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고학전국대회
- 第23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고고학을 통해 본 가야) 보기
- 第22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3~5세기 금강유역의 고고학) 보기
- 第21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호남고고학의 제문제) 보기
- 第20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신라고고학의 제문제) 보기
- 第19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考古學의 半世紀) 보기
- 第18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마을의 考古學) 보기
- 第17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삼한의 고고학) 보기
- 第16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의 貝塚文化) 보기
- 第15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 先史稻作農耕의 諸問題) 보기
- 第14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支石墓의 諸問題 -湖南地方을 中心으로-) 보기
第23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고고학을 통해 본 가야)
第23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고고학을 통해 본 가야) | |
---|---|
1.日 時 : 1999년 11월 5일(금)·6일(토) | |
2.場 所 : 계명대학교 대명캠퍼스 시청각실 | |
3.發表內容 | |
가. 공동주제 발표 및 토론 | |
공동주제 발표 | |
사회 : 조 영 제(경상대학교 사학과) | |
• 考古學으로 본 金官加耶 -成立·位階·圈域- | 홍보식(부산광역시립박물관) |
• 考古學을 통해 본 阿羅伽耶 | 이성주 |
• 고고학 자료를 통해 본 大伽耶 | 박천수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
• 공동주제 토론 | |
사회 : 이 희 준(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 |
약정토론 | |
• 권학수(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이주헌(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 김세기(경산대학교 사학과) |
|
종합토론 | |
• 곽장근(군산대학교 박물관) • 노중국(계명대학교 사학과) • 박승규(영남문화재연구원) | |
나. 유적조사 발표 | |
사회 : 조 현 종(국립광주박물관) | |
• 순천 월평유적 시굴조사와 성과 | 이기길(조선대학교 사학과) |
• 渼沙里遺蹟의 住居樣相과 變遷 | 하인수(부산광역시립박물관) |
• 富川 古康洞 先史遺蹟 發掘調査 | 강병학(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
• 保寧 巢松里?竹淸里遺蹟 發掘調査 成果 | 홍지윤(한국문화재보호재단) |
• 화성 마하리고분군 발굴조사 성과 | 김성남(서울대학교 대학원) |
• 羅州 新村里 9號墳 發掘調査 | 김낙중(국립문화재연구소) |
• 順天 劍丹山城 發掘調査 | 최인선(순천대학교 사학과) |
