구 | |
• 연해주 초기철기시대 끄로우노프까문화의 확산과 전파 | 강인욱(부경대학교) |
第30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계층 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第30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계층 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 |
---|---|
1.日 時 : 2006년 11월 3일∼4일(토) | |
2.場 所 : 숭실대학교 한경직 기념관 | |
3.日 程 | |
제1일 | |
개회사 | 최병현(한국고고학회 회장) |
기념사 | 윤용진(한국고고학회 제9대 회장) |
축사 | 이효계(숭실대학교 총장) |
공동주제 발표 | |
주제발표 | |
사회 : 안신원(한양대학교), 우재병(충남대학교) | |
남한지방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의 변화와 계층화 | 송만영(경기도박물관) |
분묘 자료를 통해 본 청동기시대 사회조직과 변천 | 김승옥(전북대학교) |
無文土器社會의 威勢品 副葬과 階層化 | 裵眞晟(國立金海博物館) |
祭祀와 權力의 發生 | 이상길(경남대학교) |
• 공동주제 토론 | |
사회: 이청규(영남대학교) | |
종합토론 | |
제2일 | |
유적조사 발표 | |
사회 : 김무중(한국고고환경연구소), 이정호(동신대학교 박물관) | |
• 춘천거두리 구석기유적 | 황보창서(예맥문화재연구원) |
• 최근에 조사된 영동지방 신석기유적 | 고동순(예맥문화재연구원) |
• 春川 擧頭2地區遺蹟 | 金權中(江原文化財硏究所) |
• 天安 新芳洞遺蹟 | 현대환(中央文化財硏究院) |
• 金海 栗下里 遺蹟 | 이영주(경남발전연구원) |
• 가평 대성리유적 | 김일규·현덕만(기전문화재연구원) |
• 慶州 德泉里遺蹟 | 이석범·이나영(嶺南文化財硏究院) |
• 창원 동중학교 신축부지 내 유적 | 조상훈(東亞細亞文化財硏究院) |
• 光州 山亭洞遺蹟 | 박태홍(호남문화재연구원) |
• 順天 德岩洞遺蹟 | 朴美羅(南道文化財硏究院) |
자유패널발표 | |
자유패널 1분과 | |
주제 : 炊事形態의 考古學的 硏究 |
|
사회 : 안승모(원광대학교) | |
• 취지설명 | 安承模 |
• 炊事硏究動向 | 韓志仙(한신대학교 박물관), 吳昇桓(한강문화재연구원), 庄田愼矢(한국고고환경연구소) |
• 炊事容器의 使用痕 分析 | 庄田愼矢, 韓志仙 |
• 複合式 炊事容器에 대한 接近 | 朴敬信(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鄭鍾兌(백제문화재연구원), 許眞雅(전남대학교 인류학과) |
• 부뚜막의 炊事方式 및 炊事空間 | 吳昇桓, 李賢淑(공주대학교박물관) |
자유패널 2분과 | |
주제 : 오르도스 청동기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 |
사회 : 권오영(한신대학교) | |
• 총론 | 이강승(충남대학교) |
• 오르도스 청동기 문화의 연구사적 검토 | 이재현(울산발전연구원) |
• 오르도스 청동기시대 유적 - 분묘를 중심으로 | 강현숙(동국대학교) |
• 오르도스 청동기시대 유물(1) 토기 | 이해련(부산박물관) |
• 오르도스 청동기시대 유물(2) 금속기 | 정상석(기전문화재연구원) |
• 오르도스 청동기 문화의 편년과 지역성 | 이한상(동양대학교) |
• 종합토론 | 박양진(충남대학교) |
第29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원삼국시대 문화의 지역성과 변동)
第29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원삼국시대 문화의 지역성과 변동) | |
---|---|
1.日 時 : 2005년 11월 5일∼6일(일) | |
2.場 所 :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 | |
3.日 程 | |
가. 공동주제 발표 | |
주제발표 | |
사회 : 권상열(국립중앙박물관 고고부), 김용성(신라문화유산 조사단) | |
• 漢江流域 原三國時代의 土器 | 金武重(서울역사박물관) |
• 錦江流域 原三國時代의 土器 樣相에 대해 | 成正鏞(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 |
• 榮山江流域의 原三國時代 土器相 | 李暎澈(호남문화재연구원) |