• 慶州 龍江洞 園池遺蹟 發掘調査 | 김재철(영남문화재연구원) |
다. 총회 |
第22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3~5세기 금강유역의 고고학)
第22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3~5세기 금강유역의 고고학) | |
---|---|
1. 日 時: 1998년 11월 6일∼7일 | |
2. 場 所 : 국립중앙과학관 | |
3.目 程 | |
가. 공동주제 발표 및 토론 | |
주제발표 | |
사회 : 한 창 균 | |
• 錦江流域圈의 馬韓에서 百濟로의 轉換 -墳墓出土 土器를 중심으로- | 咸舜燮 |
• 3∼5世紀 錦江流域圈 鐵器의 地域的 特性 -農工具와 武器를 중심으로- | 李南珪 |
• 3∼5世紀 錦江流域 馬韓·百濟 墓制의 樣相 - 成正鏞(충남대학교 박물관) | 尹東錫(水原工業專門大) |
주제토론 | |
사회 : 윤 덕 향(전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 |
약정토론 | |
• 최완규(원광대 고고미술사학과) • 이영훈(국립전주박물관) • 최병현(숭실대학교 사학과) | |
종합토론 | |
나. 유적조사발표 | |
사회 : 박 양 진(충남대학교 고고학과) | |
• 浦項 草谷里 先史遺蹟 發掘調査 | 河眞鎬(영남매장문화재연구원) |
• 大邱 辰泉洞 立石 遺蹟 發掘調査 | 朴天秀(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
• 坡州 舟月里遺蹟 發掘調査 | 김규상(경기도박물관) |
• 淸原 松垈里遺蹟 發掘調査 | 오윤숙(한국문화재보호재단) |
• 昌原 茶戶里遺蹟 發掘調査 | 임학종(국립중앙박물관) |
• 여주 하거리 방미기골 백제고분 발굴조사 | 강봉원(경희대학교 교양과) |
• 羅州 伏岩里 3號墳 發掘調査 | 金洛中(국립문화재연구소) |
• 아차산 제4보루성유적 발굴조사 | 최종택(서울대학교 박물관) |
다. 유적조사발표 |
第21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호남고고학의 제문제)
第21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호남고고학의 제문제) | |
---|---|
1.日 時 : 1997년11월 7∼8일 | |
2.場 所 : 전남대학교 국제회의동 | |
3.日 程 | |
가. 공동주제 발표 및 토론 | |
주제발표 | |
사회 : 최복규(강원대학교) | |
• 湖南地方 周溝墓의 諸問題 | 최완규 |
• 湖南地域 石室墳과 百濟의 關係 | 임영진 |
• 湖南地方 稻作農耕硏究의 現段階 | 조현종 |
• 韓國 琵琶形銅劍文化 | 이영문 |
주제토론 | |
사회 : 윤덕향 | |
지정토론 | |
• 서오선 • 조영현 • 안승모 • 이강승 | |
종합토론 | |
나. 특별강연 | |
• 最近 日本에서 발굴된 韓·日關係 新資料-西谷 正(日本 九州大學校) | |
다. 발굴사례발표 : 청동기시대의 연구 | |
사회 : 이청규 | |
• 제주시 삼양동 유적 발굴조사 개보 | 강창화 |
• 송국리 유적의 주거양상 -발굴현황을 중심으로- | 오세연 |
• 진주 대평리 田作地의 구조와 의의 | 이상길 |
• 대전 신대동·비래동 청동기유적 | 성정용 |
라. 총회 |
第20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신라고고학의 제문제)
第20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신라고고학의 제문제) | |
---|---|
1.日 時 : 1996년11월1일~3일 | |
2.場 所 : 경주교육문화회관 | |
3.日 程 | |
가. 共同주제발표 및 討論 | |