• 嶺南地方 原三國時代 土器 | 李盛周(강릉대 사학과) |
• 韓半島 西部地域 原三國時代 鐵器文化 -地域性과 展開樣相의 特性- | 李南珪(한신대 국사학과) |
• 原三國時代의 鐵器 -嶺南地域- | 孫明助(국립중앙박물관) |
• 공동주제 토론 | |
사회: 최성락(목포대 역사문화학부) | |
종합토론 | |
• 박순발(충남대 고고학과) • 이재현(울산발전연구원) • 송계현(부산박물관) | |
나. 유적조사 발표 | |
사회 : 김승옥(전북대 고고문화인류학과), 박천수(경북대 고고인류학과) | |
• 濟州 城邑里遺蹟 發掘調査 槪要 | 방문배·오연숙 (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 |
• 平澤 素沙洞遺蹟 | 兪炳隣·姜秉學 (고려문화재연구원) |
• 고성 송현리·사천리 유적 발굴조사 개보 | 이창현 (강원문화재연구소) |
• 舒川 玉北里遺蹟 發掘調査 成果 | 田鎰溶 (충청문화재연구원) |
• 咸陽 花山里遺蹟 | 하승철·박상언 (경남발전연구원) |
• 高敞 南山里遺蹟 | 김규정·전상학·양영주 (전북문화재연구원) |
• 江陵 草堂洞 古墳群 | 이건충(강원문화재연구소) |
• 錦山 水塘里遺蹟 | 이 훈·최봉균 (충남역사문화원) |
• 烏山 佳水洞遺蹟 | 김한식(기전문화재연구원) |
• 화성 장안리유적 | 양정석·박순호·최인창 (수원대 박물관) |
• 청원 쌍청리 다중환호 유적 | 도문선 (중앙문화재연구원) |
第28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통일신라시대 고고학)
第28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통일신라시대 고고학) | |
---|---|
1.日 時 : 2004년 11월 5일∼6일(토) | |
2.場 所 :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영화관 | |
3.日 程 | |
가. 공동주제 발표 | |
주제발표 | |
사회 : 우재병(충남대학교),김승옥(전북대학교) | |
• 완경의 성립과 발전 | 이은석(국립문화재연구소) |
• 통일신라시대의 고고학 -사지를 중심으로- | 신창수(국립문화재연구소) |
• 통일신라시대의 생산유적 -토기,기와,철,철기,유리 | 이상준(국립문화재연구소) |
• 통일신라의 장·묘제 | 홍보식(복천박물관) |
• 통일신라시대 토기의 연구현황과 과제 | 윤상덕(국립중앙박물관) |
• 통일신라 기와연구의 현황과 과제 | 김유식(국립중앙박물관) |
• 통일신라의 장·묘제 | 홍보식(복천박물관) |
• 통일신라의 장·묘제 | 홍보식(복천박물관) |
• 공동주제 토론 | |
사회: 이회준(경북대학교) | |
나. 유적조사 발표 | |
사회 : 이성주(강릉대학교), 이준정(서울대학교) | |
• 화성 동학산유적 발굴조사 개보 | 김재연(기전문화재연구원) |
• 춘천 천전리유적 | 김권중(강원문화재연구소) |
• 울산 매곡동유적 | 이수홍(울산문화재연구원) |
• 광주 연제동 외존유적 | 이승용(호남문화재연구원) |
• 연기 응암리·용호리유적 발굴조사 | 강지원(공주대학교 박물관) |
• 완주 상운리유적 발굴조사 개보 | 이택구(전북대학교 박물관) |
• 정양 화암리유적 | 양혜진(충청남도역사문화원) |
• 나주 랑동유적 | 정일(전남문화재연구원) |
• 공주 단지리 횡혈묘군 발굴조사 개보 | 지민주(충청문화재연구원) |
• 산청 생초 평촌유적 발굴조사 | 박상언(경남발전연구원) |
• 상주 복룡동유적 발굴조사 | 박달석(영남문화재연구원) |
• 청계천복원구간내유적 발굴조사 성과 | 홍지윤(중앙문화재연구원) |
第27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고구려고고학의 제문제)
第27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고구려고고학의 제문제) | |
---|---|
1.日 時 : 2003년 11월 7일∼8일(토) | |
2.場 所 : 연세대학교 박물관 | |
3.日 程 | |
가. 공동주제 발표 | |
주제발표 | |
사회 : 한창균(한남대학교 역사교육학과),김용성(영남대학교 박물관) | |
• 高句麗 古墳 | 강현숙 (동국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 高句麗 土器의 編年에 대하여 | 최종택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 고구려산성의 연구 동향과 전망 | 차용걸(충북대학교 역사교육학과) |
• 中國 東北地方과 高句麗文物의 비교연구 | 東 潮(德島大學合科學部) |
토론 | |
사회: 박순발(충남대학교 고고학과) | |
약정토론 및 종합토론 | |
• 조영현(계명대학교 박물관) • 심광주(토지박물관) • 여호규(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 이상 율(부경대학교 박물관) |
|
나. 유적조사 발표 | |
사회 : 하문식(세종대학교 역사학과), 김건수(호남문화재연구원) | |
• 김해 봉황동유적 발굴조사 | 심재용·김용탁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 경춘선 가평역사부지(달전리) 발굴조사 | 박성희(한림대학교 박물관) |
• 密陽 琴川里遺蹟 | 이상길(경남대학교 인문학부) 김미영(경남대학교 박물관) |
• 華城 發安里 마을遺蹟 | 정상석(기전문화재연구원) |
• 淸道 陳羅里遺蹟 發掘調査 | 박달석(영남문화재연구원) |
• 星州 禮山里木棺墓 發掘調査槪要 | 정창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 華川 龍岩里 遺蹟 | 김권중(강원문화재연구소) |
• 완주 갈동유적 발굴조사 개보 | 한수영·진만강(호남문화재연구원) |
다. 분석사례발표 | |
• 고고학 유적 출토 인골을 통한 선사-근대 생활사 연구 | 박순영(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이준정(서울대학교 박물관) |
第26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해양 교류의 고고학)
第26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해양 교류의 고고학) | |
---|---|
1.日 時 : 2002년 11월 1일∼2일 | |
2.場 所 : 국립제주박물관 및 제주일원 | |
3.日 程 | |
가. 주제 발표 및 토론 | |
주제발표 | |
사회 : | |
• 동북아 신석기문화와 제주도 신석기문화의 전개양상 | 강창화 (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 |
• 청동기를 둘러싼 한·일 교역 | 이홍종 (고려대 고고미술사학과) |
• 해양교류와 고대 제사유적 | 유병하 (국립중앙박물관 고고부) |
• 韓船의 구조에 관한 연구 | 안재철 (전남매장문화재연구원) |
토론 | |
• 사회: 조현종(국립광주박물관) | |
약정토론 | |
• 하인수(부산박물관) • 이남규(한신대 국사학과) • 김두철(부산대 고고학과) • 김용한(국립문화재연구소) |
|
종합토론 | |
나. 정기총회 | |
• 最近 日本에서 발굴된 韓·日關係 新資料-西谷 正(日本 九州大學校) | |
다. 유적조사발표 - 패널전시 | |
• 남양주 호평지구 구석기유적 | 홍미영·김기태(기전문화재연구원) |
• 용유도 유적 | 임상택·양시은(서울대학교박물관) |
• 거창 정장리유적 | 김용탁(경남발전연구원) |
• 남제주 신천리 동굴유적 | 김종찬(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 |
• 천안-변천간 도로공사 구간 내 (천안운전리)문화유적 발굴조사 | 오규진(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 |
• 신제주-외도간 도로건설 구간 내 외도동유적 발굴조사 | 김경주(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 |
• 하삼정 고분군Ⅰ | 조수현(한국문화재보호재단) |
• 춘천 천전리유적 | 심재연(강원문화재연구소) |
• 고창 만동유적 | 이영덕(호남문화재연구원) |
• 대구 달성 문산리 고분군 | 정창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 경주 덕천리 고분군 | 오재진(중앙문화재연구원) |
• 산청 생초고분군 | 송영진(경상대학교박물관) |
第25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한국 농경문화의 형성)
第25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한국 농경문화의 형성) | |
---|---|
1.日 時 : 2001년 11월 2일∼3일 | |
2.場 所 : 부산대학교 학생회관 대강당 | |
3.日 程 | |
가. 공동주제 발표 및 토론 | |
공동주제발표 | |
사회 : 신 경 철(부산대학교 고고학과) | |