주제발표 | |
사 회 : 김세기(경산대 박물관) | |
• 신라의 성립과 성장 과정에 대한 고찰 : 고고·역사·지리적 접근 | 이희준 |
• 신라식 목곽묘의 전개와 의의 | 이성주 |
• 황남대총쌍분 : 적석목곽분 연구의 새 지표 | 이종선 |
• 경주에서 횡혈식 석실분의 등장에 대하여 | 강현숙 |
약정토론 | |
• 신라의 성립과 성장 과정에 대한 질의 | 김용성 |
• <新羅式 木槨墓의 展開와 意義>에 대하여 | 안재호 |
• 李鍾宣先生 論文에 대한 몇 가지 所見 | 주보돈 |
• <경주에서 횡혈식석실분의 등장에 대하여>를 읽고 | 홍보식 |
종합토론 | |
司 會 : 최병현(숭실대) | |
나. 매장문화재 발굴관계 합동 세미나 | |
사회 : 김종철(계명대 박물관) | |
• 토지개발과 문화재보존의 현장과 과제 :택지와 공단개발시의 문화재조사용역을 중심으로 | 심광주 |
• 한국 구제고고학의 발전방향에 대한 小考 :영국의 사례를 통해서 본 제언방안들 | 추연식 |
• 매장문화재 조사의 효율화와 체계화를 위한 제도적 보안방안과 쟁점 | 이선복 |
• 발굴용역에 따른 예산항목설정과 문제점 | 이강승 |
• 매장문화재의 표준용역계약서식 (안) | 조영현 |
• 中央아시아 고대유적 답사보고 | 任孝宰(서울대) |
다. 총회 | |
라. 답사 | |
• 경주 경마장 및 경주역사 부지 답사 | |
마. 발굴조사결과 발표 | |
사 회 : 최완규(원광대) | |
• 동해발한동 구석기유적 | 최복규 |
• 慶州市 隍城洞 267遺蹟 發掘調査槪報 | 김현준 |
• 鎭川 石帳里 鐵生産遺蹟의 調査成果 | 신종환 |
• 慶州市 舍羅理古墳群 發掘調査槪報 | 하진호 |
• 羅州 伏岩理 3號墳의 甕棺石室 | 임영진 |
第19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考古學의 半世紀)
第19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考古學의 半世紀) | |
---|---|
1.日 時 : 1995년11월3일~11월 4일 | |
2.場 所 : 서울대학교 박물관 대강당 | |
3.日 程 | |
가. 主題發表 | |
기념강연 | |
• 韓國考古學의 半世紀 | 한 병 삼 |
• 한국고고학『1945~46년의 經驗談』 | 有光敎一 |
• 湖南地方의 支石墓社會 | 崔夢龍(서울대) |
부별발표 | |
• 第一部 先史考古學分野 | |
司 會 : 이강승(충남대) | |
• 한국 고고학의 반세기 - 구석기 시대 | 정 영 화 |
• 新石器時代 | 韓 永 熙 |
• 韓國 靑銅器時代 硏究의 半世紀 : 硏究成果와 課題 | 李 榮 文 |
• 瓦質土器文化論 : 그 成果와 課題 | 申 敬 澈 |
종합토론 | |
• 한국 고고학의 반세기 : 구석기시대에 대한 토론 요지 | 한 창 균 |
• 「韓國 新石器 考古學의 半世紀」에 덧붙여서 | 鄭 澄 元 |
• 瓦質土器文化論에 대하여 | 李 盛 周 |
第二部 歷史考古學分野 | |
司 會 : 이희준(경북대) | |
• 한반도 철기문화 연구의 諸문제 | 이 남 규 |
• 고총고분 연 | 조 유 전 |
• 한국 고고학의 반세기 - 성곽 - | 차 용 걸 |
• 한국 고고학의 반세기 - 삼국이후의 제문제 | 김 재 열 |
종합토론 | |
• 한반도 철기문화연구의 諸문제에 대한 토론요지 | 이 현 혜 |
• 城邑國家와 城址調査 | 심 정 보 |
• 한국 고고학의 반세기 : 삼국 이후의 제문제 | 강 경 숙 |
나. 硏究論文發表 및 調査結果發表 | |
司 會 : 이 영 훈(국립 청주박물관) | |
• 한국고대 국가 형성에 있어서 전쟁의 역할 | 강 봉 원 |
• 고신라 고분의 품계에 대하여 | 이 종 선 |
• 湖전곡리구석기 유적발굴개보 | 이한용·한소희 |
• 단양 수양개유적 발굴조사개보 | 이융조·우종윤 |
• 務安 良將里 遺蹟調査報告 | 李 暎 澈 |
• 大邱時至洞遺蹟發掘調査報告 | 정 의 도 |
• 濟州高內里遺蹟調査報告 | 康 昌 和 |
다. 總 會 |
第18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마을의 考古學)
第18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마을의 考古學) | |
---|---|
1.日 時 : 1994. 11.5 ∼6. | |
2.場 所 : 부산대학교 학생회관 1층 대강당 | |
3.發表內容 | |
가. 共同主題發表 및 綜合討論 | |
司 會 : 정징원(부산대) | |
• 先史時代 住居址考古學 現況 | 李 健 茂 |
• 역사시대 마을고고학의 성과와 과제 | 權 鶴 洙 |
• 聚落考古學 世界的 硏究傾向 | 秋 淵 植 |
• 九州における繩文??生時代の集落 | 山崎純男 |
• 中國의 住居址考古學 | 任 式 楠 |
綜合討論 | |
司 會 : 배기동(한양대) | |
• 李健茂- 이홍종, 鄭聖喜 • 權鶴洙- 崔鍾澤, 金吉植 • 秋淵植- 이근욱, 金世基 |
|
나. 調査發表 | |
司會 : 박희현(서울시립대) | |
• 岩寺洞 住居址에 대하여 | 鄭 聖 喜 |
• 渼沙里遺蹟의 住居樣相과 變遷 | 최 종 택 |
• 대곡리 집자리 유적의 성격 | 이 근 욱 |
• 隍城洞 原三國聚落址의 性格 | 金 世 基 |
• 扶餘 松菊里 遺蹟의 發掘調査 槪要와 成果 | 金 吉 植 |
• 後期無文土器社會의 集團과 住居形態 | 이 홍 종 |
다. 總會 |
第17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삼한의 고고학)
第17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삼한의 고고학) | |
---|---|
1. 日 時: 1993년 11월 6일∼7일 | |
2. 場 所: 國立扶餘博物館 社會敎育館 | |
3.目 程 | |
가. 共同主題發表 및 綜合討論 | |
主題發表 | |
司 會 : 崔秉鉉(韓南大) | |
• 洛東江 下流域 土壙木棺墓의 登場과 發展 | 林孝澤(東義大) |
• 三韓 鐵器文化의 成長過程 -樂浪地域과의 比較的 視角에서- | 李南珪(韓紳大) |
• 鐵器 | 尹東錫(水原工業專門大) |
• 琉璃 | 李浩官(文化財硏究所) |
綜合討論 | |
• 任孝宰- 李賢惠(翰林大) • 權鶴洙(忠北大) • 李南珪- 李盛洛(木浦大) • 申璟煥(三美綜合特殊鋼) | |
나. 調査發表 | |
司 會 : 成洛俊(國立中央博物館) | |
• 古新羅 唐草文에 대하여 | 李鍾宣(湖巖美術館) |
• 매장문화재 관리의 현황과 과제 | 李鮮馥(서울대) |
• 大邱 時至宅地開發地區內 文化遺蹟 發掘調査 槪報 | 梁道塋(嶺南大) |
• 昌原 德川里 遺蹟 發掘調査 報告 | 李相吉(慶南大) |
• 金陵 松竹里遺蹟 發掘調査 | 曺永鉉(啓明大) |
第16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의 貝塚文化)
第16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의 貝塚文化) | |
---|---|
1.日 時 : 1992年 11月 7日(土)∼8日(日) | |
2.場 所 : 高麗大學校 瑞倉캠퍼스 | |
3.日 程 | |
가. 共同主題 發表 및 討論 | |
主題發表 | |
司 會 : 李健茂(國立中央博物館) | |
• 新石器時代 貝塚 -硏究成果 및 諸問題- | 韓永熙(國立全州博物館) |
• 原三國時代 貝塚文化 -硏究成果 및 諸問題- | 崔盛洛(木浦大學校) |
• 貝塚出土 動物遺體 -안면도 고남리 패총을 중심으로- | 安德任(國立全州博物館) |
綜合討論 | |