• 한반도의 벼농사 개시기와 자연환경 | 최기룡(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
• 우리 나라의 선사∼고대 논 밭 유구 | 곽종철(밀양대학교 박물관) |
• 南韓地方 農耕文化形成期 聚落의 構造와 變化 | 송만영(경기도박물관) |
• 경주에서 횡혈식 석실분의 등장에 대하여 | 강현숙 |
공동주제토론 | |
사회 : 안 재 호(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 |
약정토론 | |
• 박원규(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안승모(원광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박순발(충남대학교 고고학과) |
|
종합토론 | |
나. 정기총회 | |
다. 유적조사 발표 | |
사회 : 신 창 수(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 |
• 진안 진그늘 선사유적 조사개요 | 이기길(조선대학교 역사철학부) |
• 寶性 東村里遺蹟 發掘調査 | 은화수(국립광주박물관) |
• 論山 院北里遺蹟 發掘調査 成果 | 이문형(중앙문화재연구원) |
• 蔚山 農所 倉坪洞遺蹟 發掘調査 | 김성태(영남문화재연구원) |
• 경주 황성동 강변로유적 | 김일규(한국문화재보호재단) |
• 대전 월평동산성 발굴조사 | 이강열(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 |
• 驪州 元香寺址 發掘調査 槪要 | 소상영(기전문화재연구원) |
공동주제토론 | |
사회 : 안 재 호(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 |
약정토론 | |
• 고고학 시료의 광(光) 여기(勵起) 루미네센스 연대측정 | 홍덕균(기초과학지원연구원) 김명진·성정용·박순발(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第24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21세기 한국고고학의 방향)
第24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21세기 한국고고학의 방향) | |
---|---|
1.日 時 : 2000년 11월 3일∼4일 | |
2.場 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백남학술관 | |
3.日 程 | |
가. 공동주제 발표 및 토론 | |
주제발표 | |
사회 : 이 남 규(한신대학교 국사학과) | |
• 21세기 한국고고학의 방향(선사부문) | 이건무(국립중앙박물관) |
• 21세기 한국고고학의 방향역사고고학분야 | 신경철(부산대학교 고고학과) |
• 21세기 한국고고학의 방향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 최성락(목포대학교 고고인류학과) |
공동주제 토론 | |
사회 : 이 청 규(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 |
약정토론 | |
• 안승모(원광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박순발(충남대학교 고고학과) • 추연식(고려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
|
종합토론 | |
나. 유적조사 발표 | |
사회 : 이 남 석(공주대학교 사학과) | |
• 철원 장흥리 중석기유적 | 최복규(강원대학교 사학과) |
• 진안 용담댐 수몰지구 여의곡유적 조사개요 | 김승옥(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이종철(전북대학교 박물관) |
• 논산 마전리유적 C지구 발굴성과 | 손준호(고려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
• 대구 동천동마을유적 발굴성과 | 유병록(영남문화재연구원) |
• 몽골 모린 톨고이고분군 발굴조사 개보 | 윤형원(국립중앙박물관) |
• 공주 금학동고분군 발굴조사 | 류기정(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 |
• 경주 손곡동유적 발굴조사 | 김성범(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다. 정기총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