• 韓永熙- 鄭澄元(釜山大學校) • 任孝宰(서울大學校) • 崔盛洛- 安春培(釜山女子大學校) • 林永珍(全南大學校) • 安德任- 裵基同(漢陽大學校) • 諸淙吉(國立海洋硏究所) |
|
나. 遺蹟發掘 調査發表(11月 8日) | |
司 會 : 沈正輔(國立大田工業大學) | |
• 통영연대도 조개더미 발굴조사(4차) | 任鶴鐘(國立晋州博物館) |
• 안면도 고남리 패총 발굴조사 | 金娥官(文化財硏究所) |
• 光州 新昌洞遺蹟 發掘調査槪報 | 趙現鐘(國立光州博物館) |
• 益山 熊浦里 百濟古墳 發掘調査 | 崔完奎(圓光大 博物館) |
• 竹幕洞 祭祀遺蹟 發掘報告 | 李揆山(國立全州博物館) |
다. 定期總會 | |
司 會 : 沈正輔 運營委員 |
第15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 先史稻作農耕의 諸問題)
第15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 先史稻作農耕의 諸問題) | |
---|---|
1.日 時 : 1991年 11月 2日(土)∼3日(日) | |
2.場 所 : 江陵大學校 | |
3.日 程 | |
가. 共同主題 發表 및 討論 | |
主題發表 | |
司 會 : 崔夢龍(서울大) | |
• 韓國 先史時代 稻作農耕 | 沈奉謹(동아대) |
• 韓國 栽培稻의 起源과 傳來 | 許文會(서울대) |
綜合討論 | |
司 會 : 崔夢龍(서울대) | |
• 沈奉謹(동아대) • 許文會(서울대) • 全榮來(원광대) • 安承模(국립중앙박물관) • 趙載英(고려대) • 朴淳直(한국방송통신대) |
|
나. 遺蹟發掘 調査發表 | |
司 會 : 趙由典(문화재연구소) | |
• 홍천 하화계리 중석기시대유적 발굴조사 보고 | 崔福奎(강원대) |
• 대전 둔산 신시가지 개발지역내 선사유적 발굴조사 | 李康承(충남대) |
• 天安 淸堂洞 遺蹟 發掘調査 報告 | 徐五善(국립중앙박물관) |
• 명주군 안안리 집자리 발굴진전 보고 | 白弘基(강릉대) |
• 靈巖 泰門里의 前方後圓墳 第1次 發掘調査 報告 | 仁求(한국정신문화연구원) |
• 中央아시아 고대유적 답사보고 | 任孝宰(서울대) |
第14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支石墓의 諸問題 -湖南地方을 中心으로-)
第14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支石墓의 諸問題 -湖南地方을 中心으로-) | |
---|---|
1.日 時 : 1990년 11월 3일(土)∼11월 4일(日) | |
2.場 所 : 全北大學校 | |
3.日 程 | |
가. 共同主題發表 및 討論 | |
主題發表 | |
司 會 : 尹德香(전북대) | |
• 湖南地方 고인돌의 型式과 構造 | 池健吉(국립광주박물관) |
• 遺物相으로 본 湖南地方의 支石墓 | 李榮文(전남대박물관) |
• 湖南地方의 支石墓社會 | 崔夢龍(서울대) |
綜合討論 | |
司 會 : 金秉模(한양대) | |
討 論 | |
• 沈奉謹(동아대) • 河仁秀(부산직할시립박물관) • 李白圭(경북대) 李健茂(국립중앙박물관) • 李鍾旭(서강대) • 全京秀(서울대) • 金鍾澈(啓明大) |
|
나. 遺蹟發掘調査發表 | |
司 會 : 崔秉鉉(한남대) | |
• 돌산 송도 조개더미 유적 발굴조사보고(2차) | 趙現鐘(국립광주박물관) |
• 蔚州 檢丹里 유적 발굴조사개보 | 安在晧(부산대박물관) |
• 청주 신봉동 유적 발굴조사보고 | 車勇杰(충북대) |
• 馬山 縣洞 遺蹟 發掘調査成果 | 李盛周(창원대박물관) |
• 金海 大成洞 古墳群 第1次 발굴조사보고 | 李相憲(경성대박물관) |
• 扶餘 亭岩里 百濟時代 가마터(B지구) 발굴조사 | 申光燮(국립부여박물관) |
다. 定期總會 | |
司會 : 韓永熙 運營委員 | |
<學會消息> | |
Ⅰ. 제16회 中央文化大賞 학술부문 수상 : 1990년 9월 28일 |